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에어컨 1등급 차이 별로 없는것 같아요

전기세 조회수 : 5,194
작성일 : 2013-08-13 09:41:43

올 봄에 lg 벽걸이 1등급 인버터 미리 사서 달았는데요

 

전기세 무서워서 계속 켜놓고 살진 못했어요.

 

한전에 문의하니 7월요금 24만원이라네요..;;

 

82에서  처음에 낮은온도로 해놨다가 좀 시원하면 27나 28도로 낮춰서 온종일 틀어놔도 10만원미만이라

 

했는데. 간댕이가 작아 소심해서 내내 틀진 못하고 더울때마다 틀긴했어요. 껐다 켰다.

 

뭐 전기세가 한달에 평균 5만5천원에서 6만원 사이 나오는집이라 15만원정도는 예상했는데..

 

많이 나와도 너무 많이 나왔네요..  이럴꺼면 높은 온도로 내내 틀고 시원하게 살껄..ㅜㅜ

IP : 119.197.xxx.3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8.13 9:44 AM (180.65.xxx.29)

    말도 안되요27,28도로 해서 온종일 10만원 미만 나오면 감사합니다 하겠네요
    벽걸이 1등급 작년 아이방만 잘때 4시간 예약하고 자면 12만원 정도 나왔어요
    원래 전기료 3만원 정도 나오는 집입니다. 여기는 좀 특이한것 같아요 하루종일 틀고 2만원 나왔다 3만원 나왔다 하는 동네라 여기 말듣고 하루종일 틀면 안됩니다

  • 2. ㅇㅇ
    '13.8.13 9:46 AM (182.218.xxx.22)

    여기 말 곧이곧대로 다 듣고 살면 이상한 사람 되기 딱 좋아요

  • 3. 껐다켰다
    '13.8.13 9:46 AM (211.223.xxx.42)

    하는 게 더 전기 절감에 도움 안된다는 말도 있더라고요.
    그리고 온종일 틀어둔다는 게 하루 거의 20시간 가까이 트신 건가요?
    아니면 낮 시간동안 10시간 정도인지.
    10시간 넘게 날마다 저렇게 틀었다면 저 금액 나올 것도 같습니다.
    누진세 금액 경계선이 있어서 몇 수치 차이로 누구는 그 아래 경계선이면
    훨씬 더 나와도 재수없이 경계선 조금 넘는 순간 금액이 확 올라갈테니까요.

  • 4. 원글
    '13.8.13 9:47 AM (119.197.xxx.30)

    하루종일 틀고 2. 3 만원 나왓다는글은 못봣구요

    전기세때문에 에어컨관련 글을 유심히 봤는데

    높은온도로 내내 트는게 낮은온도로 잠깐켰다껐다

    반복하는것보다 조금 나오더라구요. 초저녁부터

    담날 새벽까지 틀어도 7,8 만원내지는 15만원사이

    란 글들이 종종보였어요. 저도 이달엔 그리해볼라구요

  • 5. 음..
    '13.8.13 9:47 AM (121.152.xxx.95)

    전체실내온도를 확 내리는게 전력소모가 가장 많아요
    그걸 반복하신거고, 1등급과는 관계가 없는 능력입니다

  • 6.
    '13.8.13 9:53 AM (175.223.xxx.147)

    그냥 여기 글은 참고만 하 고 내가 확인 하면서 사용하는 게 최고예요.
    벽걸이 인버터 10평형 저녁에 3시간 정도 틀면 7-9Kw 정도 소모됩니다.
    그럼 넉넉잡아 한 달 사용량 300 으로 잡으면 그 정도가 43000원 정도예요.

  • 7. 그렇군요
    '13.8.13 9:54 AM (119.197.xxx.30)

    하루에 몇시간 틀었는데 내내 틀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지만..암튼 길게틀어봤자 2시간 3시간 틀고

    끄도했던것 같네요. 후반부엔 더워서 좀 길게 틀었던

    것같구요. 길게 틀을땐 물론 낮은온도로 내내 틀진

    않고 온도 높혔구요..

  • 8. 제가 무의식중에 많이 쓴것 같네요
    '13.8.13 10:01 AM (119.197.xxx.30)

    뭐 쓴만큼 나오겠죠.. 근데 1등급 전기세 차이

    많이 나는건가요?

  • 9. 제 경우
    '13.8.13 10:08 AM (211.223.xxx.42)

    저희 집 벽걸이 10평형 쓰고 등급은 5등급 제품입니다.
    저희 집은 일단 집에 열이 많은 사람이 있어서 평균 8-10시간 가까이 날마다 틀었어요.
    밤엔 사용 안 하고요. 주로 28도로 해두고 사용합니다. 저녁에 좀 더위가 가시면 2시간 정도 29도로 하고요.
    이런 식으로 해서 한달에 평균 8-9만원 정도 나왔고
    작년에도 재 작년에도 이런 식이었어요. 평소 전기세는 3만원대 나오던 집이고요.
    전기세 상승을 감안하면 이번 해엔 조금 더 나올 수도 있겠죠.

    에어컨이란 게 어차피 낮은 온도로 설정한다고 해도 더 빨리 더 차가워지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설정 온도가 낮으면 실외기가 실내와 실외 온도차가 클수록 쉬지 않고 계속 돌아간다고 보시면 되요.
    실외기 돌아갈 때마다 전기세 팍팍 오른다고 보면 되거든요.
    그냥 처음부터 28도로 틀어놔도 어차피 시원해지는 시간은 별 차이 없고 한동안 실외기는 계속 돌아가는 건 어쩔 수 없어요.
    차라리 바람세기를 강풍으로 해두는 게 더 이득이다고 합니다. 그래야 찬기가 더 빨리 퍼지고 실내 온도가 더 빨리 떨어지면 실외기 가동이 멈출테니까요.

    그리고 에어컨을 자주 껐다 켰다 하시면 이게 잘못하면 오히려 전기세가 더 많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당장 하루에 3,4번만 껐다 켰다 하실 경우 그냥 28도로 꾸준히 에어컨 가동시킨 것보다 실외기가
    더 많이 작동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해요.
    왜냐면 에어컨 아예 끈 후에 실내가 금방 다시 더워진 상황이라서 에어컨 그때마다 다시 켜실 땐 실외기가 다시 많이 상승해버린 실내온도 낮추려고 다시 처음부터 계속 돌아가야 하거든요. 그런데 에어컨을 그냥 28도로 유지한 채 켜두신 다면, 이미 실내 온도가 28도 근처로 유지된 경우는 실내 온도가
    29도 정도 다시 올라갈 때 실외기가 몇 번만 작동만 시켜도 다시 28도 만드는 게 더 쉽게 되기때문에 실외기는 처음 켰을 때보다 작동을 덜하게 되니까요.

    이렇게 하면 체감상으로도 훨씬 더 시원하게 느껴지죠. 계속 껐다 켰다 하면서 더위와 찬기를 반복해서 느끼는 것보다는 꾸준히 장시간 쾌적함 속에서 설사 같은 전기세가 나와도 훨씬 실속입니다.

  • 10. ...
    '13.8.13 11:33 AM (121.140.xxx.240)

    어디로 전화하면 전기요금 조회 가능한가요?

    7월 요금 내려면 8월말까지 기다려야해서요..

  • 11. 3만원대 더 나와요.
    '13.8.13 11:42 AM (211.207.xxx.180)

    벽걸이 거실에 달고 7~8월 새벽 두 세시간만 빼고 계속 틀어놓구요.15년 되가는 제품이라
    매해 여름마다 전기요금 2~3만원 추가로 더 나온거구요.28도쯤 30분 틀어놓으면 선선해져서
    29도로도 충분하고..잘때는 30도로 최소풍량만 해도 딱 좋던데요.세식구 모두 더위 엄청 타고
    땀도 많은 사람들이라 회사나 음식점같은 웬만한 냉방 성에 안차는데 집에서만큼은 덥지 않게
    쾌적하게 보내요.남편회사사람들도 전기요금 걱정 되서 하루 정해놓고 튼다 한다고 해서 우리집
    이야기 하면 안믿는다고 하더군요ㅎㅎ 약하게 계속 틀어놓는 것 과 벽걸이 장점이 있고..옜날
    제품이라 더 좋은 부분도 있지 않나 싶은데..믿던 말던..여름마다 돈 부담 없이 안덥게 사는게
    사실은 사실이니까요.

  • 12. 이해전혀안감
    '13.8.13 12:16 PM (117.111.xxx.10)

    저는 1등급 10평 7월한달 틀고
    평소의 전기요금에 만원가량 더 나왔어요
    다만 제습을 많이틀었고요
    1등급 인버터 10평형 벽걸이구요 lg입니다
    저는 1등급 정말 잘샀다고 생각하는데

  • 13. Mm
    '13.8.13 1:20 PM (175.210.xxx.243)

    처음 에어컨 틀때 얼마나 낮은 온도로 트느냐, 또 껐다 켰다를 얼마나 반복하느냐에 따라 또 다르지 않을까요?
    저도 껐다 켰다를 하루에 서너번 반복하지만 27-28도에서 시작해서 29도로 유지하는 편이에요.

  • 14. 저도 궁금
    '13.8.13 1:37 PM (220.124.xxx.131)

    우리집도 평균 2~3만원대 전기요금 내는 집인데, 이번달엔 20만원 더 나올것같아요.
    근데 전 초저녁6~8 시정도까지나 좀 더 하루평균 3시간 전후로 트는데 계량기보면 20씩 꼬벅꼬박 올라가요.
    하루종일 틀고 10만원 안나오는집 무슨 에어컨인지 넘 궁금해요.

  • 15. 3만원대 더..
    '13.8.13 3:45 PM (211.207.xxx.180)

    우리집 에어컨은 엘* 제품이고 사계절이라는 상품명이네요.그당시 엘*사계절 에어컨 광고
    많이 했던 기억 나요.15년 전 이라도 70 넘게 줬었고 8평형.그동안 as두어번 받고 수리비는
    2~3만원 정도라 별 부담 없었구요.벽걸이가 은근히 집안 전체를 식혀주는 장점이 있더라구요.
    현관 밖이나 베란다와는 정말 천지차이더군요.그당시 제품이 지금보다 더 우직하게 잘 만들어서
    그런 덕도 톡톡히 본다고 생각 되네요.행여나 고장 날까 이사 다닐때마다 보물 다루듯 하게 되요.

  • 16. sq106baw
    '13.8.16 4:23 AM (175.223.xxx.236)

    32평 빌라 거실에 6.6에 설치하고 덥기시작한 6월말부터 낮에 10시간이상씩 켰어요.
    그래서 7.9까지 쓴게 200kw입니다.
    약 2주일간 27도로 10시간 이상씩 가동요.

    그리고 7.10부터 8.9까지 남부지방 폭염이라 거짓말안하고 낮에 2시간
    빼고 27도 풀가동했고 8월 초부터는 사람죽을것같아서 24시간켰어요.
    9일은 검침못하고 며칠후에보니 대략310kw 써졌더라구요.
    6월은 180kw 2만원초반대.
    7월은 200kw 2만원초중반대.
    8월은 310kw 5만원 예상합니다.
    제습안쓰고 30일동안 26~27도로 20시간 이상돌리고
    에어컨 안쓴달보다 130kw더쓴거면 꽁짜인것 같은데요.
    에어컨은 처음 틀때가 전기제일많이 먹고 인버터는
    5시간이상 계속 일정온도로 틀때 유리하답니다.
    서너시간틀고 껐다가 켤거면 5등급 사는게 맞대요.

    원글님 평소 6만원이면 350kw정도 쓰셨고
    25만원은 650kw니 에어컨으로 300kw추가 된거네요.
    이건좀.. 문제가 있는듯한데 에어컨말고 다른 전기구사용이
    늘진 않았는지 보시고 에어컨 껐다켰다말고 일정온도로
    계속 켜두세요. 그리고 초반에 낮은온도로 식힌다음에 온도 올리는건
    5등급을 효율적으로 쓰는거에요.
    첫가동때 전기를 많이먹으니 이때 확 낮춰서 실외기 자주 돌지않게 하려구요. 정속형은 온도를 30도로 하든 18도로하든 같은 전력을 쓰지만 인버터는 온도구간별로 전기를 다르게 먹어서 27도로 처음에 틀어놔도 되구요.
    저처럼 계량기 확인하시면서 쭉 틀고사세요.
    전 너무만족합니다!

  • 17. sq106baw
    '13.8.16 4:29 AM (175.223.xxx.236)

    하지만 저는 빨리시원해지라고 샤워하기전에 파워냉방으로 20분켜놓고ㅋㅋ 씻고 나와서 27도로 유지한적도 많아요.
    잘때는 열대야 27도틀구요.
    진짜 1등급덕 톡톡히 보는것같아요. 종일 5등급 6평짜리 거실에 놓고 트는 사촌언니도 8만원쯤 나온다고 하거든요.
    언니네 평소 전기요금 저랑비슷해요.
    근데 저는 10평짜린데 5만원이니 ㅋ

    그리고 저희지역 검침일은 매달9일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3661 윗집화장실 누수로 고민입니다. 1 ... 2013/09/05 2,489
293660 도시가스 흡입시 부작용 아시나요? 1년여동안 2013/09/05 4,168
293659 강아지사료 나우처럼 냄새 고소한게 또 있나요 3 1등급 2013/09/05 1,710
293658 팔둑살이 빠졌어요. 5 팔둑살 2013/09/05 4,747
293657 추석 5일동안 자유라면 무얼하시겠어요?? 7 라니 2013/09/05 1,494
293656 노종면 기자 해고 무효소송 판결 고의 지연 의혹 1 정치적 2013/09/05 1,173
293655 책 추천좀 해주세요 cor 2013/09/05 1,246
293654 촛불마저 갈라져서는 안 된다 5 sa 2013/09/05 1,541
293653 어제 연우의여름 보셨나요? 6 ^^ 2013/09/05 1,790
293652 영화같은 대사. 분위기를 연출하려는 사람 1 ㅠㅠ 2013/09/05 1,734
293651 고층 전망 좋은 동향 아파트 매매하려고 하는데요. 4 조언 2013/09/05 3,948
293650 생까던 동네엄마가 슬슬 말 거네요.. 어쩌지요? 25 ... 2013/09/05 11,162
293649 얼굴살만 찌는 방법은 없을까요. 1 처짐 2013/09/05 2,989
293648 영어 말하기 3 영어 2013/09/05 1,208
293647 MB 사돈’ 조석래 효성 회장 ‘탈세혐의’ 출금 1 MB정권 본.. 2013/09/05 1,012
293646 대명항 맛집 추천^^ 5 꾀꼬리 2013/09/05 4,070
293645 아이가 사용하는 교학사 책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아야 겠어요 4 샬랄라 2013/09/05 977
293644 자두로 장아찌를 담았더니,, 4 장아찌 2013/09/05 3,843
293643 아이들 식당 동반시 출입금지 팻말 3 감전사고 땜.. 2013/09/05 1,994
293642 이런 경우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배상해주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 4 라일락꽃향기.. 2013/09/05 2,017
293641 남의집이 너무깨끗하면 부담스럽나요? 14 ㅎㅎ 2013/09/05 4,233
293640 언어학 전공하신 분 계심 책 추천 부탁드려요~^^ 6 .... 2013/09/05 2,660
293639 편도가 크지 않아도 수술 가능할까요ㅜ 5 에구 2013/09/05 971
293638 쾌락의 절정에 이르면 죽고 싶다는데..느껴보셨어요?????? 5 r 2013/09/05 4,294
293637 제상황에서 비자금을풀어야할까요?(아이교육문제) 28 현명한조언 2013/09/05 3,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