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채식주의자이신 분들?

;ㅣ 조회수 : 1,351
작성일 : 2013-04-19 21:16:38
계신가요?
사람 몇 만났다가 어쩌다 그분들이 죄다 베지테리안이신 거에요.
그래서 채식에 대해서 저들끼리 엄청 열변을 늘어놓으면서..장점에 대해 얘기하시더라구요.
근데 사실 저도 베지테리안에 더 가깝다 할수있거든요. 유제품 안먹고 고기안먹고...생선만 정말 몇달에 한번 먹을까말까하는
플렉시테리안이라고 해야하나?ㅋ 전 육류 유제품류 소화가 너무 안돼는 체질이라 의도치 않게 채식하는 경우인데요. 원래그랬던 건 아니고 갑자기 이십대 중반 되면서부터 그러더니 저렇게 플렉시테리안으로 산지 한 일년은 넘은거 같아요.
근데 딱히 장점을 모르겠더라구요 저는...단점은 어쩌다가 모르고 우유 들어간 음식들 먹으면 설사+변비가 (죄송 ㅎ) 연달아 일어난다는거..고기 어쩌다 먹음 변비온다는거.. 아 그리고 솔직히 육식이던 어릴때보단 확실히 에너지랄까 하는게 줄어든 기분이 좀 들어요... 여기 베지테리안분들 있으신가요? 어떠세요? 그냥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IP : 68.49.xxx.12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예은 맘
    '13.4.19 9:31 PM (124.48.xxx.196)

    전 페스코 단계인데요^^;
    어려서부터 고기를 별로 좋아하지않았어요~
    커가면서 그리고 사회생활하면서 고기를 조금씩 먹었었는데요
    몇년전부터 자연스럽게 페스코로 ~
    근데 주변 사람들은거의 몰라요.
    혹시 메뉴선택에 불편 끼칠까봐서, 고기집 가게되면 적당히 둘러대는정도로 피하고 식사준비는 고기메뉴 준비하구요~
    음.전 동물애호가 아니라, 진짜 육고기가 싫고 부대껴요.
    글구 단지 인간에게 먹히기 위해 태어나 길러지고 도살당하는 생명이 가슴아프구요.

  • 2. 라누
    '13.4.19 9:53 PM (125.176.xxx.5)

    뭐, 꼭 어떤 장점이 있어서라기 보다는.. 삶의 방식을 그렇게 결정한거죠.

  • 3. ..
    '13.4.19 10:29 PM (223.62.xxx.237)

    저는 날개 달린 거하고 네발 달린 거는 안먹어요. 명싱하며 의도적으로 끊었는데 에너지가 맑이짐을 느껴요. 원래 고기 좋아하지 않았고 계란 같은 것은 먹으면 자주 탈이 났었어요. 그래서 채식이 전혀 힘들지 않아요.

  • 4. ...........
    '13.4.19 10:30 PM (108.6.xxx.96)

    우리나라사람들은 채식을 건강의 이유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다른 나라의 경우 신념의 문제가 더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람고기가 몸에 아무리 좋아도 대부분의 사람은 안먹겠죠? 그것과 비슷한 이유입니다.
    우선 저는 남들에게 채식을 한다고 이야기 안합니다.
    왜냐면 제 기준에서 엄격하게 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그건 그거고 어쨌든 비건을 지향하는데 몸의 에너지가 달리는 거, 이건 점점 나이들면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니까 그것과 완전히 떼어서 생각하기 힘든 것 같고요. 저는 워낙 에너지가 많은 타입이 아니어서요.
    채식과 소식을 병행하면 확실히 몸이 좋아지는 걸 느낍니다.

  • 5. 하나
    '13.4.19 11:36 PM (61.255.xxx.50)

    락토-오브 입니다.
    계란과 유제품까지 먹어요.
    어릴때부터 채식을 해서 고기를 보거나 냄새를 맡아도 전혀 먹고 싶다는 생각이 안들어요.
    개인적으로는 마트 진열대의 육고기를 접하면 마음이 안좋고 언짢은걸 느낍니다.

    물론 저만 채식을 하기 때문에 다른 식구들을 위해 고기 요리를 하긴 하지만 간보거나 복잡한 요리는 생략해요.

    원래는 계란도 안 먹었는데
    불편한 점이 많아 먹기 시작했어요.

    오랜 기간 육식을 하지 않아서 그 차이를 비교하려고 하니 잘 모르겠네요.

    보통 채식을 하면 날씬하다고 생각하는데 꼭 그렇지는 않아요(ex.코끼리)
    채식을 하더라도 소식과 운동을 해야 살이 빠져요.

    채식이 생명에 대한 측은지심을 가지는 것도 있지만
    지구의 식량난이나 기아, 에너지 고갈 같은 환경 문제에도 해결책이 된다고 생각해요.
    이와 관련된 책도 많이 있으니 다른 사람들도 완전채식까지는 어렵더라도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좋겠어요.

  • 6. 채식포기한 뇨자...
    '13.4.20 1:24 AM (59.26.xxx.155)

    보면 채식자체가 몸에 맡는 사람이 있는거 같아요. 저희 남편처럼... 고기를 즐겨 먹질 않아요..
    전 제가 고기를 즐겨먹다가 채식을 했었는데 일단 채식하면 소화면에서는 좋아요... 고기 먹고 난 뒤 부대낌이 없어서 가볍고 편안해지는 기분 ...

    근데 지구력이나 힘 정말 에너지가 딸려요...
    정적인 일을 하시는 분들은 채식이 맞을것 같아요.

    근데 제 일 자체가 사무직이긴 하지만 동적이고 때로는 스트레스가 정말 많이 받는 직업 전화 업무도 많이 받고 말도 많이 하다보니 다보니 저녁에 힘이 후달려요...

  • 7. 파아란2
    '13.4.20 8:21 AM (182.220.xxx.139)

    저는 채식 주의는 아니고 고기의 누린내가 싫어 의도하지 않은 채식을 합니다
    어릴때 부터 쭉요
    저는 어릴때 부터 채식을 해서인지 지구력이 딸린는것은 모르겠고 (등산 등 지구력이 필요한 운동은 잘하지만 순발력이 필요한 운동을 오히려 못해요)
    처음 부터 육식을 하지 않아서 장단점은 잘 모르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5466 눈가 짓무르는 이유가 뭘까요? 2 나이 오십 2013/04/21 3,324
245465 두통이너무심할때는..... 7 두통고생 2013/04/21 1,965
245464 마그네슘 약 크기 작은거 혹시 보셨어요? 17 ... 2013/04/21 3,593
245463 스타킹 무슨색신으세요? 3 요즘 2013/04/21 1,556
245462 밖에서 우우웅 하는 낮은소리 안들리세요? 12 .. 2013/04/21 3,172
245461 일룸 침대, 매트리스 괜찮나요? 8 아기엄마 2013/04/21 26,138
245460 코스트코랑 이마트트레이더스 말인데요. 7 .. 2013/04/21 3,121
245459 교사 월급도 그닥이고 스트레스 많지만 7 .. 2013/04/21 2,756
245458 카스 친구 아닌데 제 스토리를 어떻게 알고 있을까요? 17 카카오스토리.. 2013/04/21 10,385
245457 [대전]2013 온가족이 함께 하는 문화체험 나들이 ".. 어린이날 2013/04/21 708
245456 남편이름으로 대출된거 혹시 조회가능한가요? 3 복병시아버지.. 2013/04/21 2,924
245455 요즘핫한컬러립스틱 정보공유해주세여~ 1 형광 2013/04/21 692
245454 약간 부담되네요! 똑똑한 후배.. 2013/04/21 654
245453 최고의 빈티나는 얼굴은.... 10 @@ 2013/04/21 8,321
245452 탈모 더 이상은 빠지지 않으니 그것만으로도 감사... 8 탈모 2013/04/21 3,527
245451 된장녀라고해야할까? 검소하다고 해야할까? 2 샹드레미 2013/04/21 1,781
245450 피터리드 라는 침구브랜드 좋나요? 2 2013/04/21 6,862
245449 백화점에 다녀 왔는데.......................... 1 -_- 2013/04/21 1,583
245448 쿠쿠 압력솥 살건데요, 한 번 만 봐주세요 4 ,,,, 2013/04/21 1,456
245447 이런제가싫어요 2013/04/21 743
245446 랏또 먹고싶어요 1 주문요~ 2013/04/21 1,792
245445 동물농장의 미친개 저는 바로 밟아버리지 안락사가 웬말 76 몽둥이가 제.. 2013/04/21 10,348
245444 들마 나인 책임지세요 16 마니마니 2013/04/21 3,066
245443 원룸 전세방좀 봐주세요.. 6~7평 전세 8천인데.. 4 ... 2013/04/21 2,056
245442 대화역 근처에 해물찜 잘 하는 곳 1 알려주세요... 2013/04/21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