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식조리기능사 많이 어렵죠..??

수니짱 조회수 : 2,298
작성일 : 2013-02-12 17:16:33

   결혼한지 5년 가까이 되었는데 여전히~솜씨는 별로 안늘고 그렇다고 음식이 그닥 맛있지도 않아요..

   제가 몸이 안좋아서 한달에 한번씩 병원에 가는 상황이라 자연식 위주로 많이 해먹어야 하는데

   딱한번 김치담그기 문화센터 프로그램에 간적 있었거든요....근데 그닥 늘지도 않더라고요..

   기초가 부족한데 욕심만 많은것 같고 칼질도 그닥 능숙하지도 않아서 너무 실망스러워요..

   나중에 시골 촌집으로 가게 되면 혼자서 음식도 해먹고 효소나 이런것도 담궈야 할것같은데..

   봄학기 문화센터 프로그램을 보니까 새내기요리랑 사찰음식 강의가 있더라고요...

   이걸 신청한 이후 한식을 한번 배워봐야할까요..?? 아님 한식부터 배운 이후에 문화센터에 다녀야할까요..??

   울 형님은 단번에 합격하셨던데..ㅠㅠ..많이 어려웠다고 하더라구요..울 형님 ..원래부터 손재주가 있으셔서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하고요..

   필기 이후 실기 맞죠..?? ...휴...자격증 있으신분들 부럽습니다......

IP : 1.254.xxx.22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대해서
    '13.2.12 5:27 PM (180.182.xxx.153)

    조리사 자격증과 요리솜씨는 전혀 상관없어요. ㅠㅡㅠ

  • 2. ..
    '13.2.12 5:29 PM (121.153.xxx.229)

    맛내기를 배우시려면 조리사보다는 그냥 생활요리? 이런걸 배우셔야 할것 같아요.
    자격증도 따놓으면 뭔가 요리의 기본이랄까 그런 기술은 익힐수 있지만 맛내기랑은 거리가 멀거든요

  • 3. 자격증 과정이 기초라
    '13.2.12 6:35 PM (121.190.xxx.242)

    먼저 하고 생활요리 배우는게 효과적이예요.
    거꾸로 한 입장이라서 후회되거든요.
    자격증 딴 다음엔 책보고 대충 얘기 들어도 무슨말인지 감이 잡히거든요.
    기초를 단단히 하는거라 가르치는 대로 하는 초보들이 더 잘 붙어요.

  • 4. one_of
    '13.2.12 7:42 PM (121.132.xxx.169)

    실기는 맛과는 아무런 관계 없어요. 공식 대로인 동작을 얼마나 정확히 하는가가 핵심이지.
    자격증과 요리솜씨가 별 관리 없는 것은 사실인데, 만약 요리가 정말 초짜시면 멘땅에 헤딩하는 것보다 자격증으로 동작이나마 정확히 익히는 것이 낫습니다.

    이럴때 제대로 된 동작을 한번 익혀두면 나중에 두고두고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0262 이런 경우 손해사정인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3 궁금 2013/02/12 2,057
220261 자기 칫솔 표시 어떻게 하나요? 14 2013/02/12 2,439
220260 안검하수 수술 대신 눈썹거상술.. 7 ㅇㅇ 2013/02/12 6,226
220259 이런 신체적,정신적 증상 있으신 분? 늦기전에 2013/02/12 1,218
220258 도배장판한 거 보지도 못했는데 돈은 지불해야하나요? 8 Cantab.. 2013/02/12 1,917
220257 교정 안에 철사가 휘었는데 일반치과가도되나요 ㅠㅠ 3 교정 2013/02/12 2,216
220256 일기 입니다. 13 화요일 저녁.. 2013/02/12 2,406
220255 도자기 그릇 예쁜 사이트 아시면 알려주세요 35 웨일 2013/02/12 4,908
220254 황태해장국에 황태머리는 꼭 필요할까? 7 도토 2013/02/12 1,900
220253 7번방의 선물 8살 아이와 같이 봐도 괜찮을까요? 18 오로라리 2013/02/12 2,506
220252 친구가 카톡을 하루에 1번정도 계속 보내는데 짜증이나요 5 tkdkfd.. 2013/02/12 2,931
220251 결혼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때 과연 이혼을 해야하는 건가요? 8 @@ 2013/02/12 3,224
220250 저희가 뭘 잘못했는지 12 ... 2013/02/12 3,513
220249 지인에게 김치한통을 얻기로했는데 뭘 사다주면 좋을까요? 16 ... 2013/02/12 3,131
220248 왜이렇게 속상한지.. 내려놓음이 왜이렇게 안되는건지.. 18 ---- 2013/02/12 4,959
220247 장가도 안 간 아들이 대머리가 ...ㅠㅠ 18 ... 2013/02/12 6,057
220246 물속에서 눈뜰수 있으신분?...노하우좀 ^^; 8 눈뜨자 2013/02/12 2,204
220245 수육했는데 돼지냄새가 나요. 어찌하면 되나요? 10 나는 나 2013/02/12 2,329
220244 조카가 별로 안예뻐요. 42 어린 2013/02/12 16,821
220243 마그네슘 영양제 추천 좀 해주세요 4 ... 2013/02/12 4,482
220242 남편이 잘해주니.. 4 ........ 2013/02/12 2,013
220241 극장가실때 참고하세요 ㅎ 갠적인 평가 9 슈퍼코리언 2013/02/12 3,316
220240 굴을 얼려도 될지.... 9 고민 중 2013/02/12 2,093
220239 제사음식때문에 쓰러지겠습니다.ㅜㅜㅜㅜㅜㅜ 47 슈퍼코리언 2013/02/12 17,515
220238 울형님… 6 부담스러 ㅠ.. 2013/02/12 2,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