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간헐적 단식과 굶다 폭식하는 것과 무슨 차이인지요?

단식 조회수 : 9,368
작성일 : 2013-07-15 09:34:38
어제 프로그램 보면서 맘이 혹하네요.
요즘 이틀에 한번 1시간 30분 걷기 해서 2주에 1.5킬로 줄였어요..그런데 이정도는 하루만 잘 먹어도 금방 제자리로 되는 거라 ... 그래도 저울의 눈이 움직인 것만으로도 다행이예요. 음식도 배터질 때까지 먹는 습관은 절제했구요. 배고픔을 느껴 꼬로록 거릴 때 평소보다 3분의 2정도 먹었어요..더 줄이면 난폭해질것 같아서..흑
그런데 간헐적 단식을 보고
저녁은 좀 이르게 6시전까지 마치고 공복이다가 아침을 10쯤 먹고 다시 저녁 일찍 먹으면 되는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이게 굶다 먹는거랑 뭐가.다른지....
흔히 굶으면 폭식하게 되고 그게 다이어트에 안좋다고 다들 세끼 조금씩 먹으라고 한것 아닌가요?
좀 얼른 체중감량하고 싶은.마음에 조바심이 나서 글 올려보네요.
IP : 218.55.xxx.83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귀네스팰트로
    '13.7.15 9:41 AM (182.211.xxx.132)

    어제 방송은 못봤지만요...
    몸찬님이 블로그인가?에서 그러시더군요.
    가장 중요한건 간헐적 단식한 후에 식사할 때 폭식이 아니라
    그 전에 먹었던 양의 120% 정도의 칼로리를 섭취하는거라구요.
    말하자면 간헐적단식 들어가기 전 식사칼로리가 100kcal 였다면
    16시간 후 먹는 식사의 칼로리는 120kcal여야 한다는 거죠.

    그 이야기를 읽으니 방송은 너무 과장광고 비슷한거 같아요.

  • 2.
    '13.7.15 9:43 AM (211.221.xxx.183)

    저도 혹해서 시도했는데 결국 폭식 와서 실패했어요. 먹는 것도 막 햄버거 이런 게 땡기고...;;

  • 3. ㄴㄴ
    '13.7.15 9:45 AM (110.13.xxx.12)

    폭식을 하라는게 아니죠.
    어제 보니 간헐적 단식으로 위가 줄어 더 먹고 싶어도 못 먹는다는 연구 결과도 보여주던데요.
    하루 먹을 양을 하루 종일 3끼 나눠 먹는게 아니라
    같은 양을 일정한 시간에만 먹는 방법으로 바뀌는거잖아요.
    16시간 혹은 24시간 공복기를 두는 방식으로요.

  • 4. ..
    '13.7.15 9:48 AM (1.244.xxx.96)

    간헐적단식 4개월차구요.(끼니반란1 보고 시작했으니)
    10킬로 감량해서 60킬로대 됐어요.(그전엔 70킬로대)
    아직 20킬로 정도 더 감량할 계획이구요. 무리하지 않고 천천히 하는 중이에요.

    저는 아침 굶고 점심, 저녁 먹는 16:8 방식을 하는데, 점심, 저녁에 폭식하지 않아요.
    이젠 간헐적단식에 익숙해져서 어느 정도 먹으면 배가 부르거든요.(한끼에 밥 반공기 정도)
    일주일에 한두번은 과식 정도는 해요. 먹고 싶은 거 먹고. 치팅데이 같은 개념으로..
    치킨 먹고 싶어지면 낮에 치킨 시켜서 저녁때까지 한 마리 다 먹어요. 샐러드랑 해서.
    그런 날엔 밥은 안 먹고요.
    고기는 많이 먹는 편이고, 탄수화물은 하루 밥 한공기 정도로 조절해서 먹었어요.
    감량엔 탄수화물 줄이는 게 유리하다고 해서...
    간헐적단식이라고 먹는 시간에 맨날 폭식하면................... 살쪄요.ㅎㅎㅎ
    티비에 나온 분들도 본인 기초대사량에 맞춰서 약간 과식하는 정도겠죠.
    연구결과에도 나왔잖아요. 먹는 시간에 175%를 먹을 것 같았지만 115% 정도 밖에 못 먹는다고.
    0%, 115%, 115% 이렇게 세끼를 해도 100%씩 3번 먹는 것보다 하루 30%는 덜 먹게 되니까요.
    하다보면 체중이 줄어들더라고요.
    한달 정도는 드라마틱하게 확 줄고, 둘째달부터는 서서히 줄어들고 있어요.

  • 5. ..
    '13.7.15 9:51 AM (1.244.xxx.96)

    아 전 운동은 거의 안했어요. 운동도 병행하면 효과 더 좋을 거에요.
    저도 좀더 감량하고 나서 가을쯤 돼서 선선해지면 운동 같이 할라구요.

  • 6. 제가
    '13.7.15 9:52 AM (218.55.xxx.83)

    첫방송부터 꼼꼼히 못봐서 그런가봐요. 어제 본 방송에서 방송의 논조는 별개로 출연하신 사례자들의 모습이 폭식에 가까워서 이해하는게 좀 혼돈이 되었나봐요.

  • 7. 단식
    '13.7.15 10:03 AM (222.237.xxx.87)

    요즘 간헐적 단식 자주 보이네요. 이거 제가 2006년경에 올렸던 내용 같은데 요즘 좀 변형되서 많이 나오네요;;
    일단, 제가 예전에 주장했던 내용은 이거였어요.
    1년에 한두번 하루 정도 굶는다면 건강에 좋다. 휴일이나 쉬는 날을 이용하여 굶어보자. 단, 이틀 이상은 생명에 위험하다.
    제 생각에는 하루 3끼 조금씩 줄이는게 맞구요, 단식은 이렇게 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 8. ..
    '13.7.15 10:06 AM (175.200.xxx.243)

    두달 정도 됐구요 8키로 정도 빠졌어요

    아침 안 먹구요 점심은 토마토 1개에 밥조금 먹구요 오이 상추 고추 계란 등 고기도 먹구요

    안 가리고 먹고 싶어거 있으면 먹었어요 빵도 먹구요

    대신 점심 먹고 간식 먹은 날은 토마토와 오이로 저녁 먹었어요

    아이가 있다보니 규칙적인 식사는 못 했구요

    운동 전혀 안 했습니다

    운동 하니 허기지니 막 먹게 되더라구요..

  • 9. 실천하신
    '13.7.15 10:10 AM (218.55.xxx.83)

    분들 이야기를 보니 평소 세끼를 잘 드시던 분들이 탁월하게 효과를 보일 것 같네요. 평소 아침굶고 불규칙하게 식사하시는 분들보다요.

  • 10. 저도 4월말부터
    '13.7.15 12:31 PM (211.192.xxx.53)

    시작해서 5kg 빠졌어요.
    인바디 해보면 전혀 근육량이 빠지지 않았고요.
    처음엔 너무 허기가져서 힘이 들었는데 지금은 밥 먹기 2시간전 정도가 좀 배가 고파요.
    그래서 밥 먹으면 많이 먹어야지 생각을 하고 먹기 시작하면 배가 불러서 먹질 못해요.
    먹고 싶은거 다 먹고, 무엇보다 좋은것은 밥 먹고 더부륵함이 없어졌어요.
    항상 밥 먹고 다음 끼니 먹을때 까지 더부륵함이 남아있어 힘이 들었고 위경련이 자주 있었는데 이것도 없어졌어요.
    그리고 머리카락이 많이 빠졌었는데 이것도 좋아졌고요.
    이것저것 다이어트를 많이 했었는데 저에게는 이게 제일 잘 맞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79702 엊그제 올라온 글들중에서 혜성 2013/07/23 814
279701 대파 초록색부분 다 버리세요? 28 초보 2013/07/23 13,268
279700 목뒷덜미부터 머리위가 1 점순이 2013/07/23 1,405
279699 결혼해도 월급 정직하게 공개할 필요 없죠? 7 ㅡㅡ 2013/07/23 2,947
279698 문재인 정확하게 집어주네요 2 cafe 2013/07/23 2,212
279697 발레하시는 분~ 도움 부탁 드려요. 5 발레초보 2013/07/23 2,164
279696 아이 별명이 달마시안이랍니다. ㅠㅠ(피부) 13 미치겠네. .. 2013/07/23 2,518
279695 부동산 중개업소 주인 때문에 화나네요... 8 ... 2013/07/23 1,776
279694 임산부 카페 가보니 태아 성별.. 2 임산부 2013/07/23 3,028
279693 수학과학영재학급에 대한 의견 부탁드려요. 4 고1맘 2013/07/23 1,234
279692 마인드맵이라고 요즘 많이하나요? 4 .. 2013/07/23 1,750
279691 시들거리는 열무 반단으로 1 반찬 혹은 .. 2013/07/23 945
279690 아래 글에 가난한 친구가 불편하고 지친다는 글 읽으며 다시 상처.. 27 밑바닥의 생.. 2013/07/23 13,524
279689 급)중고나라사기 지급정지 하면 미인출 돈 받을수 있는지요!.. 3 무지개 2013/07/23 2,554
279688 여름 소파배치 3 .. 2013/07/23 1,282
279687 오늘의 친구가 내일의 적이 되거나 그 반대도 있다는데 1 사회생활의 .. 2013/07/23 1,081
279686 우드카페트 사용법 질문드립니다 대자리 2013/07/23 840
279685 4살 아들 어린이집 방학이에요. 뭐하고 놀까요? 1 궁금이 2013/07/23 911
279684 치앙마이 자유여행 다녀오신분들 5 .. 2013/07/23 4,172
279683 냉장고 정리 용기 좀 추천해 주시어요 2 언니들 2013/07/23 2,822
279682 중학생 영어 문법 공부 하는 도중에... 4 문법 2013/07/23 1,675
279681 넬리 세제 써보신분 소다랑 많이 틀린가요? 4 넬리 2013/07/23 13,476
279680 이태원 맛있는 식당 추천 부탁드려요 7 재미 2013/07/23 1,682
279679 버스카드 내릴때도 찍어야해요? 38 무식이 2013/07/23 22,460
279678 수영 강습받을때 물에 뜨는 판을 모라고 하나요? 2 이름알려주세.. 2013/07/23 2,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