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교장한테 말할까, 교감한테 말할까...

학교 조회수 : 2,266
작성일 : 2013-03-22 07:59:24
초3 서울의 한 사립학교에 딸을 보내고 있는 엄마가 제 친구입니다.
아주 가깝고 오랜 친구인데, 어느날 제게 상담을 하더군요.
"교장한테 말할까, 교감한테 말할까? 어떤 애가 우리 애를 자꾸 따라다니면서 괴롭혀"
저는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그 말을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나라면 어땠을까...먼저 생각이 들더군요...
교실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는 담임이 가장 먼저 해결할 수 있고, 담임이 모른 상태에서 교장이나 교감이 교실로 전화하거나 불러서 나도 모르는 우리반의 일을 내게 지적한다면 그 아이나 부모에게 나는 어떤 느낌이 들까... 생각해봤습니다.
친구에게 말했죠.
"우선 교실에서 선생님 몰래 괴롭힌걸테니, 담임선생님께 먼저 알려라. 알림장에 써주거나, 내용이 길면 편지를 쓰거나, 그것도 귀찮으면 교실로 전화하거나, 더 귀찮으면 문자를 하라"고요.
만일 담임교사가 계속 아무런 조취를 취하지 않는다면 최후의 카드로 교감이나 교장에게 알려라.라구요.
아니... 사실 교직에 있는 저로서는 내 교실 안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윗선에서부터 폭압적으로 해결하려는 학부모에 대해서 그렇게 좋은 느낌을 가질 것 같지는 않아요.
교장에 따라 다르겠지만, 무조건 혼부터 내는 교장부터, 끊임없는 감시와 잔소리햐는 교감까지... 천차만별이라, 학부모들이 단순히 생각하는 그 일 하나로 어떤 일이 일어날자는 모르죠.

출근하며, 오늘의 베스트글인 '중학교 1학년 딸이 머리채 잡힌 일'에 대해서도, 교사가 정신적으로 크게 문제있지 않는 한은 머리채를 심하게 잡았지는 않았을테고, 똥머리를 살짝 끌어당긴 정도라면, 그것이 과연 교장이나 교감에게 쫒아가 항의 할 정도인가 생각해봅니다.

댓글을 보니 꽤 많은 분들이 "교장실로 찾아가 항의하라"고 하셨는데, 항의를 받으려면 당사자인 교사가 가장 먼저 받아야하고, 그 다음이 담임(담임이 먼저면 더 좋겠구요), 그 다음이 교감, 교장입니다.
교사도 감정이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교사가 생각하기에 별 것 아닌 것으로 위로부터의 질책을 먼저 받으면 감정이 쌓이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아마도 당혹스럽고 교사와 직접 대면키가 어려우니 교장교감에게 연락하시는 거겠지만, 그것은 '최악의 수'라는 생각이 듭니다.

학기초에 선생님들때문에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 당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제 말씀을 참고하시면 하는 바램입니다.




IP : 14.35.xxx.9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3.3.22 8:12 AM (1.241.xxx.27)

    전직 대통령의 죽음을 희화하하여 교실에서 우스개를 만든 선생님때문에 교감샘에게 전화한적이 있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그 선생님은 누가 전화했는지 끝까지 알겠다고 하면서도 나 이제 농담으로 재미있게 수업안한다고 아이들을 협박하며 그 아이때문이니 니네들이 알아내라고까지 말했다고 하더군요.

    직접 전화했다면 내 아이가 어떻게 되었을까요.
    전 사실 좋은 선생님을 많이 겪었음에도 그것이 평균치로 퉁쳐지는게 아니라
    이상한 선생님은 민원이 들어갈정도로 이상한 선생님은..
    그분에게 직접 이야기 할수도 없을정도로 이상하다에 한표를 던집니다.
    님이 좋은 선생님이라고 해서.. 대화가 통한다고 해서
    옆자리 선생님까지 그러란법은 없거든요.
    이상한 행동을 했을땐 정말로 직접은 말이 안통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 2. ...................
    '13.3.22 8:25 AM (182.208.xxx.100)

    읫글님....3년동안 당햇다고 하신대,,,선생님한테,말해서 안되면,어느 정도 선에서,,그 위로 올라가야지,,,,,3년을 안일하게,대처 하셨네요...

  • 3. ㅇㅇ
    '13.3.22 8:29 AM (61.43.xxx.21)

    철저히 교사입장이네요....그 비슷한 일을 학부모로서 당해보셨는지요?

  • 4. 뭐가 교사입장?
    '13.3.22 8:33 AM (223.62.xxx.126)

    당연히 담임 먼저, 해결 안되면 교장, 안되면 교육청 이 순서죠.

    회사에서 팀원하고 갈등을 팀장 제끼고 과장한테 얘기하나요
    집에서 자식 문제를 남편 제끼고 시부모와 얘기하나요

    원글님 고생 많으시네요

  • 5. ..
    '13.3.22 9:48 AM (223.62.xxx.10)

    일에는순서라는게있습니다
    담임에게알린후 조치가취해지지않으면 그다음으로 교감교장에게알릴수는있어도 담임무시하고 바로교장교감선에 전화하는거는 예의가아니지요
    윗댓글쓰신분들은 직장생활도 안해보셨나봐요
    교사라면님은 교사를성인군자로아시나보네요ㅎㅎ 저는그런기대안합니다 물론 교사의도덕성 중요하고 감정조절도할수있어야하지만 사람이기에 기분상할수 있다는 원글님의말이 뭐가잘못되었나요?
    성직자보다도 더한 윤리도덕관을 교사에게 강요하는건좀심하지않나요?

  • 6. ...
    '13.3.22 10:06 AM (218.232.xxx.66)

    일의 순서 맞는 말이긴 한데
    요즘 교사들은 좋은 맘 갖기가 먼저 힘듭니다
    좋은 교사도 많겠지만
    상처는 한번이라도 치명적이기 때문에
    그런 일이 없어야 하는 거구요
    교사가 성인 군자이기를 바라기는 커녕
    상식적이기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 7. 그런 경우엔 그렇지만
    '13.3.22 12:40 PM (124.50.xxx.31)

    원글님 지인 아이와 어제 글은 전혀 다른 사안인데요.
    아이가 반친구한테 괴롭힘을 당할 때 담임선생님께 말씀드리는 게 맞지만
    어제 일은 과목 선생님께 부당한 대우를 당한 것인데 어떻게 똑같은 방식으로
    대처해야 하나요?

    우리 아이는 중학교 때 복도에서 다른 반 아이에게 이유 없이 맞은 적이 있었어요.
    이름표가 없어서 몇 반 누구인지도 모르겠다고 하더라고요.
    전 교감선생님께 바로 전화드렸습니다. 누구 엄마라고 실명도 밝히고요.
    이 문제는 담임 선생님이 해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기에 직접 말씀드린다고
    양해를 구했고 교감선생님도 전화해 주셔서 오히려 고맙다고 하셨어요.

    사안에 따라 담임선생님, 교감교장 선생님, 교육청 등으로
    달리 호소할 수 있지 않나요?.
    댓글과 원글의 예가 다른 범주일 때는 같은 해결책을 논하는 건 무의미하다고 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8293 전기료가 꽤 많이 줄었어요. 8 신세계 2013/04/03 2,557
238292 힐링에 나온 설경구씨를 보고 느낀점! 31 .... 2013/04/03 4,268
238291 에이즈약 먹은 사람들만 다 죽었다. 안먹은 사람만 살아남아.. 5 에이즈의비밀.. 2013/04/03 5,021
238290 마음이 너무 헛헛할때 5 . 2013/04/03 1,652
238289 취약성과 수치심에 관한 TED 강연-브레네 브라운 박사 31 수잔 브라운.. 2013/04/03 2,973
238288 아줌마·아줌씨가 뭡니까? 2 2013/04/03 1,293
238287 자식딸린 남자는 왜 싫을까요? 35 리나인버스 2013/04/03 5,806
238286 근력운동 하려고 하는데 조언 좀 부탁드려요! 58 몸짱이 될꺼.. 2013/04/03 5,620
238285 제주도에서 새벽에 나와야해요. 도움 좀 주세요. ㅜㅜ 4 제주도 2013/04/03 1,073
238284 설송이 불륜이 아닐 확률은 단 1프로도 없는건가요? 13 .. 2013/04/03 4,051
238283 방통대 영문과... 알려주세요..(도움절실) 3 고민중 2013/04/03 6,930
238282 뜬금없이 밤에 사고쳤어요.ㅠ 3 루비 2013/04/03 1,609
238281 설송 커플에 대한 2 생각 2013/04/03 1,109
238280 편의점 알바생 폭행 1 더듬이 2013/04/03 933
238279 하원시터 비용 얼마가 적당할지 봐주세요 6 Nn 2013/04/03 1,100
238278 결호 4년차.. 애기 둘엄마인데..꾸미는게 언젠가 부터 너무 부.. 4 애기엄마 2013/04/03 2,093
238277 힘 실리는 변호사 예비시험제 박영선 2013/04/03 874
238276 유통기한 한달된 개봉 안한 두부..먹으면 죽을까요;;; 14 ... 2013/04/03 8,725
238275 장사꾼 똥은 개도 안 먹는다더니....정말 힘드네요. 20 미침 2013/04/03 5,238
238274 winner takes it all 16 사랑과 결혼.. 2013/04/03 2,489
238273 산모미역에서 시큼한 냄새가 나요. 1 궁금 2013/04/03 883
238272 아이허브 메일 2 알려주실분?.. 2013/04/03 1,183
238271 일반고의 현실ㅜㅜㅜㅜㅜ 6 학교 2013/04/03 3,184
238270 김밥재료 만든거..냉장실말고, 베란다에 두어도 될까요? 2 다시한번 2013/04/03 904
238269 '기형 딸기' 누구 책임? 2 .. 2013/04/03 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