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머리좋은거랑 공부잘하는거는 별개인가요?

ㄷㄷㄷ 조회수 : 3,757
작성일 : 2013-06-27 01:01:47
우리애가 상담을받았는데요.
산만해서 받았어요. 머리가 좋다 인지능력우수하다 뭐이런소리를들었는데요.공부적인면은별로에요.문제해결능력이나 탐구력은 좋은데 나이에비해 미술도 정말못하구요 늦된편이에요.

IP : 218.235.xxx.9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6.27 1:03 AM (121.163.xxx.77)

    공부머리는 별개죠.

  • 2. 내동생
    '13.6.27 1:06 AM (112.152.xxx.82)

    머리 좋으면~공부 잘할 확률 높죠
    제동생이 멘사 들어갈만큼 머리가 좋은데‥
    공부는 그저그랬어요‥노홍철과 비슷한면이 많은데
    지금 생각하면 adhd?였던것 같아요 ㅠ
    그땐 별스럽다고 느낄뿐 잘 몰랐는데‥과잉행동할때가 많았어요

  • 3. ..
    '13.6.27 1:14 AM (58.227.xxx.77)

    머리 좋은 것과 공부는 별개일수도 아닐수도 있는것 아닐까요 ?
    몇살인지는 모르겠으나 아직 어린아이를 보고 공부가 별로니 미술을 못한다느니 늦되다느니 하는 건
    잘못된 일이라고 생각해요. 좀 두고 보면서 아이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 기다려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린아이는 잘 먹고 놀고하면 되는 것 아닌지..

  • 4. 머리좋은 것과 공부 잘하는 것은 별개입니다.
    '13.6.27 1:26 AM (121.132.xxx.169)

    세상이 거꾸로 도는 것이 아니라 원래 그래요...^^;

  • 5. ㅡㅡ
    '13.6.27 1:35 AM (211.36.xxx.40)

    공부잘하는거 쉽지않잖아요

  • 6. ㅁㅁ
    '13.6.27 3:30 AM (115.22.xxx.15)

    머리 좋으면 공부 잘 하기 수월하지만, 본인 노력 여하에 달린 것 같네요.
    머리 정말 좋지만 공부에 별 뜻 없는 사람도 보았고
    정말 정말 성실하게 열심히 하는데도 성적이 노력에 비해 정말 안 나오는 사람도 보았어요.
    다만 전자는 맘 먹으면 단기간에도 성과를 내긴 내더라구요.

  • 7. yj66
    '13.6.27 3:47 AM (50.92.xxx.142)

    공부라고 하면 국영수 위주로만 생각하지만
    사실 미술 음악도 다 학교 공부잖아요.
    그런면에서 본다면 머리 좋은 애들은 열심히까지 하면 국영수 잘할거구
    센스있고 재주 있는 애들은 예체능 잘할거구..
    어쨌든 학교 성적은 성실성인거 같아요.
    한국은 탑하는 아이들만 잘한다고 하는 분위기라
    머리도 좋고 성실까지 해야하겠지만
    외국은 머리 나빠도 성실하게 출석하고 숙제하고 과제 열심히 하면
    상위권 나옵니다.
    근데 학교 졸업후에 사회 생활 잘하고 센스있게 자기 직업 찾고
    이런 아이들은 주로 머리좋고 성실까지 한 아이들이더라구요.
    나쁜길로 쭉 빠지는 아이들은 머리만 좋은 아이들이구요.
    머리만 좋고 성실하지 않은 아이들이
    사춘기도 빨리오고 이성에도 빨리 눈뜨구요.
    이런게 빨리 지나가서 정신 차리면 좋겠지만
    요새는 방황하는 시기 1,2년 놓치면 따라 가기가 너무 힘들더라구요.
    그래서 전 항상 성실이 더 중요하다 아이들에게 외치지만
    어느순간은 번뜩이는 머리도 좀 있었으면 하고 욕심을 내죠.

  • 8. 씀바귀
    '13.6.27 5:11 AM (180.69.xxx.179)

    속상하시겠지만.... 전 네...라고....
    전 머리 좋아서 벼락치기로 항상 전교 10등.. 결국 성실성을 습관 못들이고 학창시절 보냈어요..
    운인지 몰입력인지 결국 시험은 항상 잘 치루어 진급을 위한 결정적 시험은 전교 1 또는 2등 점수..
    그러나 담임이 불안해서 대입 때 희망 대학보다 한 레벨 낮추어 원서썼었어요.(학력고사 마지막 세대)
    그런데 대학가서 벼락치기 안 되는 학과 공부에 제 습관을 바꾸느라 고생많이 했습니다.

    공부는 기본 이해는 쉬쉬식 다 되는 머리+ 몸에 배인 성실성!!!!

  • 9. 결국은 집중력과 집념
    '13.6.27 7:37 AM (67.87.xxx.210)

    머리가 아이큐 110 만 되도집념을 가지고 공부하면 서울대는 어려워도 연고대는 갑니다.
    단 경제적인 후원이 빵빵해야하구요. 여기서 지능지수는 일대일로 검사한 걸 의미하고 학교검사는 여기서 20점 정도 추가하심되요.

  • 10. .......
    '13.6.27 9:10 AM (121.254.xxx.74)

    사람이 지능이 한가지가 아니잖아요
    공부머리라 함은 통상적으로 쓰는 아이큐랑은 좀 다른 거 같아요
    특히 문과 공부에서는 이해력 독해력이 제일 중요한데 이건 도형 모양 고르는 아이큐로는 측정이 안 되죠.
    웩슬러 검사 뭐 그런거라면 모를까.
    그리고 공부머리고 나발이고 진짜 말그대로 지능이 모자라는 수준이 아니면 다른 요소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 11. 백번천번
    '13.6.27 9:28 AM (121.187.xxx.245)

    지당한 말씀들이네요
    저도 같은 문제로 요즘 고민중인데..
    우리아들 어딜가나 이해력 집중력 최고라는데..
    잠깐씩 외우는 과목들은 100점이지만
    결과적으로 시험결과는 그닥이예요..
    반면에 우리딸은 머리는 별로 안좋은거같은데
    성실함이 최고..
    상위권이예요..

  • 12.
    '13.6.27 9:53 AM (222.107.xxx.181)

    고등학교때 전교1등인(줄 알았던) 아이가 있는데
    중3때부터 공부만 죽어라했대요.
    말인즉, 본인은 머리가 나빠서 열심히 해야한다고,
    그래서 그렇게 열심히했고 결국 서울대 갔어요.
    또 한명은 머리가 진짜 좋아요.
    문제를 보면 답이 보인대요.
    그렇다고 팽팽 놀지 않아요. 할만큼은 하죠.
    고로 인풋 대비 아웃풋이 다를 수는 있지만
    결국 노력하면 안되는것도 없는거고
    노력하지 않으면 되는 것도 없는거죠.

  • 13. *.*
    '13.6.27 10:39 AM (183.96.xxx.208)

    울집아이가 엄청산만해요
    adhd인데 너무 산만해서 검사 자체가 힘들다구 할정도로
    지금 중3인데. 전교1%입니다 좋은고등학교 준비하고있고요
    약은 9년째 복요중이고요
    일단 승부욕이 대단합니다.
    오랜시간집중하는게 약하다는걸 본인이 잘알고있어서
    쉬는시간에 점심시간에 도서실 가서 짬짬이 공부하고
    매우성실하고 노력 엄청 합니다

  • 14. 성실한 전교 1등
    '13.6.27 10:54 AM (183.102.xxx.20)

    제 중3때 짝이 전교 1등이었어요.
    이 친구는 하루종일 공부만 해요.
    친구도 없어요.
    말도 안해요.
    말 시키면 슬며시 웃으면서 단답형으로 대답해요.
    감정도 없는 것 같아요.
    지금 생각해보면 그런 감정에 휘말려 시간 낭비 하기 싫었나봐요.
    어쨌든 나중에 서울대 갔어요.
    학력고사 세대라 그렇게 공부하면 당연히 결과가 좋았습니다.

    담임선생님이 일부러 저를 그 친구와 짝을 만들었어요.
    저 자극 받으라고 선생님이 일부러 그 친구와 짝을 시킨 거래요.
    그 친구 한 번 이겨보래요.
    마음 먹으면 그 친구 정도는 충분히 이길 수 있고 더 잘 할 거래요.
    "네가 아까워서 그런다",. 라고 말씀하시면서 눈물도 글썽거리셨어요.
    학생들 앞에서는 표현안했지만, 저를 많이 편애하신 분이었거든요.

    그래서 결과적으로 저는 자극은 좀 받았습니다.
    뭔 공부를 이렇게 힘들게 하냐?.. 숨막히지 않냐?.. 하는 자극..ㅋ

    그래서 그 친구는 결국 서울대 가고
    저는 그냥저냥 이름은 있는 대학에 갔습니다.
    다시 한 번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면
    그 친구를 이기고 싶어요^^

  • 15. ...
    '13.6.27 2:18 PM (14.35.xxx.1)

    아이큐로 기죽는 딸 보여 줄라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73733 제 딸들은 왜 노력을 안 할까요? 6 ㅇㅇ 2013/07/13 2,856
273732 박근혜 정부 ‘노무현 NLL 포기’ 딜레마에 빠졌다 1 박근혜도 몰.. 2013/07/13 1,243
273731 시간이 되어가네요. 시청으로 갑시다. 4 흠... 2013/07/13 944
273730 베네피트 ㅡ포어페셔널..모공 안가려지네요 7 ㅡㅡ 2013/07/13 5,647
273729 물건 구함글 작성이 안되네요.. 핑구맘 2013/07/13 602
273728 자궁경부암 2차까지맞고..한달후에 3차맞기로했는데요 5 ㅠㅠ 2013/07/13 1,529
273727 서강대근처에서 4시간정도 보내야하는데... 6 어떻게할까요.. 2013/07/13 1,774
273726 질이 좋지 않아 시커먼 쌀이 있는데 소비방법 알려주세요 8 2013/07/13 1,900
273725 숯침대 뭐가 좋은지 알아보려면 어디로 가야하나요? 숯침대.. 2013/07/13 1,781
273724 국정원 정치개입 비판 ‘촛불집회’ 사진을 보내주세요 1 샬랄라 2013/07/13 834
273723 자기만아는엄마 vs 희생적인엄마 26 에어졸 2013/07/13 6,004
273722 복도쪽 방에 에어컨 설치 하고싶은데요 7 복도식아파트.. 2013/07/13 2,861
273721 미 방송사 아시아나 기장 이름으로 인종차별적 조롱을 했다는데.... 2 너무하네요... 2013/07/13 2,709
273720 으 이사람뭘까요?무서워요 5 ... 2013/07/13 1,695
273719 티브이엔도 종편인가요 ? 10 ........ 2013/07/13 2,636
273718 언니사망후 금융거래 확인절차에 대해 여쭤봅니다 5 상속 2013/07/13 4,143
273717 첫 스마트폰 아이폰 5, 노트 2 어떤걸로 할까요? 1 처음처럼 2013/07/13 1,215
273716 생 닭 한마리 어찌 요리 할까요? 7 ^^ 2013/07/13 1,172
273715 저도 진상인 사람 이야기좀 할께요.. 36 스트레스 2013/07/13 11,364
273714 제습기 얘기 나온 김에 집의 습도 공유해볼까요? 7 그럼 2013/07/13 1,821
273713 거실유리문에 모기장~~ 2 비가 오락가.. 2013/07/13 1,040
273712 인삼을 꿀에 절인것 오래된거 먹을수 있을까요? 4 먹을까말까 2013/07/13 7,915
273711 임신한 딸한테 하시는 친정엄마말씀 14 플라이어웨이.. 2013/07/13 5,366
273710 개미가 집안에 너무 많이생겼는데 어떤약써야하나요?ㅠㅠ 5 개미지옥 2013/07/13 1,737
273709 피라미드의 크기를 실감할수 있는 사진 한번 보세요. jpg 5 경악할만한 .. 2013/07/13 2,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