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스렌지...전기렌지..

요리 조회수 : 2,663
작성일 : 2013-04-09 17:34:10

가스렌지 수명도 다 되가고... 부엌이 냄새가 빠지지 않은 구조여서

음식을 하면 가스냄새가 나요... 처음에는 더 나구요...

가스 냄새가 치매의 원인이라는 말도 있고... 하여간

건강에 좋지 않은것 같아서 이번에 전기렌지로 바꿀까 하는 생각도 하는데...

전기요금, 화력 등등이 신경쓰입니다.

저희는 전기 요금 한달에 만원 정도 내고 있어요. 전기기기가 별로 많지

않고 밥솥도 안쓰고 TV이도 없어요.  제일 큰 가전기기는 냉장고이고

컴퓨터, 전기주전자, 세탁기는 탈수만 하는 정도인데...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전기렌지 쓰시는 분들 조언 좀 주세요. 저는 가스불에 빨래를 팍팍

자주 삶는데.. 전기렌지 쓰면 이것도 불편할까 싶고...

어쨌든 바꿔야 하는데... 환풍 잘 안되는 구조때문에.. 전기렌지에

한표가 더 갑니다. 전기렌지 쓰시는 분들 어떠신지요?

바람이 많이 부는데... 귀가길 조심하세요.^^

IP : 59.0.xxx.6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탕별
    '13.4.9 5:40 PM (211.36.xxx.152)

    저 쓰는데 4구짜리고 모두 다 타이머 달렸어요
    타이머 기능 있는걸 사시는게 좋아요
    이거 사고 다 한번도 뭐 태워먹은적 없어요
    단 전기세는 많이ㅠ나와요
    원래 300키로 나오는데 전기렌지 쓰니까 450에서 500키로 나옵니다
    집에서 쓰는전기세만 10만원 넘어요
    물론 여름에 에어컨땜에 좀 더 나오고
    아파트 관리비 ㅠ생각하면서 계산해보세요
    공간 있으시면 가스렌지도 같이 놓고 쓰세요
    전 가스렌지 밖에 두고 삶거나 생선같은건 밖에서 요리하고
    집 안에서는 간단한 볶음이나 밥. 라면 정도

    음식 많이 해먹는집은 (오래 고우거나. 찜 종류) 전기세 감당하기 어려우실겁니다

  • 2. ..
    '13.4.9 5:45 PM (175.249.xxx.46)

    전기렌지 화력 좋아요.

    가스렌지 보다 빨리 끓어요.

    전기렌지 쓰다가 가스렌지 쓰는데....좀 답답하긴 해요.

    불조절 잘 못하면 끓어 넘치거나....냄비 타는 건 순식간이더군요.

    하지만....불 조절만 잘 하고 남은 열로도 조리 할 수 있고....타임머 기능이 있어서 좋긴해요.

    은근히 조리는 요리에는 가스렌지가 더 나은 것 같고요.

    서로 장단점이 있는 것 같아요.

    전기렌지로.......코팅 후라이팬 사용시에.......가운데 부분이 좀 타더군요.

    전기세는 그렇게 많이 나오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 3. --
    '13.4.9 5:49 PM (211.108.xxx.38)

    전 전기렌지 정말 잘 샀다고 생각하면서 살지만
    전기요금 1만원 정도로 사시는 것을 중요시하시는 원글님 성향에는 어울리지 않을 것 같아요.

  • 4. 원글
    '13.4.9 5:53 PM (59.0.xxx.67)

    제가 전기렌지 쓰시는 집에 가보니... 바깥에 가스렌지 안에는 전기렌지를
    두고 요리를 하시더라요. 많은 양을 볶는것은 가스렌지에서
    하더라요... 자세한 댓글들 감사드립니다.

  • 5.
    '13.4.9 5:54 PM (109.84.xxx.220)

    그리고 전기렌지 화력이 가스렌지보다 세다뇨?

    인덕션이 아님 전기렌지 화력이 가스렌지보다 셀 수가 없어요.
    근데 인던션은 자기장 이용해서 냄비를 덥히는 거라 전자파 장난 아니에요. 송전탑 아래 사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딀 듯.

    원적외선, 건강 운운하는 전기렌지 업체 광고에 속지 마시고 (모든 열 발생 기구에선 원적외선 나와요, 당연 가스렌지도 나옵니다)
    현명하게 가스렌지 계속 쓰세요.

  • 6. 원글
    '13.4.9 5:59 PM (59.0.xxx.67)

    여러가지 알아갑니다. 저는 가능하면 전기를 덜 사용하는 생활을 하고자 합니다.
    전기요금도 있고... 원자력 생각하면 나라도 쬐끔 보탬이 될까 싶어서..ㅜㅜ
    가능하면 냉장고도 소형쓰자주의 인데... 손님이 오셔서 요리를 해내면 가스냄새가
    심하게 난다고 합니다. 환풍을 자주 하는데... 오늘처럼 바람이 많이 불면 환풍을
    안하고 요리를 하고 그러다보니 가스냄새가...ㅠㅠ 암튼 소중한 댓글들 감사합니다.

  • 7. 요금
    '13.4.9 6:22 PM (1.253.xxx.46)

    이년전에 바꿨는데요. 요금 많이 나와야 만원정도 더 나오네요. 빨래는 아기사랑 세탁기로 삶으니 전기로 삶는셈이구요. 4인가족 전기료 평균35000 입니다. 세탁기 식기세척기 매일 돌리구요. 조그만 미니오븐 가끔써요.
    여름에 덜덥고 겨울에 공기 안탁해져요. 에어컨비 넌방비 절감되는듯... 전 외국 몇년살때 전기 첨 썼는데요. 한국와서 가스렌지 다시쓰려니 숨이 막혀서요. 일년쓴거 남주고 전기렌지로 쓰니 살것같네요. 중국요리 매일 하는거 아니면 화력걱정 필요없어요. 인덕손은 전자파 나오고 냄비도 되는종류만 사용되니 그냥 전기렌지로 하세요. 댓글 보셔야될텐데요...전기요금도 중요하지만 건강이 더 중요해요. 어차피 바꾸시려면 전기로 하세요

  • 8. 포도주
    '13.4.9 6:23 PM (121.162.xxx.139)

    109.84님 너무 치우친 답변인 것 같네요. 가스 냄새가 얼마나 머리 아프고 유독한데, 2년전에 바꾼 전기렌지가 가스렌지보다 10배는 편하고 위생적이라고 생각되네요.

  • 9. 원글
    '13.4.9 6:34 PM (59.0.xxx.67)

    댓글 보고 있습니다.^^ 전기요금보다 냄새가 더 신경쓰입니다.
    건강도 썩 좋지 않은데... 가스냄새가 계속 난다니... 정말 갈등입니다.
    1구 짜리 하나 사서 간단한 요리할때만 쓸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 10. 폐암으로
    '13.4.9 6:35 PM (59.22.xxx.58)

    돌아가신 52세된 젊은 숙모님 덕분에
    이번에 과감히 전기 렌지로 바꿨어요ᆢ
    요리를 무척이나 잘하고 좋아하셨던 분인데ㅠㅠ

    저희는 건강을 위해서 바꿨어요
    아직 한달 안되어 전기세는 모르겠고
    가스냄새안나서 좋아요

  • 11. ㅇㅇㅇ
    '13.4.9 6:50 PM (14.35.xxx.1)

    아는 동생이 휘슬러 4구로 바꾸고 베란다에 딸려 있는 1구짜리 가스렌지랑
    쓰더니 언젠가 갔더니 밖에 가스렌지 쓰러 왔다리 갔다리 하데요

  • 12. 루루
    '13.4.9 7:23 PM (180.224.xxx.57) - 삭제된댓글

    사인가족 전기쓰고 전기료 삼만원 안팎나와요 절대
    많이 안나옴니다 옛날
    엄마처럼 음식 많이 하지 않으면요 냄비도 스텐으로 효율 좋은거 쓰면 금방 끓어요 보온 밥통 전기먹는 하마예요 코드뽑아
    그때 그때 데워 드셔요 밥 냉장고에 넣고 전기절약방법 연구하시면 될거 같은데요

  • 13. ..
    '13.4.9 8:23 PM (175.249.xxx.46)

    109님...전기렌지 화력 세요.

    가스렌지하고 전렌지에 물 똑같이 올려 놓으면....전기렌지에 올려 놓은 물이 더 빨리 끓습니다.

    무엇 보다 냄비 손잡이 플라스틱으로 된 거 안 타서 좋죠.

    가스렌지는 화력 세게 해 놓으면 손잡이가 타는데.....

  • 14. ........
    '13.4.9 8:32 PM (118.38.xxx.212)

    저도 고민입니다. 전자파가 더 나쁠까? 가스냄새가 더 나쁠까?

  • 15. ....
    '13.4.9 9:15 PM (221.163.xxx.214)

    가스없앤지 2년지났는데,.. 매우좋습니다

    (환풍기켜놓고.환기만 잘한다면 가스렌지 건강에 나쁘지않습니다)
    다만.저개인적상황.집부엌에 창이없어서..환기가어려워서 가스를 안씁니다
    전기렌지
    비싼것은 전자파 위험 거의없습니다.
    둘다 장단점이있어요.

    전기렌지는 초판에 더디끓어올라서 감질나지만,...막 끓다가 그만 가열하고싶을때, 불을 꺼도
    여전히 국은 뜨겁게 한참동안이나 끓음이지속됩니다
    가스처럼 툭~ 열이 끊어지지않는다는점이 단점입니다
    가열할때.후라이팬.냄비 밑바닥에 편편하지않으면 사용이어려운점..동그란솥사용도어렵워요.

    가스가 막 쓰기편하죠.
    빨리끓고.빨리 꺼트릴수있고.
    그어떤용기 냄비도 다 가열가능하고, 안좋은점은
    환기를 잘 안할경우는 마치 , 시동을 걸어둔승용차 한대를 밀페된 집안에 넣어둔것과 같다고하더군요
    하지만
    요리를 능동적.리드미컬하고.효율적으로하기엔,가스가 더 활용도가높아요.
    예를 들어,불조절 미세하게.거품기로.수저로조절하면서,굳지않는.소스를 만든다던가등등.
    튀김을한다던가.가스가요리하기는 편해요.

  • 16. 루루
    '13.4.10 10:49 AM (116.121.xxx.110) - 삭제된댓글

    참 전기렌지는 닦기 편해 위생적이고 물값이 완전 덜들걸요 찌든 가스렌지 닦을라면 힘도 들지만 요금을 따지면 물값 더 들지요

  • 17. 한판4625
    '13.4.10 5:46 PM (39.7.xxx.75)

    틸만 전기렌지 저희 아파트에서 공동구매하고 있던데요
    전화해보세요 010-2610-4629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6926 '일본어 독도홈피' 8월 개설…정부, 홍보 강화 1 세우실 2013/04/25 485
246925 아들녀석이 빨간안경테를 골랐어요 ㅠ.ㅠ 6 이클립스74.. 2013/04/25 1,421
246924 빌트인 식기세척기위에 전기렌지 고장...? 1 전기렌지와 .. 2013/04/25 1,804
246923 고운 고추가루는 시중에 파는 고추장용 고추가루를 말하나요? 2 뭐냐넌 2013/04/25 1,000
246922 병원에 생전처음 입원했을대 가족들 반응. 23 .. 2013/04/25 3,620
246921 저보고 같은 옷 5번 입었다고 말하는 사람은 ??? 14 뭥미 2013/04/25 3,739
246920 왜 파렴치하고 충격적인 사건들은 죄다 공무원이나 고위층일까요? 7 ㅇㅇ 2013/04/25 1,144
246919 미국 방문 관련 질문드려요 7 질문 2013/04/25 764
246918 pdf 파일을 어떻게 열어서 볼까요? 3 쵸코코 2013/04/25 850
246917 나이들어 잇몸올라간거 회복되나요? 14 치과 2013/04/25 11,476
246916 요며칠 부쩍 부동산 관련 광고전화가 많이 오네요. 투기싫어 2013/04/25 452
246915 통영여행 가요~ 2 오늘내일 2013/04/25 941
246914 강남에 호텔급 부페 어디 없나요? 5 부페 2013/04/25 1,969
246913 제습기 선택 6L or 10L 어떤 것이 좋아요(소비전력)? 4 장마대비 2013/04/25 2,529
246912 아이에게 작은 장애가 있어요. 9 걱정맘 2013/04/25 3,556
246911 미국에 사는 조카들(2,3학년)이 한국에 방학동안(2달) 들어오.. 2 parkso.. 2013/04/25 1,007
246910 손가락에 1cm 정도의 2도화상 입었는데. 3 굼벵이 2013/04/25 1,938
246909 퀘퀘묵은 옛날상처까지 꺼내서 괴로워 하는 습관 고칠 방법 없을까.. 22 나나 2013/04/25 3,689
246908 1박2일로 놀러갈만한 곳 있을까요? 1 1박2일 2013/04/25 1,019
246907 짝 남자 5호 결혼하기 힘들겠던데요. 10 마마보이 2013/04/25 3,759
246906 구제해 주세요 3 콩나물무침 2013/04/25 586
246905 몸이 많이 피곤하구 자꾸 부어요 7 피곤해 2013/04/25 14,298
246904 사각반듯한 캐리어에 딸려오는 똑같은 모양의 작은가방 있잖아요 6 .. 2013/04/25 1,210
246903 100% 현미밥해먹으려면 현미반 현미찹쌀반 하면 괜찮을까요? 8 - 2013/04/25 1,990
246902 미국 비자 잘 아시는 회원님들 5 미국 비자 .. 2013/04/25 1,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