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학, 언어, 국어 전공하신 분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단어의 기원 조회수 : 1,330
작성일 : 2013-05-12 08:02:29

우리 딸이 요즘 자꾸 질문하는 게 있는데요

"고기는 왜 고기라고 했을까?"

"딱새는 왜 딱새라고 했을까?"

"비름나물은 왜 비름나물이라고 했을까?"

 

이런 건데요

혹시 단어의 기원에 관해 초등생이 읽을만한 책이 있을까요?

추천 부탁드려요~

IP : 59.1.xxx.6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13.5.12 8:31 AM (124.49.xxx.162)

    언어는 사회구성원간의 약속이라서 그래요
    사회 구성원이 그 사회에서 소통하기 위해 사회인들간에 약속을 한 거예요
    고기는 고기로 하자구요
    그것을 언어의 사회성이라고 해요

    그럼 고기는 왜 고기라고 불렀나
    이건 언어의 자의성이라고 합니다
    "고기"라는 사물과 단어"고기" 사이에는 딱히 꼭 그단어를 써야하는 게 아니예요
    다만 그 것을 고기라고 부르기로 한 것이에요

    그것은 언어의 자의성이라고 해요
    나무가 나무라고 불리는 것도 그 구성원들이 그렇게 부르기 시작한 것 뿐이지
    그게 나무여야 할 특별한 이유는 없는 것입니다

    그럼 내맘대로 불러도 되나? 그건 아니겠죠
    구성원들끼리 이미 약속된 것만 불러야 하는 겁니다

    그럼 새로 발견되거나 새로 들어온 사물이나 추상적 상황은?
    그래서 언어는 자꾸 생겨나는 것입니다
    물론 생성 소멸되기도 하지요

    보통 중3이나 중2때 이런 부분을 배우는 것이지만
    간단히 어머니께서 설명해 주셔도 될 것 같아요

    단편 동화로는 < 책상은 책상이다>라는 피터 빅셀의 소설이 있는데
    결국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므로 그 구성원이 자의적으로 바꿀 경우
    사회에서 존재할 수 없다는 줄거리예요

  • 2. 원글
    '13.5.12 8:35 AM (59.1.xxx.69)

    아 윗님 감사합니다.
    언어가 사회적 약속이라는 부분은 미약하게나마 알고 있는데요
    다만 그 사회적 약속이 어떤 계기로 어떻게 왜 그렇게 되었는지가 궁금한 것이랍니다 ^^;;
    나무를 나무라고 하기까지에는 사소하더라도 어떤 계기가 있지 않았을까,
    만약 그렇다면 그 계기는 무엇이었을까 하는 거죠.
    한자어로 된 명사같은 경우는 대략 추측해 볼 수도 있는데 순 우리말은 참 어렵네요.
    편안한 주말 되세요 감사합니다

  • 3. 원글
    '13.5.12 8:47 AM (59.1.xxx.69)

    오 윗님 감사합니다.
    만약 우리말이 표음문자라서 글자를 가지고 추론할 수 없다면
    그 발음을 가지고 추론할 수는 없는걸까요? ^^;;;

    예를 들면, '돌멩이' 하면요, 어쩐지 딱딱하고 동글동글한 느낌이 들고 (저만의 느낌이겠지만요 ^^;;)
    '나무'하면 곧게 위로 자라난 느낌,
    '바람'하면, 시원하게 휘이이이~~ 불어오고 불어가는 공기의 느낌이 들고... 이런거요.

    아마도 제 뇌속에 이미 그 이미지들이 굳어져 있기 때문이겠지만요 ^^;;

    댓글 감사합니다. 많이 배웁니다.

  • 4. 원글
    '13.5.12 8:56 AM (59.1.xxx.69)

    앗 바로 윗님 댓글을 지우셨네요 좋은 말씀이셨는데 아흙 어쨌든 감사합니다.

  • 5. 그냥
    '13.5.12 9:09 AM (124.49.xxx.162)

    앗 제가 지웠어요
    저도 국어를 전공한 건 아니라서..전공자님들이 많이 말씀해 주실거예요
    바람 하면 우리는 뭔가 훠어이 불어오는 느낌이지만 외국인은 모르잖아요
    그건 그 바람이라는 단어 자체에 의미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습득된 그 언어 구성원들의
    공유된 느낌일거얘요
    어쨌든지 좋은 주말되세요 짧은 지식으로 쓰려니 한계가 있네요 ㅎㅎ

  • 6. ㅇㅇ
    '13.5.12 9:20 AM (211.234.xxx.246) - 삭제된댓글

    윗분들 댓글처럼 언어의 자의성..이라고 사회적 약속 정도로 알고있어요.cat이 우리나라에는 고양이라부르듯 (우리나라에서 캣은 의미가 없는것이고 캣이란 단어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냥 소리에하나이죠)그언어가진사람들만의 약속 이라고 배웠어요.

  • 7. morning
    '13.5.12 10:10 AM (119.203.xxx.233)

    저는 어른이 되어서도 어떤 단어, 이름, 제목 등을 볼때마다 저런 의문을 자주 가져요.
    이 동네 이름은 왜 이렇게 부를까, 이 새 이름은 왜 xx새일까, 느티나무는 왜 느티나무일까 등등.
    언어의 사회성은 맞지만, 왜 그 사물을 그렇게 부르기로 약속했는지, 그 약속이 이루어지기까지 일어난 일이 궁금한거지요.

  • 8. 신은 망했다
    '13.5.12 10:21 AM (121.131.xxx.194)

    이갑수 시인의 는 시집 추천드려요.

    시중에선 절판 상태일텐데,
    근처 도서관에선 구하실 수 있을 거에요.
    시집이니까 옮겨 적으실 수도 있고.

    "강이란 말 속에는 강이 흐르고..." 전혀 정확하진 않은데,
    많은 시들이 이런 거에요. 어휘 속에 담긴 (시인에게 보이는) 그 어휘의 깊은 의미.

  • 9. 신은 망했다
    '13.5.12 10:22 AM (121.131.xxx.194)

    제목이, 신은 망했다. 에요. 민음사.

  • 10. 원글
    '13.5.12 11:33 AM (59.1.xxx.69)

    주말 쉬시는데 답변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위에 책 일러주신 분 검색해보니 품절이고 중고만 거래되네요.
    꼭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오후 되세요~

  • 11. 한량으로 살래
    '13.5.12 7:36 PM (2.222.xxx.198)

    저는 해외에 있다보니 가끔 새로운 단어를 알게되면 원글님 따님처럼 어원이 궁금할 때가 있어요. 그래서 사전을 찾아보면 어원이 명시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영어로는 etymology, 우리말로는 어원학이라고 하네요. 관련분야 검색해보시면 어떨까요?

  • 12. 원글
    '13.5.15 2:28 PM (59.1.xxx.69)

    아앗 한량... 님 감사합니다. 그게 etymology였군요!!!! 어원학 검색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52977 stay7부산 센텀근처에 있는곳 아시는분 1 ㄴㅅ묘7 2013/05/12 689
252976 고딩딸이 생일선물로 너무비싼걸 받아와서 15 놀랐음 2013/05/12 23,365
252975 나인 질문이요~ 4 초롱맘 2013/05/12 1,359
252974 절교한친구가 카스신청을했어요 4 진주목걸이 2013/05/12 3,385
252973 부산 속편* 내과에서 내시경 해보신분 계신가요? 2 위내시경 2013/05/12 1,045
252972 엑소더스 시민권 2013/05/12 776
252971 와호장룡결말이 장쯔이의 투신자살인가요?? 12 시에나 2013/05/12 13,678
252970 [서민 칼럼]“윤창중은 그럴 사람이 아니다” 9 세우실 2013/05/12 2,153
252969 거의알몸이었다고 시인(속옷만입은 상태였다) 11 청와대진술 2013/05/12 3,349
252968 해독쥬스질문이요 2 솔방울 2013/05/12 1,569
252967 (급) 결혼식때 신부 아버지 --- 검정색 양복 괜찮나요? 5 서연맘 2013/05/12 8,788
252966 여행 후 실망 10 이기심 2013/05/12 3,801
252965 윤창중...기자회견에서 눈을 그리도 깜박이더니... 7 ... 2013/05/12 3,101
252964 중학교1학년 아플때요 3 ... 2013/05/12 775
252963 돈은 어디에 써야 잘쓴거 같을까요? 5 도잠 2013/05/12 1,693
252962 난소 MRI비용 대략 어느정도 일까요? 2 ㅎㅎ 2013/05/12 2,397
252961 속보.. 윤창중. 알몸상태였다고 자백.. 1 ㅇㅇㅇ 2013/05/12 2,646
252960 대학 교직원 사학연금 얼마나 나오나요? 1 궁금 2013/05/12 3,357
252959 확실히 힙 up됐어요 6 ... 2013/05/12 4,260
252958 5월17일 연휴에 순천 국제정원 박람회 많이 붐빌까요?? 6 고민 2013/05/12 1,027
252957 부산 코스 좀 알려주세요. 3 아.. 2013/05/12 786
252956 월급은 내려가고 계약직에서 무기계약으로!!! 43 전알아요 2013/05/12 4,461
252955 뱅기표도 첨부터 청와대랑 주미대사관이 알아본거네요 4 2013/05/12 2,006
252954 저런 인간이 정부요직에 있다는 것, 3 신기 2013/05/12 757
252953 윤창중 성기노출 기사로 GM 통상임금 이슈막는 듯?? 8 근데 2013/05/12 3,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