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에게는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

생각할 시간 조회수 : 1,625
작성일 : 2013-07-04 17:34:02
워낙 저도 어릴때 학원 안 다니고 혼자 집에서 뒹굴뒹굴 책보고 나가 놀고 하며 컸던 터라 당연히 저희 아이도 그렇게 키우고자 하는데 주위에서 저희같은 집이 거의 없어 이런 생활을 이어가는데 굳은 의지가 필요해요.

큰애가 초 3인데 지금까지는 피아노학원 외에는 다닌 적 없고 그나마 이사하고 적응시간을 주느라 지금은 피아노학원도 잠시 쉬고 있어요. 물론 선행 같은건 집에서도 안 하죠. 아이가 묻는 것에 대답해주고 이렇게 저렇게 실물에 빗대 적용해보도록 도와주는 정도?
 
저도 많이 부족하고 짜증도 많은 엄마인데
적어도 공부로 아이를 미리 질리게 만들지는 말자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아이가 받아오는 시험 점수에 의연한 모습 보여줘왔어요.
제일 못 봤던게 2학년때 수학 75점이었나? 65점이었나? 아무튼 아이는 옆 짝꿍이, 자기는 집에 가면 100점 받으면 용돈을 받고 틀리면 틀린 수대로 손바닥을 맞는다고 그러는 말을 듣고 우리 엄마도 그러려나 조금 불안했나봐요. 한번도 점수로 뭐라 한 적이 없는데 굉장히 미안해하며 시험지를 꺼내놓더군요.

그런데 저나 남편이 괜찮다고, 다음에는 아는 거 틀리지 않도록 조심하자고 , 
엄마 아빠도 어릴적에 시험 못본 적 종종 있다고 가볍게 넘어갔어요.
90~100점 받으면 또 지나치게 좋아하거나 하지 않고 잘했다 정도만 말해주고 
시험 잘봐서 사주는 거라고 일부러 티내지는 않고  학교 앞에서 솜사탕이나 아이스크림을 하나 사주는 정도였고요.


그 덕분엔가 아이는 제가 굳이 묻거나 확인하지 않아도 이번주에 무슨 시험본다 
내일은 무슨 시험본다 오늘 무슨 시험 봤는데 어땠었다 얘기를 감추지 않고 편하게 잘 해요.

얼마전에 공개수업 갔었는데 확실히 1학년때 가보고 충격받았던 (아이들이 너무 산만...시장바닥 같았음. 선생님이 저걸 어찌 참고 보나 궁금할 정도) 모습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을 했더군요.

저희 아이뿐만 아니라 다른 아이들도 대부분 집중 잘 하고 수업에 참여하는 모습이 대견했어요.
그리고 느낀게 학교에서 저렇게 집중해가면서 4~5시간 이상 보내고 오는데
학원이나 과외를 서너가지씩 다니면서 거의 종일 저 수준의 집중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아이들의 나이에 비해 지나친 요구가 될 수 있겠다 싶었어요.
집에 오면 충분히 쉬고 하고싶은 걸 하게 해줘야 겠다...생각했죠.

오늘도 아이와 함께 걷는데 아이가 먼저 오늘 수학시험 봤다고 얘길 꺼냈어요.
어떤 내용으로 시험봤냐고 물었더니 곱하니 나누기 분수 시험을 봤대요.
풀만했냐 물어보니까, 생각보다 쉬웠고 풀만했대요.
"전에는 분수가 어렵게 느껴지고 곱하기로 분수를 풀수 있다는게 조금 이해가 안됐었는데
며칠 전에 집에 와서 곰곰이 생각해보니까 이해가 됐어요. 숫자가 복잡해서 계산하는데 시간은 걸리지만 원리를 확실히 알게 되니까 어렵지는 않았어요. 만점 받았으면 좋겠다~~"
하고 재잘재잘 얘기하더군요.

집에 와서는 종일 뒹굴거리며 책 보거나(책상에 앉아서 따로 공부 거의 안 함... 숙제도 일주일에 한번 일기와 독서록 외에는 거의 없음)
놀이터 나가서 동생이랑 실컷 놀다 씻고 자는 게 일과라 공부에 대한 생각은 요만큼도 안 하는 줄 알았는데 의외였어요.
정말 아이의 바람대로 만점을 받았을지, 몇 개 틀렸을지 알 수 없지만
아이가 시험에 대해 불필요하게 두려워하지 않고 엄마아빠에게 감추지 않고 말할 수 있다는 거
나름 혼자 배운 것을 새기며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는 게 기뻤습니다.

아이에게 뒹굴거릴 시간,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주는 것이 정말 필요한 일이구나 느꼈어요.
아직 저학년이라  느긋할  수 있는지도 모르지만 앞으로도 쭉 이렇게 해나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IP : 180.224.xxx.20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7.4 5:37 PM (218.50.xxx.145)

    좋은엄마시네요. 저도 님 생각에 동의하는데 쉽지 않네요

  • 2. ...
    '13.7.4 5:53 PM (175.194.xxx.226)

    저희 아이들도 학원하나 안보내고 집에오면
    뒹굴뒹굴 거리면서 책읽고 작문연습하고 그러는데
    사춘기도 무난하게 잘보내고 있어요
    아이도 쉴시간이 필요합니다
    자기시간을 자유롭게 쓰니 창의력도 좋아지고
    공부도 알아서 열심히 하고 그러네요

  • 3. 저도 노력중
    '13.7.4 5:57 PM (119.64.xxx.150)

    어제 만난 고3 엄마가 하는 말이 아이들이 수단이 되는 공부는 하는데 막상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이 없다네요.

    어릴 때 충분히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몰입할 시간을 주는 것이 좋다구요. 그러려면 빈둥거릴 시간이 필요한

    데 엄마들의 조급함 때문에 빈둥거리는 아이를 가만 두지 않잖아요.

    저도 초 3 아이를 둔 엄마라서 원글님 말씀에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그래도 다음 주 기말고사라고 문제집은 풀려야 맘이 안심되는 건 어쩔 수 없네요~~

  • 4.
    '13.7.4 6:02 PM (183.39.xxx.56) - 삭제된댓글

    그래서 울 초6아들 이제 6-2수학 간신히 선행하는데 혼자서 하고요, 중23까지 선행한 애들보다 수학 잘합니다. 점수 월등히 높아요. 여백의 미.. 중요하고요, 혼자 충분히 하게끔 시간주고 “기다려주는 것” 필요합니다.

  • 5. 아이
    '13.7.4 6:04 PM (58.236.xxx.74)

    기질에 따라 아이가 너무 게으른 스타일은 또 안 먹힐 수가 있는데요.
    그래도 아이에게 여유를 주는 건 엄마의 자신감인 거 같아요,
    그래서 아이 닥달하기보다 제가 좀 공부 하려고 해요. 내가 심지 분명하면 막연한 불안감에 조종되서
    아이에게 과도하게 집중하지 않을 거 같아서요.

  • 6. 저도...
    '13.7.4 11:13 PM (115.143.xxx.32) - 삭제된댓글

    저는 아직 아이가 1학년이지만 저랑 같은 성향과 생각이시네요. ^ ^
    저희 아인 일주일에 두번 선생님이 오셔서 피아노 치는게 다구요...하루 종~~~일 놀아요.
    아이 학교는 수학만 단원 평가라는 것을 보는데 여태껏 4번 봤어요.
    그런데...지난 주에 갑자기 단원평가를 잘 본 것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더라구요.
    누구는 다 맞으면 롯데월드 간다더라, 누구는 뭘 사준다더라...그러니 우리도 롯데월드 가자고...
    그리고 그전엔..누구는 만점 못 맞으면 혼난다던데 나도 그럼 혼나는 거냐고 묻기도 했구요.
    아이와 얘기를 해봤는데...공부를 왜 한다고 생각하냐 물었더니 엄마 아빠를 기쁘게 해주기 위해서라고 대답하더라구요. 주변 친구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듯...
    전 평소 아이에게 엄하게 하는 계모표 엄마이지만 유일하게 학습과 관련해서만 관대하거든요.
    학습과 관련해서는 절대고 혼내지도 화내지도, 그리고 과하게 칭찬하지도 않아요.
    그런데...이런 말을 해서 많이 놀랐고...어떻게 알아듣게 설명해야 하나 싶네요.
    자기만 학원을 다니지 않아 외토리라며...학원에 보내달라는 말도 하구요.
    친구들 다 학원가고 나면 혼자 놀다가 심심해지니 일기도 써보고, 구구단도 외워보고, 수학식을 만들어서 풀어보기도 하고 하면서 스스로 학습을 놀이삼아 지내더라구요.
    아이들에겐 정말로 뒹굴거릴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0611 7월 26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3/07/26 630
280610 다시 돌아간다면 대학생 방학때 뭘 하고싶으세요? 12 ㅎ.ㅎ 2013/07/26 9,633
280609 눈치 없는 매미 8 bb 2013/07/26 1,410
280608 어쩌면 새들은 이렇게 정확할까요 8 oo 2013/07/26 2,069
280607 둘째 고민이에요. 봐주세요..길어요 ㅠ 31 ........ 2013/07/26 4,556
280606 기적의 미네랄용액 MMS 개발자와의 인터뷰 건강 100.. 2013/07/26 4,022
280605 닭발로 육수낼때 원래 냄새 나나요? 1 ..... 2013/07/26 3,020
280604 풍족한 모유를 위해서. 13 아줌마. 2013/07/26 2,338
280603 전국체전에 연아가 나왔었네요 5 여왕 2013/07/26 2,520
280602 "영화 예스맨이라는 영화다들아시는지~~??" 1 fasfsd.. 2013/07/26 863
280601 무스캐이크 24시간 냉장/냉동고 보관 괜찮을까요? 2 ff 2013/07/26 780
280600 올해 수도권 아파트 경매물건 역대 최다..2만건 육박 .. 2013/07/26 1,472
280599 물때표 볼줄 아세요? 2 어려워 2013/07/26 1,131
280598 30대 미혼 과고-카이스트-의대졸 질문받아요~ 67 그린티라떼 2013/07/26 14,963
280597 '내가 가장 예뻤을때' 보신분들요 ~! 9 이종석 상남.. 2013/07/26 2,211
280596 가스렌지 점화손잡이 이상 고쳐달라고 할수 있나요? 1 전세입자 2013/07/26 2,164
280595 저 같은 미련곰탱이에게 조언 좀 해주세요(길어요 오타도 많아요).. 5 ㅠㅠ 2013/07/26 1,787
280594 흰가죽의 때 없애다가 얼룩 생겼어요... 얼룩 2013/07/26 1,952
280593 분을 삭히지를 못하겠어요.. 2 아이고 2013/07/26 2,113
280592 <중보기도> 기도가 필요하신 분 32 ... 2013/07/26 1,783
280591 스마트폰에서 책읽기...추천해주세요(웹소설 재미있는것?) 4 공주만세 2013/07/26 2,594
280590 영어 두 문장만 5 부탁합니다 2013/07/26 694
280589 베스트를 보고 ) 나 줄 음식하느라고 나를 소홀히 하던 엄마 8 베스트에 2013/07/26 2,687
280588 씽크대등 찌든때 제거하는 좋은 세제는 무엇인가요? 6 아이공 2013/07/26 5,658
280587 정녕 영어학원만이 답인가요? 18 중2영어학원.. 2013/07/26 3,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