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1 아들이 내신국어 공부 방법에 대해 궁금하대요

사는게고행 조회수 : 2,335
작성일 : 2013-05-31 01:33:48

중학교때 점수가 잘 안나온 과목이긴 한데 고등학교 입학해서 중간고사 성적표 보니 암담하네요

지는 열심히 했는데 안배운 지문이 너무 많다고... 완전 낙담하고 있어요... 어찌 공부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국어선생님이 국어는 암기만이 살길 이라고 (아마 개념 파악을 정확히 하라는 얘기 이겠죠?) 하셨는데 국어가

왜 암기과목 이냐고... 조언 좀 해주세요~~

IP : 112.148.xxx.14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국어
    '13.5.31 2:59 AM (122.35.xxx.66)

    선생님이 암기만이 살길이라고 한 이유가 분명히 있을건데요.
    앞뒤 맥락없이 아이가 이야기하고 엄마가 알아서 대충 짐작하여 그 의미를
    해석해 버리면 아니됩니다.
    국어의 문제도 마찬가지에요. 아는 지문이든 모르는 지문이든 정황과 맥락을 바탕으로
    답을 찾아내는 것이지요. 뜬금없이 답 찾아라 하는 것 없거든요. 맥락 파악, 주제 파악
    핵심(어) 파악이 안되면 국어가 힘들어져요.

    대화부터 다듬어 보시고 아이에게 선생님이 말씀하신 정확한 뜻을 교무실 찾아가서라도 알아
    오라고 이르세요. 질문하는 과정에 선생님께 궁금한 것 더 물어오면 좋구요. 그 의미를 잘 파악하면
    어떻게 공부해야하는지도 나올 것이고요. 아니면 선생님께 어찌 공부하면 좋을지 물어보는 것도
    좋지요.

    원글님 쓰신 내용이나 정황으로 봐서는 국어의 어떤 부분과 어떤 분야가 어떻게 문제가 되는지..
    감잡기가 어려워 답글 달기도 어려워요..

  • 2. ..
    '13.5.31 8:05 AM (110.14.xxx.164)

    고등시험엔 아는 지문만 나오진 않을거에요 수능은 더하고요
    첨 보는것도 읽고 빨리 맥락 주제 핵심 파악하는걸 연습해야겠지요 어휘력도 필수고요
    고등이면서 속독이나 국어 학원 다니는 애들도 많아요 한번 알아보세요

  • 3. 음...
    '13.5.31 10:12 AM (59.10.xxx.76)

    이제 고등학생은 아니지만 ㅋㅋ 저, 고등학교1학년때 언어 4등급. 수능 언어 만점으로 대학들어 갔어요. 이과였구요. 언어는 암기 과목 아니예요. 암기 하면 점수 하나도 안 올라요. 우선 독서량이 많아야 하구요. 제가 썼던 방법은 이런거예요.

    0. 독서량을 늘린다.
    - 고등학교때가 제 전체 독서량의 50% 정도였던 것 같아요. 언어는 독서량 없이는 아무것도 안되요. 우선 문맥파악도 안되고, 어휘도 안늘고.. 절대 독서량이 부족해서 독해력이 떨어지는 애 한테는 지문이 너무 길고 어려워서요. 일주일에 적어도 2권, 일년에 100권, 이렇게 틈틈히 읽는게 좋아요. 대학가서도 독해력이 좋은건 두고두고 잘 써먹으니까 시간 없단 핑계 말고 꾸준히 읽어야 해요. (만화 제외, 문학/비문학 위주로 쭉 읽히세요. )

    1. 수능 모의고사 전체를 다 푼다.
    - 저는 2003학번이라, 10년치 다 풀었어요. 그리고 모의고사에 나온 문학 (특히 소설) 다 찾아서 읽었어요. 어차피 단편위주로 나와서 읽는데 많이 안걸려요. 저는 모의고사 문제 풀고, 틀린 문제는 모의고사 해설지를 그냥 문제에 배껴쓰면서 이런 의도로 문제 낸거라서, 이렇게 틀린거구나 했어요. 이 방법이 이해가 되어야 실력이 늘어요. 의도찾기

    2. 시간체크.
    - 언어는 시간체크가 가장 중요하거든요. 지문이 길어서요. 그래서 시계 두고, 모의고사 1개씩 풀면서 시간 체크 해야 해요. 마킹하는 시간 빼고, 문제 넉넉하게 푸는 시간 정해서 그 안에 푸는게 좋아요. 저는 듣기가 있을때 수능 봤던 세대라 듣기 20분, 마킹 30분 빼고 한시간에 모의고사 한 푸는 거 연습했어요.

    3. 모르는건 물어보기
    윗분 말씀대로.. 모르는건 물어봐야 해요. 1번의 질문자 의도알기를 혼자서 잘 모를때. 무조건 국어 선생님 찾아가서 물어보는게 좋아요.

    4. 아직도 쓰기 (맞춥법, 띄어쓰기, 문장 이상한거 고르기) 이거 문제 나오는지 모르겠는데..
    언어에서는 이것만 외우면 되요.

    제가 도움드릴 부분이 더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제 경우에는 독서토론 / 신문정독 하는게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사실 언어를 잘하면 대학가서 진짜 유리하거든요. 레포트 쓰거나, 발표하거나 하는게 거의 언어적인 능력이어서요. 그런거 미리 시간 투자 한다고 생각하면 고2나 고3때라도 독서량을 충분히 유지하는게 좋은 것 같아요.

  • 4. 언어점수...
    '13.5.31 1:14 PM (220.121.xxx.162)

    정말 윗분 말씀 좋네요.

  • 5. 국어
    '13.6.1 9:18 AM (121.153.xxx.208)

    국어 저장합니다.

  • 6. 정답
    '13.6.3 10:47 AM (58.143.xxx.241)

    이죠...그런데 이게 어려워요..
    실천이..

    이대로만 해준다면야 감사감사하죠...

  • 7. 오후햇살
    '13.7.12 10:08 AM (211.36.xxx.79)

    국어공부 좋은 말씀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5993 외출한번 했다하면 들어올줄 모르는 아들을.. 5 엄마란 2013/06/18 910
265992 예정일이 하루지났는데.... 7 ㅡㅡ 2013/06/18 599
265991 청와대, 박근혜 후보에 불리한 통계 대선 직전 발표 미뤄 샬랄라 2013/06/18 568
265990 아이여권 만들때 엄마성 넣는 방법 4 오잉꼬잉 2013/06/18 728
265989 영화 애브리데이 보신분 있나요? 1 .. 2013/06/18 390
265988 노원구 청소년 심리상담 추천해주실만 한곳 있으면, 3 부탁드립니다.. 2013/06/18 915
265987 정리 못하는 것도 병이지요..? 16 장마 2013/06/18 5,104
265986 제습기쓰는 분들 만족하나요? 이젠 제습기가 필수품인가요? 26 2013/06/18 3,562
265985 MBC 해직기자가 스피커 제작해서 판매하네요 2 이뻐용 2013/06/18 1,330
265984 제습기없이 운동화 말리는 노하우있으신분? 7 노하우 2013/06/18 1,288
265983 에어컨 하나 더 달려는데요 1 작은 에어컨.. 2013/06/18 795
265982 휜다리엔 대체 무슨 바지를 입나요 ㅠㅠ 4 으흑 2013/06/18 2,784
265981 교원정수기 어떤가요 5 바다짱 2013/06/18 2,040
265980 걸그룹 노출하니까,,, 불후의명곡 바다 5 2013/06/18 2,630
265979 ....[펌글] 여름 전력난의 원인 .jpg 5 국민은 봉 2013/06/18 1,320
265978 종말이 갓김치 궁금 2013/06/18 2,033
265977 매실담을때 갈색설탕이 좋나요 흰설탕이 좋은가요? 5 !! 2013/06/18 2,199
265976 맛난거해줘도 안먹고.. 3 2013/06/18 662
265975 제습기 몇리터짜리가 좋을까요? 3 공간많이차지.. 2013/06/18 1,778
265974 냄비안이 허옇게 펴요 8 ,,, 2013/06/18 1,771
265973 어떻게 하면 장롱 뒤 곰팡이가 안 슬게 할 수 있을까요? 2 곰팡이 2013/06/18 1,919
265972 올란도차량이요.. 뒷자석이 침대처럼 다 펴지는거 아니에요?? 3 올란도 2013/06/18 7,096
265971 오늘 아침마당 야식배달성악가 김승일 노래들어보세요 7 유레이즈미업.. 2013/06/18 2,236
265970 2시간 일하고 4만원 알바 해야 할까요, 아이 학교 공개수업을 .. 7 엄마 2013/06/18 1,779
265969 이사했는데ㅡ에어컨 배관 왜 가져가신걸까요? 6 오로라리 2013/06/18 2,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