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죽은 MSG를 되살려낸 식약청의 저의는?

... 조회수 : 1,947
작성일 : 2013-04-19 15:09:23
출처,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355945


'최근 식약청이 업계 간 논란이 되었던 MSG 논란에 대해 "MSG는 1일 섭취허용량이 정해져 있지 않고, 저염 효과까지 있다"면서 MSG 예찬론을 펼치고 나와 건강을 염려하는 많은 소비자의 혼란을 낳고 있다. 

업계 간 논란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식품 대기업 L사가 새롭게 라면시장에 뛰어들며 버젓이 MSG를 첨가한 라면을 출시했다. 이에 이미 MSG가 들어가지 않는 라면을 제조, 판매하던 기업과 MSG가 들어가지 않는 라면을 즐겨먹던 소비자는 '요즘 MSG를 사용하는 라면이 어디 있냐'며 안전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L기업은 식약청에 MSG의 안전성에 대해 해석을 요청했고,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이는 식약청이 나서서 사용량과 섭취량이 저감하고 있는 MSG의 섭취를 권장하는 꼴이 되었으며, 식품첨가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려는 기업들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드는 꼴이 되었다. '



--; MSG 예찬론?
속지 마세요. 주어가 없는 나라니까요.


IP : 121.139.xxx.94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뇌물
    '13.4.19 3:33 PM (220.125.xxx.243) - 삭제된댓글

    조미료 업계 -----> 뇌물 -----> 관련 업체, 공무원 , 신문사, AM FM 라디오 ... 매스컴 업계

    -----> 거짓말 선동 , 광고주 , TV , 등등

    -----> 소비자

    -----> 소비자의 2세
    (시력 나빠짐 ---> 안경)
    체력 저하, 공부 못함.

    -----> 대한민국 전체가 체질 약화 , 경쟁력 약화

    -----> 대한민국 멸망

  • 2. 원글
    '13.4.19 3:37 PM (121.139.xxx.94)

    윗님께서 잘 정리해주셨네요. T^T

  • 3. ehgo
    '13.4.19 3:38 PM (101.98.xxx.119)

    이거 진짜 궁금했어요.
    왜 갑자기 MSG가 괜찮다고 수시로 이야기가 되는지...
    다른 거는 모르겠지만, MSG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저염효과 아닐텐데요.
    짠 음식에 MSG 넣으면 덜 짭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오히려 더 짜게 먹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 각자의 선택이겠지만, 전 MSG는 나쁘다고 생각해서 피하려고 노력합니다.

  • 4. 파사현정
    '13.4.19 3:40 PM (203.251.xxx.119)

    뇌물...

  • 5. 원글
    '13.4.19 3:43 PM (121.139.xxx.94)

    또 물고 늘어질까봐 기자가 차마 뇌물이란 말은 못 쓴 것 같은데, 과연 82예요. 모두 자간을 꿰뚫어보시는군요.^^;

  • 6. 근데
    '13.4.19 3:48 PM (211.224.xxx.193)

    기존라면에 msg가 안들어갔어요? 전 이게 더 놀라운데요? 엄청 들어간맛 아닌가요? 그 스프며 면이며 온통 미원맛인데??

  • 7. 원글
    '13.4.19 4:21 PM (121.139.xxx.94)

    MSG말고 다른 화학조미료도 많으니까요. MSG는 화학조미료의 대표였을뿐.
    존심님 글에 잘 설명되어 있네요. 기피대상이 다른 조미료로까지 확대되기 전에 식품업계가 선수친 것 같다는 느낌도 들어요.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1378410&page=1&searchType=sear...

  • 8. ...
    '13.4.19 4:30 PM (203.255.xxx.87)

    그래서 그렇게 msg를 목숨 걸고 변호하는 글들이
    지속적으로 올라왔군요.
    그냥 먹고 싶으면 혼자 먹지 왜 이리 msg의 정당성을 열정적으로
    토로하는지.

  • 9. ...
    '13.4.19 4:33 PM (203.255.xxx.87)

    저염 효과가 있다는 거는 맞는 말일거에요.
    대신 대량 msg 흡입인 거죠.
    짜지도 맵지도 않은 음식은 msg가 많이 들어갔을 확률이 높아요.
    예를 들어 피자 같은.
    저는 피자 먹으면 잠이 아주 잘 와요.

  • 10. 원글
    '13.4.19 4:47 PM (121.139.xxx.94)

    MSG만 변호하면 다행이게요?
    온갖 화학첨가물, 먹거리에 살포하는 살균제에 GMO까지 과학적 근거 운운하며 예찬하고 다니던 걸요.
    다른 건 둘째치고 그런 글 올리는 분들- 보는 사람을 아주 바보취급하는 것 같아 기분 더럽더군요.

  • 11. ㅇㅇㅇ
    '13.4.19 5:16 PM (218.159.xxx.237)

    근데 미국 FDA하고 EU의 식품안정청도 같은 결론을 내렸는데.. 그건 왜일까요?

    같은 회사 지지하나요?

  • 12. ...
    '13.4.19 8:50 PM (112.155.xxx.72)

    미국의 FDA에 대해서는 미국의 생각있는 사람들도 불만이 많아요.
    일단 msg의 side effect가 과학적 실험에 의해 증명되고 있잖아요.
    저는 몸으로 시시때때로 실험하고 있습니다.

  • 13. 원글
    '13.4.19 9:41 PM (121.139.xxx.94)

    그쵸. 일단 FDA는 GMO에 대해서도 손 놓고 있으니까요. 몬산토 텃밭이라.
    그런데 GMO 관련해서는 EFSA에서도 입장이 모호하긴 매한가지.
    미국, 유럽 할 것 없이 거대 농식품기업들이 앞다투어 GM기술에 매진하고 있으니 결국은 믿을 곳이 없다는 거죠.

  • 14. 부작용?
    '13.4.20 11:53 AM (59.31.xxx.2)

    side effect라면 해당안되는 음식재료가 없을걸요.
    전세계에서 수많은 과학자들이 워낙 방대한 연구결과물을 쏟아내다 보니 별의별 논문들이 다 있어요.
    msg는 상대적으로 다른 양념재료보다 안전한 편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15. 원글
    '13.4.20 6:30 PM (121.139.xxx.94)

    MSG가 상대적으로 다른 양념재료보다 안전한 편인가 그렇지 않은가는 별로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고요.
    여기서 논점은,
    "MSG는 1일 섭취허용량이 정해져 있지 않고, 저염 효과까지 있다"라는 식약청의 MSG 예찬론입니다.

  • 16. msg
    '13.4.21 3:20 PM (59.31.xxx.2)

    msg가 저염효과가 있다는건 네이버 백과사전에도 나오는 내용이고요.
    msg의 1일 섭취허용량이 정해져 있지 않는건 미국과 유럽등 세계적인 기관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 17. 원글
    '13.4.23 11:55 AM (121.139.xxx.37)

    최소한 FDA에서는 한국 식약청처럼 보도자료 뿌려가며, 백방으로 '평생먹어도 안전하다고 홍보하고 다니진 않아요.
    1일 섭취허용량 규제를 안 할 뿐이지- 여기에 대해서도 신경과학계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고요. 무엇보다도,
    먹어서 몸에 좋다는 것도 아니고 여전히 논란도 많은 물질인데 누구좋으라고 평생먹어 안전하다며 권장하는데 돈을 뿌리나요?

  • 18. 원글
    '13.4.23 12:13 PM (121.139.xxx.37)

    식약청이 진짜로 국민 안전 걱정하는 기관이라면
    'MSG 오해를 불식'시키는데 투입하는 시간과 비용과 인력으로,
    FDA에서도 유해하다고 금지했지만 한국에선 일상적으로 쓰이는 위험물질, 하나라도 더 알려줘야 하는 게 아닐까요?

  • 19. 거짓말 치고 있네.
    '13.6.12 1:05 AM (1.246.xxx.39)

    FDA에서 MSG 안전하다고 했음.
    식약청에서 거짓말 한것도 아니고 과학적 사실을 그대로 알려준것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9149 해외 카드사용 금액 계산 .. 2013/05/08 368
249148 영어쓰면 똥이 금이 되나요? 13 ㅇㅇ 2013/05/08 2,104
249147 외국 아이에게 과자 사준다는 분 보세요. 5 ........ 2013/05/08 2,008
249146 성적 오른 중2 평균 4 희망 2013/05/08 1,953
249145 다섯살이면 옷혼자입고 화장실혼자가고 5 다섯살 2013/05/08 1,152
249144 북한은 왜 민주주의 공화국이란 호칭을 쓰나요? 9 궁금 2013/05/08 1,866
249143 캡내장된 티셔츠 없나요 2 .. 2013/05/08 618
249142 유난히 저만 우습게 보는 상사 어찌해야 할까요? 8 흑 ㅜㅜ 2013/05/08 1,663
249141 미샤는 보아를 데려다 광고를 저렇게 만들수밖에 없는지..ㅡ.ㅡ .. 19 .. 2013/05/08 5,258
249140 가습기 살균제... 이거 전국민 단위로 걸어야 하는거 아니에요?.. 11 2013/05/08 571
249139 어느 코스트코 카터스 요일 팬티 있을까요? 3 궁금이 2013/05/08 1,444
249138 마트에서 백만원짜리 내면 거스름돈...급해요ㅠ 3 다봄맘 2013/05/08 1,761
249137 영어질문요! 2 영어 2013/05/08 438
249136 핫핑크쟈켓..(여름용) 5 고민 2013/05/08 920
249135 갑자기 성시경한테 빠져서 28 율리 2013/05/08 4,172
249134 장터 구매후기글만 보면 웃음이 나요. 15 .. 2013/05/08 3,367
249133 소프라노 서활란씨... 3 은빛구슬 2013/05/08 1,742
249132 서울고 주변에 좋은 국어학원있나요><(고1맘,정보부탁.. 1 천사66 2013/05/08 1,832
249131 에어컨사기 힘드네요 3 에어컨 2013/05/08 1,644
249130 혹시 짜리몽땅한 가지 아세요~? 7 .. 2013/05/08 1,194
249129 서른 후반 직장인인데 요 근래 유난히 기력이 없고 체력이 바닥이.. 4 기력없음 2013/05/08 2,105
249128 결혼식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축의금 2 축의금 2013/05/08 2,154
249127 일리커피..마시고픈데 도움좀 주세요~pelase 2 내려먹어보자.. 2013/05/08 1,304
249126 어린이집 적응과 선생님과의 마찰, 조언 좀 부탁드려요. 5 ... 2013/05/08 2,418
249125 어버이날, 카네이션이요...^^ 1 2013/05/08 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