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마지막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새는 밤 조회수 : 1,630
작성일 : 2013-07-19 04:02:48

어머니가 아마도 얼마 못 사실 것 같아요.

원래 암치료 받다가 최근에 급속히 나빠졌는데 그게 항암 치료 하면서 제대로 드시지도 못하고 그러니

기력이 약해지고 그러니 자기 몸을 갉아 먹는 식으로 버티다가 이주일 전에 갔을 때 보니 무척

상태가 나빠져서 숨쉬는 것도 힘들어 할 정도였어요.

그 때도 검진을 위해서 병원에서 오라는 날짜가 아직 멀어서 그래도 집에 계시고

그랬는데 사흘 전에 너무 심해져서 늘 치료받던 병원에 갔더니 몸 안에서 출혈이 일어났다고

그게 어느 부위인지 모른다고 알아본다고 그저께 어제 사진 찍고 등등 했나 보더라구요.

지금은 관으로 영양 삽입하고 있고 어제까지는 의식도 없고 말도 못하다가 지금은

어눌하게나마 말도 한다는데  아버지 말로는 병원에 더 두는 게 의사의 실험 대상인 것 같고

본인도 힘드니 그만 병원에서 나오는 게 어떠냐고 합니다.

어머니는 어떻게 해서라도 치료해서 고치고 싶고 그래서

힘든 치료도 꾹꾹 참고 견디고 있는 중이지만 지금 병원에 입원한지

겨우 사흘 됐는데 아버지느 저렇게 말하고 계신데

제가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모르겠어요.

어머닌 간암이고 지난 3년간 게속 병원 왔다 갔다 하면서 치료 받아 왔고

차로 한 시간 거리 운전이며 병원 따라 가주고 하는 일은 아버지가 다 해왔습니다.

아버지 원래 성정이 다정하거나 살가운 편도 아닌데다 어머니 하고는 더더욱 정이라곤

없어서 그냥 인간적인 도리로만 했지만 어쨋든 자식보다는 나은 쎔이었죠.

아들 둘은 같은 도시 가까이 살아도 큰 며느리는 결혼하고 전업이었고 애 둘 어머니가 같이 키워주고

나니 큰조카 중학교 가기 전쯤  분가해 나갔고 그 후로도 전업으로 살다가 얼마 전부터 집에서 부업한다고

하더군요. 먹고 살기 어려워서 부업 하는 건 아닙니다. 

둘째 처는 회사 다니고 역시 잠깐 들어와 살다가 나갔고 저는 멀리 살아요.

아프면서 자주 내려가 보았지만 저는 제 가정의 경제적으로는 가장 역할을 하고 있어서 자주는 못 내려갔고

음식이나 필요한 거 인터넷으로 주문해서 보내드리는 식으로 하고 지내왔어요.

아버지말은 앞에도 말했다시피 그대로 병원에 두는 건 의사의 실험 밖에 안되는 것 같고

또 병원에 둔다한들 가망도 없으면서  계속 쌓이는 치료비는 누가 낼거냐는 거죠.

두 동생들 앞으로는 이미 집을 한 채씩 다 해준걸로 압니다. 큰 동생은 분가하면서

같이 안 사니 부모님이 그 집에서 사시기는 했지만 명의는 동생이름인 거죠.

작은 동생 역시 집을 한 채 주었지만 그건 다 팔아서 쓴 걸로 알고요.

전 일원 한 장 받은 건 없어요. 물론 키워는 주셨죠.

전 환자인 엄마 본인이 살고 싶다고 치료 받고 싶다고 하는데 본인의 의사가 존중되야 한다는

입장이고 아버진 다른 의견이신거죠.

아버지 말로는 큰동생은 엄마를 어떻게 할지 현재 이일에 별로 관심이 없어 보인다 하고

또 혼자서는 별로 결정을 못하는 것 같다고 하시대요.

작은 동생은 어떤 생각인지 모르겠고요. 엄마 아프시고부터 주로 두 동생들이 집에 와서

들르고 음식도 사다 주고 그랬어요. 왜냐면 며느리 부모가 아니라 아들들 부모니까요.

며느리 둘은 아주 가끔씩 음식 해오거나 주로 만들어 놓은 반찬, 짜든

맵든 사다 주는 게 주로 하는 일이었죠. 최근에 아주 아빠서 숨쉬기도 힘들고 집 안에서 거동도

못하고 그래도 며느리 한 사람도 와 본 사람이 없었죠.

진짜 속마음 같아서는 비록 치료한다해서 낫지 않는다 해도

그저 생명을 연장할 뿐이다 해도 전 큰 동생한테 준 그 집 팔아서 거기다 쓰고 가게 하고 싶은

마음이거든요. 집이 좀 크고 서울은 아니라도 값이 나가는 집인데 아버지는 집 줄여서 가면 되고

그 돈으로 그리 했으면 좋겠는데 아버진 아마도 아까울테고 그렇겠죠.

그렇다고 제가 돈이 있어서 내가 비용 다 감당할게 이럴수도 없고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어요.

엄마 본인은 치료 받고 싶다는 의사 표현을 하는데 내가 뭘 어떻게 해야할지.

그 집이 사실 판다해도 윗층에 전세금 주고 하면 아버지 살 집 마련한다 생각하면 또

그리 많이 돈이 나오지는 않을거란 이야기도 있는데 그래도 그 얼마 안 되는 거라도 엄마가 다 쓰고 갔으면

좋겠는데 그렇다 해도 그 집도 제것도 아니고 아버지가 평생에 걸쳐서 번 돈으로 산 건데

내가 아는 아버지 생각으로는 분명 아까와서 절대 살리지도 못할 일에 그 돈 자기꺼 아니라도 못 쓰게

할 사람이라는 건 너무 확실해요. 맘 같아서 그 돈이라도 엄마가 쓰고 가게 하고 싶지만

물론 내가 그러자고 한다고 해서 100% 그리 되는 것도 아니겠지만 마음이 답답하고

나이 들수록 사는 게 힘든 일이란 걸 절감하게 되요.  

IP : 120.142.xxx.4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oops
    '13.7.19 4:09 AM (121.175.xxx.80)

    참 결정하기 어려운 안타까운 상황이네요....ㅠㅠ

    담당의사에게 진지하게 문의해 보는 건 어떨까요?
    물론 의사라고 잔존여명을 딱 부러지게 예측할 순 없겠지만
    우선 담당의사에게 환자의 상황을 상세하게 듣고 나면 결정하는데 그나마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지 않을까요?

  • 2. 의사는
    '13.7.19 4:13 AM (120.142.xxx.42)

    자기도 어떻게 될지는 모른다는 거죠.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 3. 후회하지 않기
    '13.7.19 5:25 AM (112.153.xxx.137)

    저는 며느리 입장이었는데 병원에서 수발하고 임종까지 제가 했어요
    아버님은 구강암이 재발해서 뼈까지 퍼진 상태셨어요

    제 생각은 그래요
    말기암이면 병원에서 해주는 것은 고통을 없애주는 그런거외에는 거의 없어요
    하지만 그게 정말 고통스럽기 때문에 병원이나 요양병원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의사들도 그렇게 마구 치료하지 않아요
    게다가 제일 중요한 사항이 환자가 원하잖아요

    의사에게 연명치료는 하지 않겠다 미리 말씀은 드리고
    그리고 입원했었어요
    저희 아버님도 치료하면 낫으리라 생각하고 계셨어요
    돌아가시는 날까지

    그리고 원글님 글에 나오는 병원비
    검사하고 그런 돈들 많이 나오지 않아요
    저희는 병실을 다인실을 썼어요
    그러다가 의사가 보기에 임종이 가까워졌다 하니 1인실로 옮기더라고요
    그런데 그때도 방값은 일주일동안 다인실 비용으로 계산이 된다고 들었어요

    결국 1인실 옮기고 나흘만에 돌아가셨는데요
    병원에 총 입원하신 것은 두 달이 조금 안되는데
    나중에 돌아가시고 병원비는 30만원정도 냈습니다
    MRI 이런 것도 말기암 환자 혜택(?) 잘 기억이 안나는데
    암튼 그런 식으로 다 보험으로 제하더라고요

    지금도 후회는 별로 없어요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서요

    구구절절 썼지만
    결론은 환자 본인이 원하시는대로
    그리고 자식들이나 보내는 가족들도 후회없는 그런 결정을 하시는게 맞다는 생각이 듭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2481 롯데호텔 뷔페 ,,어때요??아침이나 저녁으로 8 휴가 2013/07/31 2,144
282480 서민고통 가중시키는 세제개편 안 된다 ㅍㅍ 2013/07/31 867
282479 면생리대 뭐 쓰세요? 16 kk 2013/07/31 5,227
282478 외이도염때문에 고생이 많아요..식초소독에 대해서..알려주세요~ 11 흑흑 2013/07/31 14,954
282477 자치회관 요가를 배우려는데요 복장문의? 4 .. 2013/07/31 1,467
282476 지자체도 '갑을논란'..유등축제 두고 서울-진주 갈등 격화 3 세우실 2013/07/31 1,145
282475 소이현 너무 이쁘지 않나요? 19 .. 2013/07/31 6,518
282474 묵주기도 어플 문의드립니다 3 천주교 2013/07/31 2,103
282473 난 점심 이렇게 때웠다... 5 ... 2013/07/31 2,545
282472 운전 배우고 있는데요 6 초보 2013/07/31 1,550
282471 부산회원님들!부산서 담석증 수술 잘하는 의사 소개해 주세요. 담석증 2013/07/31 1,793
282470 서화숙] 정부는 이명박에게 22조원을 받아내라 7 ㅁㄴ 2013/07/31 1,502
282469 뱃속아기가 절 안닮았음 좋겠어요.. 8 고민 2013/07/31 2,134
282468 저희 딸이 오늘 한 얘기 9 네 살 2013/07/31 2,837
282467 카톡에 난리인 일본방사능에 대한 기사 1 암환자입니다.. 2013/07/31 1,861
282466 그 스승에 그 제자…고려대 교수 · 학생 몰카찍다 덜미 18 zzz 2013/07/31 3,367
282465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의 전세가격을 알수있는 방법 없을까요? 3 fff 2013/07/31 1,052
282464 옆집 아주머니가 컴퓨터를 배우고 싶다는데..도움청합니다. 3 방법.. 2013/07/31 1,657
282463 휴가때 뭘하시며 보낼 계획이세요? 1 신혼 2013/07/31 1,181
282462 방학생활이 품절이네요 ebs 2013/07/31 1,028
282461 무리한요구인가요? 5 세입자 2013/07/31 1,582
282460 남자들중에 막내들 있잖아요. 22 2013/07/31 7,241
282459 개인장기렌트카 1 오다리엄마 2013/07/31 1,232
282458 롯데마트 쿠폰책 몇 개월마다 나오는건가요 2 2013/07/31 944
282457 은행 atm기계 앞에서 3 말일 2013/07/31 1,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