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친형제들 장례에 부조 안하나요?

// 조회수 : 16,578
작성일 : 2013-04-28 22:53:37

얼마전 남편이 2년간 암으로 투병하다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런데 형(2명)과 누나 모두 부조를 안하셨어요.

정신이 없는 와중, 서운한 마음이 가시질 않습니다.

15년 넘는 결혼 생활 중 남편은 가장으로서의 역할을 거의 하지 못했어요.

유학가서 석박사 하느라 생활은 모두 제 몫이었습니다.

귀국해서도 자리를 잡지 못해 제가 생활을 꾸렸구요, 본인의 소득으론 용돈하며 살았어요.

이런 저간의 사정을 시댁에선 속속들이 알진 못해도 대충은 압니다.

돌아보니 결혼때도 부조를 안하셨어요.

남편 앞으로 들어 온 부조를 주시지도 않았구요.

이게 그 집안 빌어먹을 전통인진 모르겠으나

그분들은 어떤 마음으로 동생의 장례에 부조를 하지 않으셨을까요?

남편의 치료 기간이 길어지며 시댁에 넋두리 좀 했었어요.

"감기에 걸린 것도 아닌데 어찌 그리 무심들 하신지!

형제들 우애 좋다면서 이게 뭔지!"

인연 끊자는 걸가요?

그렇다면 저는 땡큐입니다.

곧 한번 만나게 될텐데 그때 속에 있는 얘기 쏟고 싶기도 합니다.

이러나 저러나 저는 안보면 그만일 사람들인데

말로라도 풀지 않으면 한으로 쌓일듯 합니다.

질문으로 시작했다 넋두리로 끝나네요.ㅠㅠ

IP : 211.209.xxx.95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4.28 11:03 PM (119.201.xxx.196)

    헐~ 당연히 부조 하죠..친형제면 가장 많이 하는데..집안이 좀 이상하네요.

  • 2. ᆢᆞᆞ
    '13.4.28 11:06 PM (203.226.xxx.131)

    제 경우를먼저 하자면요..저희 큰오빠가 사고로 돌아가신지 몇달안됏어요..근데 직계가족.형제.자매는 부조 하는거 아니라고해서 안햇거든요 ... 너무서운해 하지마시고 힘드시겟지만..맘잘추스리셧으면 합니다.

  • 3. 집안마다
    '13.4.28 11:09 PM (211.173.xxx.244)

    틀린가봐요^^ 서운해하지말고, 오해도 하지말고, 안받았으니 나중에 님도 안하심 될것같은데요. 어차피 다 돌려줘야 하는거니깐요.

  • 4. ..
    '13.4.28 11:13 PM (203.226.xxx.131)

    제가듣기로는 다 상주로 들어가는거라서그렇다고 하던데요 ....집집마다 다르겟지만 저희도 그랫거든요 갑자기 당한일이라서 가족들모두 힘들엇고 저도 당연히 하는걸로알앗어서 부조할거 챙겨갓엇는데 하는거아니라고... 어쨋든 저희도 그런경우엿어요

  • 5. 더많이 해야지요
    '13.4.28 11:17 PM (222.238.xxx.62)

    내가낼수있는 한도보다 더많이 내야하는게 맞는게아닌지.... 오히려 직계가족들이 마지막장례를 걱정없이 잘치룰수있도록 넉넉히 해야한다고생각하는데요

  • 6. ...
    '13.4.28 11:19 PM (175.201.xxx.184)

    형제간이면 젤 많이 하죠.....어쩜 그리 무심한가요??

  • 7. ....
    '13.4.28 11:27 PM (182.172.xxx.52)

    형제면 돌아가셔서 부조할 때까지 기다릴 게 아니라 병원비라도 미리 보태주지 않아요?

  • 8. 대한민국당원
    '13.4.28 11:33 PM (58.239.xxx.83)

    어려울 때 가장 큰 힘이 되어야 할 가족이 먼나라 사람처럼 느껴지셨겠네요. 친구보다 못하고 이웃보다 못하게 사는 가족들 없지 않게 많은게 현실이죠. 15년이면 젊은 나이실텐데 그저 안타깝네요. -_-;;

  • 9. 저도..
    '13.4.29 12:01 AM (39.118.xxx.142)

    직계가족은 부조안하는 거라고 아는데..
    차라리 병원비를 돕던지 하지요.

  • 10. 부조의 의미
    '13.4.29 12:19 AM (119.149.xxx.181)

    유가족을 위로하는거 아닌가요?
    옛날처럼 살림이 섞인 대가족도 아니고
    남은 유가족을 생각해서 가까운 형제가 더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 11. //
    '13.4.29 12:24 AM (211.209.xxx.95)

    '이따가 펑'님 왜 글 지우셨어요.ㅠㅠ
    구구절절 빙의 돼서 읽었는데요.
    저희도 워낙 형제들이 문병 한 번 안오길래
    제가 서운한 기색 표했더니 한번씩 들르더군요.
    작은 형님은 2년 내내 전화 한번 안하셨어요. 인간 취급 안하리라 마음 먹었고
    장례식장에 이튿날 왔길래 마음 먹은대로 유령 취급 하는데 마음이 힘들더군요.

    저 지금 술 한잔 한답니다.
    인생이 허무해서요. 저노무 호로 집안에 들인 정성이 아까워서요.

  • 12. 상주는 안하는거 아닌가요?
    '13.4.29 12:27 AM (180.65.xxx.29)

    형제들이 상주잖아요 안하는걸로 아는데요 상주가 상주에게 부조하나요?

  • 13. ..
    '13.4.29 12:38 AM (119.202.xxx.99)

    형제들이 상주니까 부조 안한것 같은데요.
    결혼때는 부모님한테 부조 전하지 않았을까요?

  • 14. //
    '13.4.29 12:53 AM (211.209.xxx.95)

    손윗 사람이면 상주이나 손아래 사람은 상주가 아니라 하데요.
    상주는 저희 아들 하나였습니다.ㅠㅠ
    그런 것들 다 떠나서 남아 있는 자에게 최소한의 표시도 안한다는 것이 저는 서운하네요.

  • 15. 그런거 따지지는 않을겁니다
    '13.4.29 12:56 AM (180.65.xxx.29)

    손윗 사람이면 상주고 아래 사람은 상주가 아니다 격식 차리는집 별로 없을겁니다
    저희도 시댁쪽으로 그런일 있었는데 아래위 할것 없이 상복입고 상주했는데요
    글쎄 형제들은 병원비는 보태도 남아 있는 사람에게 성의 표시하는건 아닌것 같아요

  • 16. 주고말고를
    '13.4.29 7:17 AM (125.181.xxx.219) - 삭제된댓글

    상주네 혹은 형제네, 부모네를 다 떠나서 안주고 안하면 마는거고, 안하는걸 뭘 어쩌겠나요.
    그렇다고 시댁과 말하고 싸워서 받아낼 수도 없는 문제고, 부조금도 자신이 햇어야 돌려받는건데 가장 노릇못해서 돌려받을 돈도 없는 사람인가보죠. 삭막하지만 서로간에 정이 없거나 (성장과정중 서로에게 상처준 사이)아님 부모 자체가 그렇거나,,
    중요한건 나 자신밖에 자신을 구제할 사람은 없다는 거, 그밖의 인물은 나한테 좀 도움주면 고마운 존재고 안해줘도 마는거고..가족간에도 서로의 가정을 일구고 살면 남돼요. 아니 남이에요. 내자식 잘돼서 형제한테 얘기하면 그형제가 지들 애들한테 닥달질 하면서 조카들간에 알게 모르게 선을 긋게 만들고, 질투하고,
    못됀 심보 가진 사람들도 많아요. 옛말에 천길 물속은 알아도 사람속 모른다잖아요. 참 명언이더라고요.
    나아닌 다른사람 맘은 내맘이 아니니 안하는 그마음에 기대걸면서 상처입으면 손해지요.
    이젠 남편도 갔고, 이젠 님하고 아이들만 남으셧을텐데 화이팅 하시고 그사람들과 인연은 남편의 죽음과 함께 끝인거니 빨리 털어버리시고 앞으로 일어날 좋은일만 생각하면서 사셨음 좋겠습니다.

  • 17. 써니
    '13.4.29 9:20 AM (122.34.xxx.74)

    형제가 상주라서 부조를 안했다면..
    제 생각에는
    그럼,
    왜,
    결혼식때도 똑같이 가족인데 축위금 냅니까?
    결혼한다고 축하의 의미로 형제도 돈 주잖아요.
    살림을 사든, 요긴한곳에 쓰든.
    하물며 그럴진데...
    상을 당했는데 남은 가족에게 현실적으로 절실한건 금전이 아닐까요?
    제 생각에는 진심어린 위로만큼이나 , 진심어린 금전적 부조도 중요하다 생각됩니다.
    상 치르고 금덩어리 한덩이씩 주려고 생각하시나?
    저도 넉넉한 편은 아니지만, 만약에 형제가 상주라서 부조 안한다라고 한다면
    상치르고 조금 안정되었을때 남은 조카나 가족을위해 봉투하나 한다에 한표입니다.
    힘내세요.

  • 18. 어쩜
    '13.4.29 9:30 AM (58.226.xxx.174)

    상주고 뭐고 따지기 전에
    그런일 생기면 제일 먼저 돈 걱정하고
    어느정도 도와야 한다는 생각 들지 않나요
    결혼때도 안한 집이면... 마음 씀씀이가 왜 그런데요

  • 19. 우리
    '13.4.29 9:32 AM (210.205.xxx.156)

    우리도 못받았어요.
    약속이나 한 듯 형제 부모 다 안하던데요.
    왜 안주냐고 물어보기도 슬프고...
    부조는 빚이라 다 적어놓았는데 ...
    물론 결혼할때도 형제들은 부모님께 하고 부모님은 그 돈들 모아 결혼식치루셔서 직접 받은건 없어요..양쪽 다요..

  • 20. 형제간에는 안하더라도
    '13.4.29 10:27 AM (175.117.xxx.231)

    부의금은 가져가지 않았어요. 기록만 복사해가고...

    아마도 울집 경우가 정상적인 관계일것 같아요.

  • 21. 결혼이랑은 달라요
    '13.4.29 10:28 AM (180.65.xxx.29)

    결혼은 당사자가 있는거고 상주라는건 본인이 상을 당했다는건데 상당한 사람이 상당한 사람에게 부조는 안하죠
    살아생전에 병원비를 도와주는게 맞다 생각해요

  • 22. ....
    '13.4.29 11:18 AM (1.251.xxx.45)

    근데 처자식이 있는데도 형제가 상주가 되는건가요?

    저희 아버지 돌아가셨을때,
    고모들, 작은아버지가 부조금 제일 많이 내셨어요.

  • 23. ....
    '13.4.29 12:00 PM (121.151.xxx.74)

    상주가 조카인데 조의금 해야 하는거 아닐까요.
    원글님 같은경우는 더더욱 그래야될꺼같은데

    뭐 그래도 이걸로 인연 끊을 빌미는 되겠내요

  • 24. 이런경우도
    '18.8.27 2:12 PM (211.214.xxx.109) - 삭제된댓글

    집안마다 다를 수 있을 것 같애요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셔서 오빠 올케를 친정이라 생각하고 잘하고 지내다가
    오빠상을 당했어요
    나의 친구. 가까운 지인들 조문왔었어요
    장례식장에서 소소하게 들어가는 돈들 형제들이 상주처럼 내면서 조문객 맞이했어요
    나중에 올케와 조카로부터 고모 삼촌들은 부조금없었다는 말을 들었어요
    정식으로 이름 쓴 봉투가 없었다는 이야기죠
    부모님 돌아가셨을때 상속포기해줬고 오빠재산 매매안돼서 현금묶여 있을때 이리저리
    도우면서 살았건만 그렇게 정떨어지는 소릴 들었어요
    장례식에 온 내 손님이 얼마를 냈는지 자기들끼리 봤으면서 그런 소리가 나왓을까 싶더라구요
    어차피 내가 갚아야 하는건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2751 넓어보이는 아파트 .. 00:56:00 16
1602750 당근, 케이뱅크, 토스 (누구나 무료 현금 받기) 1 . . . 00:41:03 97
1602749 눈치 없고 사오정인데 활달하고 호기심 많고 정의감 넘치는 친구 6 ... 00:38:22 219
1602748 친구남편이 회사그만둔지 꽤 되었는데 5 신기해요 00:37:53 618
1602747 골프 치는 분들 골프 룰 얼마나 지키시나요? 1 궁금 00:32:13 147
1602746 정청래 웃긴줄만 알았는데.. 카리스마 넘치네요 2 얏호! 00:18:29 648
1602745 묘하게 미안함 1 투뿔원이아니.. 00:16:17 372
1602744 꽃 한송이 꺽은 할머니 검찰 송치 5 .. 00:04:25 1,403
1602743 닭가슴살 맛있는 건 없나요? 7 “” 00:03:25 371
1602742 여기 툭하면 이혼하라는 댓글 12 ........ 2024/06/14 906
1602741 부동산 부양 세력이 총력전 하는 듯 5 마미 2024/06/14 714
1602740 글에서 읽혀지는 품성 실제로도 그럴까요? 6 궁금 2024/06/14 526
1602739 고백못하는 mbti는 없죠? 7 ,,, 2024/06/14 460
1602738 아우 속시원해 1 2024/06/14 1,048
1602737 매번 느끼지만 박나래는 진짜 옷 못입네요 19 어우 2024/06/14 2,921
1602736 육아 선배님들.. 9 허허허 2024/06/14 471
1602735 길냥이가 아픈 것 같은데 조언 필요해요 8 레이나 2024/06/14 312
1602734 전기압력밥솥에 꽁보리밥 하는 법 좀 알려주세요. 1 ㅇㅇ 2024/06/14 165
1602733 유산소 운동만 해도 체력 길러지나요? 6 ........ 2024/06/14 1,330
1602732 동료만 편애하는 상사 보고 어캐참아요 8 ㅈㅈ 2024/06/14 828
1602731 닭발 얘기 들으니 엄청 땡기네요 3 ..... 2024/06/14 334
1602730 영어 공부 하면서 오늘 써먹은 일 5 피료 2024/06/14 1,116
1602729 로봇청소기에 맡기다가 깜놀… 7 경악 2024/06/14 2,212
1602728 커넥션 범인 1 . . . 2024/06/14 1,200
1602727 스치는 사람 99%는 타인 일 뿐 8 .. 2024/06/14 1,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