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기엄마들, 비치 타월 하나 사세요.

해결책 조회수 : 4,693
작성일 : 2013-08-17 00:37:29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백화점 가면 화장실에 아기 기저귀 교환대 있죠.
그런 거 없는 카페나 식당 가신 분들이 옆 사람 먹고 마시는 데서 지린내 풍기고 기저귀 갈면서, 갈 데가 없는데 어쩌란 거냐 하시는데요.....
큰 비치타월 하나 사세요.
아기랑 기저귀 가방(기저귀랑 타월 든)만 달랑 들고 화장실 가세요. 기저귀 가방으로 빅백 들고 다니시니까 타월 갖고 다닐 수 있잖아요.
눕히고 기저귀 갈아야 할 만큼 어린 아기면, 변기 뚜껑 위에 눕힐 수 있어요. 더러우면 타월 깔고 눕히면 됩니다.
타월이 변기에 닿은 면이 안으로 가게 착착 접어서 가방에 넣고 기저귀는 휴지통에 쏙 버리고 오면 되죠.
왜, 먹는 영업집에서 여러 사람 기분 망치고 내 애를 내놓고 용변 처리하며, 왜, 기저귀를 아무데나 두거나 직원에게 넘겨 주고 옵니까.

비치 타월 얼마 하지도 않습니다. 그걸로 전용 기저귀 교환대를 만드세요.
저같으면 아이가 클 때까지는 최대한 시설이 갖춰진 데만 다니는 쪽을 택하겠지만. 이런 방법도 있다고 말해 봅니다.
IP : 203.236.xxx.25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ㅣㅣ
    '13.8.17 12:39 AM (117.111.xxx.28)

    몰라서가 아니라, 귀찮아서겠죠

  • 2. 오호
    '13.8.17 12:42 AM (218.38.xxx.105)

    그거 괜찮네요. 알려주셔서 감사드려용!~

  • 3. ....
    '13.8.17 1:04 AM (121.133.xxx.199)

    아직도 비위생적인 식당 화장실들 많기 때문에 변기 위는 좀 꺼림칙하죠. 변기 옆에 커다란 뚜껑 없는 휴지통도 있고 그런 화장실에 어찌 아기를 눕혀요.
    전 아기 데리고 식당 자체를 잘 안 다녔었고, 다니더라도 꼭 우리 일행만 들어가는 룸 있는 식당으로 다녔던것 같네요. 그래서 기저귀 교환하는거에 대해 그다지 신경쓴 기억이 없어요. 당연히.
    요즘 아기 부모들은 정말 태어난지 얼마 안된것 같은 쬐끄만 애기들을 사람들 많고 번잡한 곳에 잘도 데리고 다니데요? 옛날이랑 많이 바뀐거 같아요. 근데, 그거 좀 별로 좋아 보이진 않아요. 아직 면역력 약한 아기들은 웬만하면 사람 많은데 데리고 다니지 않는게 좋지 않나요?

  • 4. 원글
    '13.8.17 1:27 AM (203.236.xxx.253)

    저는 윗님 의견에 완전히 동의하는데요. 너무 어린 아기들은 이런 세상에 밖에 많이 데리고 나와 봐야 좋을 게 없다구요. 매연도 그렇고 환경이 신생아한테 좋진 않잖아요.
    그런데 제가 비치타월 얘기를 한 건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 아기들을 너무들 데리고 나오고 기저귀를 너무들 아무데서나 갈아서 문제가 되고 있으니까요. 애기엄마들은 이런 연령층 넓은 사이트보단 무슨무슨맘 카페 이런 데를 정보 얻는다고 더 부지런히 다니니, 애 안 키우는 남들이 어떻게 보나를 정말 모르는 것 같아요. 시설이 안 갖춰진 데에 아기를 데려가는 일을 감행했으면 거기 필요한 대책도 스스로 하는 게 좋다는 거죠.
    변기가 깨끗하긴 어렵겠지만 변기 뚜껑은 아마 화장실에서 그나마 제일 깨끗한 데일 거예요. 물 내릴 때 세균이 튈 수도 없구요. 거기에 타월 깔면, 아주 멋지고 깨끗한 건 아니어도 아쉬운 대로 기저귀 교환에 무리는 없을 거다 그 말이구요.
    좁고 더러워 보여서 불편해도 타월 깔고 그 정도는 감수하자, 그런 취지로 쓴 글이에요. 시설이 안 된 델 갔으니까요. 자기와 자기 아기가 불편함을 전혀 감수하기 싫다는 이유로 왜 다른 여러 사람이 불편을 대신 감수해야 하는가 이거죠. 저만 해도 밥 먹다가 똥냄새 맡기 싫고 커피 마시다가 애기 지린내 맡거나 그런 광경 보고 싶진 않거든요. 아기 엄마 말고 많은 다른 사람들이 데이트도 하러 가고 쉬러도 가는 곳이잖아요. 타월도 쓰기 싫다고 하면, 내 선택으로 인한 불편함을 나 말고 타인들 너희가 감수하라는 것밖에 안되지 않는가요?
    말씀대로 안 데리고 나오면 아기에게도 좋을 거고, 피치 못할 때 룸이 있는 식당이면 또 두루두루 상관없을 거예요. 그러나 저는 그런 경우를 말한 게 아니라 지금 불붙은 얘기에 해결책을 생각해 보잔 거죠.

  • 5. 30대아기엄마.
    '13.8.17 1:40 AM (1.238.xxx.34)

    애초에 기저귀교환대가 없는 식당엘 왜 가는지 모르겠어요

    아기는 아직 배변 조절을 못하니깐
    어디든 가서 똥,오줌 쌀수있는거 당연한데.....

    그 어린 아가를 데리고 왜 그런 비위생적인 화장실이있는 식당엘 가는지.....

    차라리 백화점에 있는 식당을 가거나(백화점 기저귀교환대이용)
    아니면 개개인 방으로되어있는 한정식집을가거나.

    아기엄마들이 백화점 시설 왜 그렇게 많이 이용하냐고 아까 댓글에 화내는분도봤는데-_-;

    달달이 문화센터 비용에
    구경하다가 아기물건들 장난감 구입. 의류구입.
    백화점내 온갖 식당,아이스크림 사먹기.
    마지막코스로 지하슈퍼 장보기...

    백화점에 아기엄마들이 참 많은 돈을 쓰고 간답니다^^;

  • 6. 저도
    '13.8.17 2:27 AM (173.89.xxx.87)

    팁을 하나 드리자면

    아기 데리고 밖에 나가면 항상 "휴대용 손소독제" 들고 다니세요.

    위생이 불안한 곳에 몇 방울 짜거나 뿌린 후에 휴지나 물티슈로 닦으면 됩니다.


    미국에서 아기 키울 땐 일회용 기저기갈기용 전용 깔장도 팔아서 한곽 사놓고 어디 나갈 때마다 몇장 챙겨서

    기저귀 가방에 넣어두곤 했는데 그런게 없다면 원글님이 말씀하신대로 타월 한장 들고 다니면 되겠네요.


    또 하나, 기저귀를 공공장소 휴지통에 버릴 땐 꼭 비닐봉투에 꽁꽁 싸서 버려야 됩니다.
    그러니 "비닐봉투"도 몇 장 꼭 기저귀 가방에 넣어 다니세요.

    그런데 아기 엄마라면 외출할 때 항상 똥기저귀 가는 상황을 염두에 두고 외출장소를 정해야죠.

  • 7. 기저귀가는 패드
    '13.8.17 3:19 AM (125.186.xxx.52)

    팔아요. 일회용도 있고 일회용 아닌것도 있습니다.
    그런데 궁금한게 소변 기저귀도 갈면 안되나요?
    지린내가 확 풍기거나 하지도 않고 사람들 잘 안보이게 해서 가는 경우는 괜찮지 않나요
    또 제가 갈았다고 욕 먹을 것 같아서 말하지면 전 늘 유모차나 차에서 갈았어요.
    신발벗고 가는 식당은 아이를 통제하기 힘들어서 안 가기 때문에 식당에서 갈 일도 갈 수도 없었어요.
    기저귀 논란 보면서 갓난애들 소변 기저귀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묻는 얘기입니다

  • 8. 윗님
    '13.8.17 5:37 AM (39.7.xxx.176)

    소변도 마찬가지에요.
    지린내 나요.
    아기도 사람인걸요.

  • 9. 변기뚜껑이
    '13.8.17 12:01 PM (211.36.xxx.12)

    엄청 큰지 아나보네요

  • 10. ok
    '13.8.17 5:25 PM (14.52.xxx.75)

    아이고..변기뚜껑 위험하지않을까요?
    아이들이 버둥거리다 떨어지기라도하면...
    이기회에 식당마다 아기 기저귀 교환대 설치하면 좋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0009 아무나 잡아가고 아무나 풀어줄 검찰총장 원하나 1 서화숙 2013/09/16 1,095
300008 뮤지컬 배우 최정원씨 광대랑 턱하신 걸까요? 5 이수역 2013/09/16 6,397
300007 혹시 배달 하는 식당하시는 분들 좀 봐주세요 1 @@ 2013/09/16 1,376
300006 미취학 영어공부요.. .. 2013/09/16 769
300005 혼수로 4 어리버리 2013/09/16 1,340
300004 명절이 진짜 싫어요 ㅠ 7 ㅜㅜ 2013/09/16 2,788
300003 신세계(강남) 지하에서 유치원에 보낼 간식거리 뭐있나요? 2 신세계 2013/09/16 1,698
300002 밥, 친척들간 교류.... 지역 차이가 있나요 5 ........ 2013/09/16 1,645
300001 전 명품백이 하나도 없는데 뭐가 좋을까요? 33 ... 2013/09/16 13,016
300000 제 직장으로 전화걸어서 집 전화번호 물어보셨다네요 13 울 시아버님.. 2013/09/16 4,622
299999 치아 교정중인 분께 여쭐께요 4 교정 2013/09/16 2,386
299998 먼지 안나는 고급스러운 카페트는 없는걸까요? 2 카페트 2013/09/16 4,114
299997 혹시 아시는분 계세요? 자동차바퀴 1 곰쥐 2013/09/16 1,121
299996 어리광 부리는 남편 어떤가요? 12 ㅇㅇㅇㅇ 2013/09/16 6,766
299995 식기세척기 사용 후 스텐냄비가 뿌옇게(?) 되요 4 식기세척기 2013/09/16 4,677
299994 무우가 썩은걸 샀네요 1 영이맘 2013/09/16 2,762
299993 [특보]채총장 사퇴 청와대 개입설 현직 검사 폭탄 증언 4 참맛 2013/09/16 2,419
299992 추석에 담양,여수 여행가면 음식 사먹을때 있을래나 .... 2013/09/16 1,115
299991 막히는거 질색인 사람입니다. 내일도 막힐까요? 6 2013/09/16 1,448
299990 목감기가 심하게 걸리고 난후~ 2 고민 2013/09/16 2,035
299989 저처럼 혼자 명절음식 준비하시는 분 계신가요? 33 외며느리 2013/09/16 6,035
299988 아우.. 삼성전자.. 저 너무 화가 나요.. 저 어째야 할까요?.. 48 마음의평화 2013/09/16 15,134
299987 남자형제만 있는 분들 9 ... 2013/09/16 3,555
299986 대학병원은 과잉진료안하나요? 5 ^^* 2013/09/16 2,555
299985 실례지만 40대 전업맘들께 여쭤봐도 될까요?~ 12 돌직구 2013/09/16 5,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