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가능한 쉬지 않도록 김밥을 싸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초보요리사 조회수 : 6,473
작성일 : 2013-02-20 20:40:39

전날 저녁 김밥을 미리싸고

다음날 브런치정도로 먹을 김밥을 만들려고 해요

(아침 일찍 나가서 당일 오전에 만들기는 불가능하고요)

 

너무 차면 밥도 딱딱해지고 소화도 안될거 같아서

가능한 한 실온에 보관하고 싶고요

 

김밥의 속 재료로 무얼 넣고

또 밥은 어떻게 조리하면 가능하면 안쉬고 조금 맛은 유지할수 있을까요?

 

저희집에서는 계란이랑 단무지는 꼭 넣자는 주의인데

좋은 아이디어나 경험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감사드려요 ^^

 

그리고 김밥이나 주먹밥 싸실때 간보면서 싸시나요?

저는 안보고 싸서 그런가 맛이 들쭉날쭉인데 특히나 김밥이나 주먹밥은 재료를 모두 준비하고 한꺼번에 만드는거라

간보기가 저는 잘안되네요 ㅜㅜ

 

 

 

IP : 1.241.xxx.70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2.20 8:45 PM (219.240.xxx.110)

    요즘 밤에 싸서 둬도 멀쩡해요.
    불안하심 김초밥ㅡ식초설탕소금쬐금 으로 싸셔도 좋아요.

  • 2. ..
    '13.2.20 8:46 PM (1.225.xxx.2)

    밥에 배합초를 넣어 김초밥으로 싸세요.
    시금치는 넣지마세요.

  • 3. 신둥이
    '13.2.20 8:47 PM (14.54.xxx.127)

    식초물 만들어 초밥으로 싸면.. 그나마...

  • 4. 올리브
    '13.2.20 8:49 PM (116.37.xxx.204)

    찹쌀 섞으면 아무래도 덜굳죠.

  • 5. 시금치대신
    '13.2.20 8:50 PM (211.207.xxx.107)

    깻잎으로 싸요
    깻잎향이 좋아 넘 맛있고 잘 안 쉬어요

  • 6. 저라면
    '13.2.20 8:51 PM (115.140.xxx.99)

    유부초밥 싸겠어요.
    던 간단하고..

  • 7. ...
    '13.2.20 8:52 PM (125.182.xxx.135) - 삭제된댓글

    모든 재료를 식혀서 싸세요.
    온도가 들쑥날쑥하면 더 빨리 상한다고 하네요..친정엄마가...

  • 8. ㅎㅎ
    '13.2.20 8:55 PM (211.207.xxx.62)

    그거 간단해요. -님 말씀처럼 식초를 넣은 초밥 양념밥 하면 되요.
    일단 식초와 설탕 소금, 미림(좀 많이) 등을 냄비에 넣고 팔팔 끓이세요. (어림짐작으로 하는거라 몇스푼인지 정량을 알지 못해요) 예로 김밥 다섯줄 정도 싸실 예정이라면 머그컵 3분의 1 정도의 양이면 됩니다. 김밥을 많이 쌀수록 미림의 양이 많아지겠죠?
    금세 끓어오르면 얼른 불끄고 바로 뜨거운 밥에 부으세요. 그런다음 참기름 넣고 깨소금넣고 밥주걱으로 몇번 뒤집어서 섞어주심 밥 양념은 끝나요.
    재료야, 다양하게 넣으심 되죠. 저는 초딩 아이들 김밥에는 반드시 치즈를 넣어줘요. 여름에는 녹아서 안되지만 요즘같은 겨울날씨에는 고대로 유지되서 괜찮아요.
    근데 밥 양념이 맛있으면 속내용은 그다지 중요치 않더라구요. 김밥의 생명은 밥..아시죵?

  • 9. ㅎㅎ
    '13.2.20 8:59 PM (211.207.xxx.62)

    저도 단무지와 계란은 반드시 넣어줘야 맛나더라구요. 거기다 프랑크소세지, 오이(아삭하니 맛있어요), 맛살, 오뎅 등등. 때에 따라서는 네가지 정도, 시간이 충분하면 7-8가지 정도로 늘어나요. ㅎㅎ

  • 10. ..
    '13.2.20 9:05 PM (112.148.xxx.208)

    김초밥으로 하시고, 시금치는 넣지 마세요.
    시금치가 잘 쉬더라구요. 시금치 대신 절인오이나 살짝데친 부추 넣으세요.

  • 11. 행복
    '13.2.20 9:09 PM (175.223.xxx.218)

    시금치나오이대신 부추를넣고 싸시면 빨리상하지않아요 보통땐 시금치나오이넣다가 여름엔 부추넣어서 싸요

  • 12. --
    '13.2.20 9:12 PM (112.184.xxx.174)

    그래도 상온에 두시면 별로일것 같은데요. 12시간정도 실내온도 20도정도에 두시는 건데 그렇다고 냉장고 넣으면 굳어서 별로고. 상온에 두셔야 할텐데 싣촛물로 싸면 좀 괜찬더라구요.

  • 13. ..
    '13.2.20 9:29 PM (39.121.xxx.55)

    오이 대신 매실장아찌 있으면 그거 다져서 넣어보세요...

  • 14. 토끼맘
    '13.2.20 9:34 PM (121.142.xxx.143)

    모든 재료를 (단무지도 맛살도 어묵도) 기름 없이 달군 후라이팬에서 데워서 해보세요.
    시금치도 살짝만 데쳐서 후라이팬에서 한번 데워서하면 여름에도 안쉬더라고요
    김도 석쇠에다 앞뒤로 구워하시고요.

  • 15. 쓸개코
    '13.2.20 9:36 PM (122.36.xxx.111)

    저 좀전에 김밥싸먹었는데요, 재가 잘 쓰는 재료는 오이고추나 모닝고추에요^^
    기름에 살짝 볶다가 간장이랑 설탕 조금 넣고 마져 볶으면 약간 장아찌맛도 나면서
    아주 맵지도 않은것이 살짝 칼칼하기만 한게 피망에 가까워요.
    아님 고추짱아찌 잘게썰어도 맛있어요.

  • 16. 김밥
    '13.2.20 9:46 PM (122.32.xxx.214)

    오이를 설탕 소금넣은 식촛물에 살짝 절여서 넣어보세요 어느 블로그에서 보고 따라해봤는데 괜찮았어요^^

  • 17. 계란
    '13.2.20 9:46 PM (116.37.xxx.141)

    시금치 못지않게 계란도 조심하셔야해요
    밤 늦게 싸시면 실온에 두어도 괞찮아요
    다만 맛이 별로~~~~

  • 18. jjj
    '13.2.20 10:00 PM (1.229.xxx.157)

    예전에 티브이에서 햄을 기름에 볶지 않고 삶으면 덜 쉰다고 하더군요. 저는 첨가물때문에 삶아서 기름없는 펜에 한번더 구워서 써요. 참고되려나요. ㅎㅎ

  • 19. ...
    '13.2.20 10:15 PM (110.8.xxx.195) - 삭제된댓글

    밥을 차갑게 식혀서 김밥을 사셔야 쉬지 않더라구요.
    다른 재료도 마찬가지구요.

  • 20. 우엉~
    '13.2.20 10:30 PM (220.73.xxx.16)

    단무지, 달걀, 당근 넣고요
    우엉도 넣으면 맛이 달라요.

    시금치는 잘 상하니까 오이나 피망 넣으세요.
    근데 오래 두는 건 피망이 제일 낫더라고요.

    햄과 어묵은 보통 같이 넣곤 하는데
    첨가물이 서로 부딪혀서 안좋다고 하니
    둘 중에 하나만 넣으세요.

    치즈 넣어서 치즈 김밥도 맛있고요.
    깻잎도 넣으면 향긋하고 좋아요.

  • 21. ㅇㅁ
    '13.2.20 10:37 PM (115.161.xxx.28)

    밥을 볶으면 오래간다고 하던데요. 저희 부모님은 김밥싸주실때 항상 밥을 볶아서 해주셨어요.

  • 22. 비법 채갑니다 저도
    '13.2.20 10:48 PM (111.118.xxx.36)

    덕분에 저도..ㅎㅎ
    ㅡ균 안들어가게 일회용장갑...ㅡ 에서 빵 터져버렸어요.ㅎㅎㅎㅎ
    씻으러 들어왔다가 켜놓은 82음악 조절하면서 댓글 보는중이었는데 욕실에서 미친듯이 웃어제끼니까 울남편이 아이리스보다 놀랬나봐요.괜찮냐고ㅎㅎ
    아 눈물까지 흘리면서 웃었네요.
    두 동글이님~ 일회용장갑 없으면 김밥 싸는거 아니죠? 균 들어가니까ㅎㅎㅎㅎ

  • 23. 원글
    '13.2.21 10:40 AM (1.241.xxx.70)

    비법 모두 감사합니다
    오늘 싸는거 였는데 너무 좋은 댓글들이 많네요 ^^

    역시 고수들만 모였네요
    감사합니다 82님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3750 청소기 보통 매일 돌리세요?? 9 .. 2013/02/21 3,569
223749 남편이 오입하면 경제발전! 2 참맛 2013/02/21 1,240
223748 아동 '학대'에 국고보조금 횡령 어린이집 적발 이계덕기자 2013/02/21 568
223747 자게에서 어떤분이 책나눔하셔서 받았는데 모조리 영문서ㅠㅠㅠ 22 에포닌3 2013/02/21 3,623
223746 왜 자동차 구입한건 연말정산 안되는건가요 5 ... 2013/02/21 1,676
223745 82게시판에 올라오는 다이어트 글만봐도 3 다이어트 2013/02/21 1,075
223744 타이레놀 같은 미국 슈퍼에서 살수 있는 가벼운 치료제 10 dd 2013/02/21 1,621
223743 현대 m3 카드로 차사는거요.. 12 .. 2013/02/21 1,585
223742 장례식장 가면 뭐부터 하면되나요? 1 DD 2013/02/21 1,265
223741 玄 경제부총리 내정자 의혹 속출…청문회 진통 예고 4 세우실 2013/02/21 621
223740 장터 청국장, 경빈마마님과 국제백수님꺼 드셔보신분 5 청국장 2013/02/21 1,939
223739 7살 손주땜시 친정어머니가 화가 많이 났는데요.. 69 고민 2013/02/21 14,840
223738 탄 내는 어찌 없애야 할까요? 12 에궁 2013/02/21 897
223737 방콕에서 교통 최고 좋은 호텔 추천 부탁드려요 2 태국여행 2013/02/21 1,374
223736 일본인들 원래 이랬나요 16 여행 2013/02/21 4,320
223735 아주머니들 세계에도 양아치가 있군요 8 찌질 2013/02/21 3,889
223734 학교 회계직으로 일해보신분~~~ 2 양파 2013/02/21 1,512
223733 같은 책이 두권 생겼어요! 2 뎅이니 2013/02/21 731
223732 사골끓일때 전기 인덕션 전기세 5 전기 인덕션.. 2013/02/21 11,029
223731 동양인..한국인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 2 동양인 2013/02/21 877
223730 늦겨울에 해먹을 만한것좀 추천해주세요 ㅠㅠ 4 ㅇㅇ 2013/02/21 1,028
223729 속눈썹이 자꾸 찔러서 수술을 해 주라고 하는데요... 10 8살 2013/02/21 4,284
223728 권상우.. 19 ㅎㅎ 2013/02/21 8,718
223727 곽상도 민정수석 내정자, "강압수사" 논란 2 사람이먼저 2013/02/21 931
223726 정홍원, 둘째날 청문회 '뜨거운' 도덕성 검증 세우실 2013/02/21 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