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갓집에 데려갔는데 자꾸 밖에 나가자면서 우는 애기...

피곤 조회수 : 2,430
작성일 : 2013-07-29 10:07:22

저희 딸이 두돌이예요.

말 너무너무 잘하고... 기저귀는 못 뗐어요.

말을 참 잘해서 전화통화도 돼요. 엄마 밥 먹었어? 뭐랑 먹었어? 빨리 올거야? 뛰어뛰어 해서 빨리 오면~ ㅇㅇ이가 엄마랑 놀이터 가서 놀아줄게~ 이정도 수준의 회화가 되는지라

사람들이 깜짝 놀래요. 건강한 편이고 고집도 좀 있고요.

 

낯은 좀 가리지만 어린이집 다녀서 약간은 극복한 상태고

동네 다니면서 어른들 보면 꼬박꼬박 인사하고 그래요.

 

그런데 외갓집에 데려갔는데

들어가자마자 밖에~ 나가자~ 우산쓰고 밖에 나가자~ 하더니 대성통곡하기 시작했어요.

외할머니할아버지가 낯설어 그런가 싶어서 조용한 방에 데려가서 진정시키려고 해도

자긴 밖에 나간다며 난리...

여기서 밥먹고 갈거라고 해도 아니라고 안먹는다고 밖에 나간다고 계속 울어요.

 

그집이 답답한 구조라거나 온도가 안 맞는다거나 하진 않거든요.

60평 넘고 집이 뻥뚫린 구조예요.

그리고 워낙 서울속 시골같은데라 앞뒤가 탁트인 산이고 베란다가 화단수준이라 에어컨 실외기 있는 쪽 화단에는 새가 알도 깠다는...

손주 온다고 에어컨도 계속 틀고 기다리고 있었고

자기 사진도 많이 걸려있고 할머니가 퀼트해서 퀼트인형도 갖고 놀거도 많고

할머니할아버지랑 두달 전에는 해변에도 가서 재밌게 놀았어요.

 

그런데도 자꾸 밖에 나가자고 해서 진짜 다 데리고 나가서 공원에서 놀았어요.

밥먹으러 그럼 식당가자 해도 싫다고 밖에 있을거라고 하고 억지로억지로 외갓집에 데려가서 밥 먹였는데

왜 싫어? 왜 밖에 나가고 싶어??? 그래도 별 말 없고 나가자고, 집에 가자고, 마트 가자고 (마트 휴일인데) 계속 그랬어요.

할머니는 애기가 싫어하면 어쩔수 없다고 자주 못봐서 그런건데 어쩔수 없다고 뭐든 강요하지 말라고 그러고

남편은 우리 애가 좀 예민하고 낯선 환경 싫어하는 스타일이니까 오히려 여기저기 친척집도 많이 데려가고 친구들이랑 여행도 가고 뭔가 새로운 자극을 많이 줘야 되지 않겠냐고 그랬어요.

 

저는 솔직히 이제는 아주 신생아도 아니고 어느정도는 친척집 가는거 정도는 싫어도 할줄 알아야 되지 않나... 싶은데

낯선 공간을 싫어하고 낯선 사람을 만나면 무서워하는 아기는 어떻게 대하는게 정석인가요?

되도록 맞춰주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남편말대로 오히려 낯선 상황에 더 많이 노출시키는게 좋은가요?

그리고 그런 이유는 무엇일까요??

IP : 171.161.xxx.5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예민한 아이
    '13.7.29 10:14 AM (222.106.xxx.161)

    외갓집이라면 아이 물건을 좀 갖다 놓으세요.
    제가 아는분은 시집이 시골이고, 맏며느리여서 명절이면 꼬박 몇일을 시집에서 지내야하니.
    집에 입주할떄 바른 벽지가 남은것이 있어서 아이 태어난 이후엔 그걸 가져가서 시댁벽 한쪽에 아이 눈높이에 붙였데요.
    그리고는 아이는 그 벽 아래에 눕히고 아이 이불 꼭 가져가고요.
    그랬더니 아이가 다른곳에 갈때보다 덜 예민하게 잘 자고 순하게 있더라고 하더군요.
    낯선 상황을 일부러 더 노출 시킬 필요는 없는거 같아요. 너무 집안에만 데리고 있는것도 안좋고.
    외출은 자주 하시고 되도록이면 시간을 짧게 하셔야할거 같아요.

  • 2. ...
    '13.7.29 10:16 AM (211.246.xxx.127)

    낯선집 뭐 이런게 아니라 애는 그냥 바깥이 좋은듯해요.
    밖에 있다 실내로 들어온거니..
    외가집이든 친구네든 식당이든 상관없이
    그냥 바깥이 좋은.. 이것 저것 볼꺼 많고 사람, 차 왔다갔다하고.. 재미나겠죠.

  • 3. 두분다 맞아요.
    '13.7.29 10:16 AM (58.236.xxx.74)

    맞춰주기도 하고 장기적으론 친척 방문 외부자극 여행 서서히 늘려야 해요.
    시간 지나면 다 나아져요.
    저희랑 너무 똑같은데, 외가 식구들이 너무 좋으신데도 그랬어요.
    민망함만 좀 극복하면 나중엔 죽고 못사는 사이 되니 걱정 마세요.
    심하면 아이에게 맞춰주시고 약간 찡찡찡 정도면 데리고 들어가시되, 너무 당황하거나 속상해하지 마시고
    아이와 외할머니 모두에게 긍정적인 암시를 주세요.
    '지금은' ㅇㅇ이가 낯설어서 그렇구나, 엄마도 어릴 때 그랬어, 근데 좀만 지나면 편안해져,'
    이렇게 자꾸 나아질 거라는 암시를 주시면 돼요.

  • 4. 피곤
    '13.7.29 10:17 AM (171.161.xxx.54)

    제가 또 궁금한건 이런 애기는 약간 문제가 있는걸까요? 애착 문제가 있다거나 신경쪽 문제가 있다거나 그런걸까요??
    남편은 좀 이상한거 같다고 아주 애기면 몰라도 이젠 안 이래야 할 때가 온거 같은데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냐고 그랬어요.

  • 5. 껌딱지
    '13.7.29 10:21 AM (112.185.xxx.130)

    저희 큰조카랑 비슷하네요.
    세상에서 제일 싫고 무서운 사람이..외할아버지 였어요.
    유독 외할아버지만 싫어하는 애기 였어요 ㅋ

    그럼에도 외할아버지는 매일 30분 거리를 달려서 애기를 보러 다녔었구요.

    물론 지금은 외할아버지의 껌딱지가 되어있어요 ㅋ

  • 6.
    '13.7.29 10:22 AM (58.236.xxx.74)

    절판된 책인데 다니엘 골먼의 사회지능이란 책 보면
    타고나길 편도가 과민해서 작은 자극에도 확 끌어오르는 애들이 있대요.
    뭔가 낯선 상황이나 낯선 이에 대해 저항이 심한 아이들인데요.
    부모가 그 기질을 부정적으로 여기지 않고 그대로 인정하고 부드러움을 가지고
    새로움 쪽으로 서서히 리드하면 그 예민함이 섬세함쪽으로 승화된다네요.
    시원시원한 아이보다는 손이 많이 가지만 그런 아이만 갖는 장점이 있대요.

  • 7. ..
    '13.7.29 10:38 AM (220.78.xxx.99)

    아이고 아무 문제 없어요
    보통애들은 안그런데 왜 내 아이만? 이런생각 하지마세요..
    보통애들 두돌에 그런의사소통 안되는데 원글님 아이는 말 잘하잖아요..
    말 잘한다고 다른것도 다른 아이보다 잘하는게 아니예요..

    아이가 나가자고자면 일단 나가서 아이외 대화하면서 저 안에 들어가면 생길 좋은 일을 야기해주세요.ㅊ
    그 중에 아이가 맘에 드는게 있으면 그게 궁금해서 들어갈거예요.

    저도 지난주말 예민한 조카가 왔었어요.
    현관에서부터 울길래 유모차에 삼십분 앉혀두고 저희집을 보게 한 후 먹을거 아이보이는 곳에 늘어 놓으니 자기가 스스로 들어오더라구요^^

  • 8. ..
    '13.7.29 10:40 AM (220.78.xxx.99)

    중간에 ㅊ는 핸드폰으로 써서 .의 오타입니다.
    .과 ㅊ가 붙어 있어서요

  • 9. 저희 애도..
    '13.7.29 10:51 AM (222.109.xxx.181)

    저희 애도 시댁만 가면 그렇게 울고,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만 비쳐도 울었어요.
    낯설어서 그래요.
    그런데,, 몇 달 지나고 다시 방문하니 그 새 컸다고 안 울고 웃으며 들어가더라구요.
    낯설어서 그래요..
    저희 애는 자기 이불도 가져가고 그래도 낯선 곳을 싫어하더군요.

  • 10. 우리는
    '13.7.29 11:02 AM (119.195.xxx.167)

    외갓집에 사촌들은 없고 어른들만 있는가보네요
    애들은 애들 좋아해서 사촌들 있으면 좋아할껀데요

    저희 시어머님은 우리 아기 데리고 가면 보자마자 과자부터 쥐어주시더라구요
    그래서인지 시댁 좋아하구요
    친정에 가도 사촌들 과자 같이 먹으니 좋아하더라구요

    저도 과자 주는거 정말 싫은데 이제 그런날만 먹게할려구요

  • 11. 피곤
    '13.7.29 11:08 AM (171.161.xxx.54)

    댓글님들 설명을 들으니 저희 애만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 애기들이 그런 상황이 종종 있는거 같아서 마음이 편해지네요.
    다 컸는데 하면서 키우지 말라는 말씀도 와닿네요 ㅎㅎ
    먹을걸로 꼬시는 방법도 현실적이고 좋은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5786 서울 곳곳 시위, 새정부 '첫 물대포'. 수백명 연행 12 우리는 2013/08/15 1,733
285785 홈메딕스 스팀다리미 갖다 버릴라구요. 5 으이구 2013/08/15 4,914
285784 휴가 안가시는분 계신가요? 7 휴가안가 2013/08/15 1,242
285783 경찰 수사결과 사실대로 발표됐다면 대선결과 '반전' 2 샬랄라 2013/08/15 1,010
285782 아래 부지런하고 깔끔하신 분들은 날씬하신가요? 11 ... 2013/08/15 3,678
285781 영유아좀 영화관에 데려오지 마세요. 29 ..... 2013/08/15 4,889
285780 전주 35사단 근처 1 면회 2013/08/15 855
285779 전기렌즈 조언 좀 4 기쁨 2013/08/15 1,593
285778 네일샾에서 손톱젤 8만원에 했어요 억울 ㅠ 14 ... 2013/08/15 11,124
285777 내일 고갱전 가려고 하는데 어린이 도슨트 들어 보신분 있나요? 6 그림 2013/08/15 1,430
285776 장애인, 국가유공자보다 더 싸게 핸드폰 쓰는 방법 바람의 딸 2013/08/15 1,251
285775 도시가스 사용시 온수 사용은? 2 도시가스 2013/08/15 2,591
285774 흑미는 왜 비쌀까요? 4 몰라서질문 2013/08/15 2,075
285773 작은 회사가 비정규직을 더 뽑는거 같아요 ... 2013/08/15 800
285772 일반의약품 인터넷으로 구매해도 괜찮을까요? 3 궁금 2013/08/15 1,944
285771 한쪽 얼굴 피부가 아파요 9 // 2013/08/15 16,508
285770 단양 대명 아쿠아월드에 수영복 필수인가요? 1 구름이 두둥.. 2013/08/15 1,768
285769 출국할때 면세점에서 산 액체류는? 9 궁금 2013/08/15 6,992
285768 손발 특히 발이 너무 시려워요 ㅠㅠ 4 얼음짱 2013/08/15 1,565
285767 일하는 데서 1 궁금맘 2013/08/15 562
285766 이병헌의 결혼 소식을 보면서... 23 메타 2013/08/15 13,590
285765 이 더운날에 음냐 2013/08/15 612
285764 강신주 교수의 '노처녀론'을 듣고 펑펑 울었어요. 62 sjh984.. 2013/08/15 31,303
285763 원래부터 발소리가 큰 사람은 어찌해야 하나요? 윗집 쿵쿵대는소리.. 12 .. 2013/08/15 8,820
285762 잡티가 있는데두 피부좋은분들은 10 피부 2013/08/15 3,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