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두아이 데리고 외국에 잠시 나가는데 교육관련 질문 있습니다.

조언좀해주세요 조회수 : 978
작성일 : 2013-07-03 15:54:26

애 아빠가 연말에 가까운 나라로 3년 파견을 나가게 되어서요,

제 직장도 있지만 과감히 포기하고 애들 둘 영어 배우게 하려고 같이 나갈거거든요.

 

큰애는 초등학교 1학년이구요, 작은애는 4살이라 지금 어린이집 다녀요.

두 애 학비 모두 애 아빠 회사에서 지원되기 때문에, 영어 배울수 있는 국제학교 보낼껀데요.

3년 후에 돌아오면 큰애는 초등5학년이 될테고, 작은애는 딱 초등입학할 때가 되는데,

저는 일단 앞으로의 3년은 그냥 영어만! 배우고 쓰게 하고 싶거든요.

국어가 중요한거 아는데 제가 한국에서만 영어를 배워서 발음이나 자연스러운 영어에 대한 한이 맺혀서

애들은 꼭 어색한 영어 안쓰게 하고 싶어요.

 

일단 지금까지 제 생각은 이러한데

제 생각이 위험할까요? (영어만 하면 큰일난다, 국어교육도 꼭 엄마가 챙겨줘야 된다 이런 의견도 주세요~)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이면 사회과목이 어렵단 얘길 여기서 많이 본것 같은데

미리 국사 책을 챙겨가서 읽혀야 될까요? (영어만 쓰게 하면서 국사 교육을 어떻게 시킬지 모르겠지만...)

 

제가 외고를 나와서 우리 큰애도 되도록이면 외고를 보내고 싶은데(물론 애가 공부를 잘해야겠지만)

혹시 초등학교 5학년부터 외고준비 학원을 다녀야 되면

외국에서 돌아와서 바로 외고준비 학원에 갈수나 있는지 그런게 참 궁금합니다.

모자란 저에게 교육 팁좀 부탁드립니다~

IP : 210.216.xxx.20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7.3 5:02 PM (175.115.xxx.27)

    알고 이해할수있는 모국어 수준만큼 늘어옵니다.
    가서 영어책이든 한글책이든 많이 읽고 오세요.
    그러면 귀국해도 따라갈거예요

  • 2. 해외5년
    '13.7.3 5:14 PM (112.168.xxx.161)

    저도 영어권 5년 간 아이들 국제학교 보냈는데요.
    학교 ESL 선생님이 가장 먼저 강조하신 게 바로 가정에서의 모국어 교육입니다
    부모의 어설픈 영어로 자녀 영어 가르치지 말고
    차라리 모국어를 잘 가르치는 게 낫다고요.
    모국어의 기본이 튼튼해야 영어도 잘 하게 된다는 거지요.
    세월이 많이 지나 중학교 1학년 때 귀국해 대학 3학년이 된 큰아이를 보면 그 말씀이 진리네요.

    3년이면 영어도 어중간하고 한국어는 더 어중간한 상태로 귀국하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현지에 있을 땐 영어동화책이나 DVD만화 등 적극 활용하시고,
    영어 개인과외를 하게 되면 반드시 문법도 병행하는 게 좋습니다.
    단계별로 리딩, 리스님, 라이팅, 문법까지 꾸준히 하고 왔더니
    귀국해서 한국 학원 테스트에서 문법 문제를 다 맞았습니다.
    대학 갈 때까지 문법 때문에 고전할 일이 없어서 좋았습니다.

    그리고 되도록이면 방학 중에 한국에 안 오시는 게 영어에는 도움이 많이 됩니다.
    여름방학에 한 번 다녀가면 아이들이 말을 버벅거리게 되더라구요.
    시부모님이 편찮으셔서 자주 옸다갔다 하느라 ESL을 또래보다 오래 한 편입니다.
    하지만 기초가 아주 튼튼해지긴 했지요.

    그리고 윗님 말씀처럼 주말 한인학교 있으면 꼭 보내시구요.
    학년별 국어, 수학 자습서와 문제집을 꼭 준비해서
    평소에 꼼꼼히 공부시키세요.
    국사가 걱정되시면 만화로 된 역사책을 골고루 사가셔서
    평소에 시간 날때 같이 보시면 도움 됩니다.

    큰아이가 초5때 귀국이면 한국공부에 대해서는 그리 많이 걱정 안 하셔도 될 듯 합니다.
    가정에서는 부모와 함께 한국어로 대화 많이 나누시면서
    어휘나 표현을 잊지 않도록 도와주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6개월에서 1년만 지나도 한국어 실력이 후퇴한다는 걸 몸으로 느끼게 되거든요.

    암튼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즐겁게 살다 오세요 ~~

  • 3. 해외5년
    '13.7.3 5:18 PM (112.168.xxx.161)

    참, 요즘 외고는 내신으로 가기 때문에 영어실력만으로는 어렵습니다.
    귀국해서 초5부터 학교공부에 주력하면 중학교 내신 따라가는 건 많이 어렵지 않을 겁니다.
    외고를 가든, 대학을 가든 젤 중요하고 어려운 게 국영수이니
    외국에 있을 때도 국어, 수학만 잘 챙기시면 됩니다.
    한국 동화책이나 옛이야기책, 역사만화 등 잘 챙겨가세요 ~~

  • 4. 아이패드
    '13.7.3 5:26 PM (124.148.xxx.219)

    외국사는 맘인데요, 아이패드 꼭 구매하시라 하고 싶네요.

    아이가 5살이라 학교에서 아이패드 가지고 단어배우고 숫자 배우고 한다네요.

    한글도 많이 있던데, 저희 아이는 한국어 포기했구요. 집에서 한국어 하시면 될 듯 한데요.
    밖에서 영어쓰면 애들이 좀 주늑들기도 한다는 데 천천히 놀이식으로 하시면 될 듯 해요.

  • 5. 원글
    '13.7.3 5:59 PM (210.216.xxx.200)

    소중한 답글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기간이 3년이라 어중간히 짧아 걱정이긴 한데
    공부 열심히 시켜야겠네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6. 원글
    '13.7.3 6:02 PM (210.216.xxx.200)

    근데 왜 제가 쓴글인데 초록색이 안나오죠....? 저 원글이 맞는데...회사라 그런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72790 공항면세점 시간이용 궁금증~ 3 2013/07/04 670
272789 분당 유방전문 병원 추천해 주세요. 광고글 사절 6 매란정 2013/07/04 3,246
272788 시켜야만 하는 사람 3 궁금 2013/07/04 1,073
272787 땡초기 한박스 있어요..어째요.. 5 ... 2013/07/04 1,202
272786 지루하고 따분한 신문사설.. 국미티비 2013/07/04 395
272785 의료실비 보험... 5 눈망울 2013/07/04 554
272784 국정충은 아직도 활동하나봐요? 3 ... 2013/07/04 568
272783 김치 못 먹는다는 30중반 남자 어떤가요?? 23 .. 2013/07/04 3,994
272782 쇠고기토마토샐러드 불고기용고기로 해도되나요? 1 생일 2013/07/04 652
272781 지금 중2 특목고나 자사고 갈 때 내신 산정법 3 내신 2013/07/04 1,714
272780 중국 여중생 협박당해서 동급생들에게 강제 모유수유 사건 3 오십팔다시구.. 2013/07/04 6,563
272779 복강경 수술자리 흉터... 피부 아래 딱딱한 게 맞나요? 7 흉터 2013/07/04 6,501
272778 부부관계 후 혈흔이 비쳐요 5 19금 2013/07/04 6,186
272777 망치부인 머리자르며 절규하는 장면 찍은 고발뉴스 보세요 5 방송못본분들.. 2013/07/04 1,497
272776 얼음정수기 써보신분들 어떠세요? (광고사절) 15 얼음정수기 2013/07/04 2,816
272775 갈바닉 사용 관련 질문입니다. 2013/07/04 1,148
272774 들불같이 일어나던..베충이 글 요밑에 ㅋ 2013/07/04 408
272773 제주도 갈때 필요한 물품들좀 알려주세요. 7 필수품은? 2013/07/04 12,375
272772 자전거 번호키 길이 80cm 적당할까요? 번호키 2013/07/04 474
272771 들불같이 일어나던 시국선언과 촛불은 날아가고 4 등불 2013/07/04 1,141
272770 강아지때문에 너무 스트레스 받아요ㅠ 7 얘들아ㅠ 2013/07/04 2,502
272769 아파트 외벽방에 에어컨 설치 가능할까요 1 혹시나 2013/07/04 1,281
272768 초등 5학년 노래방데리고 가면 이상할까요? 7 소심 2013/07/04 1,105
272767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집주인 때문에 정말 화가 나네요 5 열받은 세입.. 2013/07/04 1,224
272766 바닥에 앉아서 뭐 하기가 힘들어요.. 유연성 기르고 바른 자세 .. 5 자세교정 2013/07/04 1,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