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나이드신 경상도분들께 질문 좀 드립니다. (음식관련)

Jo 조회수 : 3,331
작성일 : 2013-01-30 11:02:35
임신을 하니까 어린 시절 먹어보았던 음식들만 생각이 나고 너무 먹고 싶은데 요리법을 찾을 수가 없어요.
설명을 드리면 좀 알수있을까요?
제가 초등학교 시절 명절에 제사지낸후에 먹던 음식이에요..
국인데,콩나물,무,갈은 깨가 들어있었어요.
근데 그 깨와 무가 얼마나 고소했던지요.
무는 네모나게 자른게 아니고 콩나물같이 길쭉길쭉하게 들어있었어요
인터넷에 나오는 무콩나물국하고는 맛이 틀려요..조리법도 다른 것 같구요..
무를 볶고 국을 끓인 것인지 그 깨 맛과 어우러져 맛있었다는 기억만 있어요
이게 제사때 필요한 국이어서 남은 음식을 먹었던 것인지는 모르겠어요
중학교이후로는 할머니도 돌아가시고 더이상 가지않아서 그 이후로 먹어본적이 없어요
무엇인지 어떻게 만드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IP : 1.243.xxx.156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겨울
    '13.1.30 11:05 AM (210.105.xxx.212)

    그거요 무하고 콩나물하고 같이 넣어서 뽁아서 물 약간넣고 국간장넣고(약간) 간은소금으로 하고 뚜껑닫고

    은은한불로 끊입니다,,어느정도 끊고나면 참기름 넣고 깨를 빻아서 넣슴니다 여기에 제사때 그리 해먹대요

    경남 봉하마을근처

  • 2. ..
    '13.1.30 11:05 AM (1.225.xxx.2)

    그거 제사 지내고 난 다음에 젯상에 올리는 무나물하고 콩나물하고 다 섞어서 멸치 다싯물 더 붓고 끓인거에요.

  • 3. ..
    '13.1.30 11:06 AM (1.225.xxx.2)

    제사 음식이라 마늘은 안 들어가요.

  • 4. ...
    '13.1.30 11:06 AM (211.179.xxx.245)

    짠지국은 아니죠?
    울엄마는 깨는 안갈아 넣어시던데 ㅎ

  • 5. 추억
    '13.1.30 11:07 AM (218.158.xxx.209)

    아주 어렸을때 먹었던 기억만 있어요.들깨가루 많이 들어가서 약간 걸쭉하게 해서 저희집은 고사리 오뎅도 넣어 먹었던 추억이 있네요.그동안 잊고 있었는데...저도 만드는 방법을 알면 한번 해보고 싶네요.음식이란게..생각을 해보니 그 맛도 생각이 나면서 살던 집도 떠오르게 되는군요..

  • 6. 저 알아요
    '13.1.30 11:08 AM (182.209.xxx.42)

    무시나물 이라고 친정엄마 단골음식이에요
    저희집에서는 소금도 약간 국간장도 약간 -너무 많으면 색이 거매져요
    조리시 유의할 점은 절대 휘어으면 안된다는 거예요^^

  • 7. Jo
    '13.1.30 11:08 AM (1.243.xxx.156)

    진작에 물어볼걸 그랬네요^^
    볶을 때 그냥 기름에 볶나요?참기름은 넣어야 되나요?
    생콩나물을 볶아야 된다는 거지요?

  • 8. ..
    '13.1.30 11:10 AM (124.54.xxx.164)

    경상도 어르신은 아닌데 경상도 살고 있네요...
    무를 채썰어 냄비에 참기름 넣고 들들 볶으세요..
    소금 약간 넣으면 간도 배고 좋아요...
    살짝 밀쳐놓고 옆에 콩나물도 참기름 넣어 볶아요...
    자리가 비좁으면 한쪽에 콩나물 얌전히 놓으시고 물은 재료 높이 정도로 넣고 끓여요..
    참기름 넣고 잘 볶아야 뽀얀 국물 나오고요..기름 안뜨고...
    나중에 간 하시고요...
    깨소금은 마지막에 넣으시고요...
    따로 국그릇에도 올렸던 거 같아요...
    토박이가 아니라 본대로만 전해드리네요..

  • 9. 저도
    '13.1.30 11:14 AM (58.226.xxx.111)

    경상도인데요..
    무를 참기름에 볶는게 아니구요

    콩나물하고 무 채썰어서 국으로 끓이는거에요..
    물은 국치고는 적게 잡구요..
    그래서 그위에 참깨 갈은걸 올리는거죠..

    젯상에 올릴때..
    다른 나물처럼 건더기만 건져서 그 위에 참깨를 뿌리시던데요
    저희엄마보니까

  • 10. 겨울
    '13.1.30 11:16 AM (210.105.xxx.212)

    참기름 들어감니다

  • 11. ...
    '13.1.30 11:18 AM (119.197.xxx.71)

    먹고싶네요. 저는 추울때 거기에 청양고추랑 굴 좀 넣어 얼큰하게 만들어서 국밥으로 해먹거든요.

    저희집도 경상도인데요.
    무를 채썰어서 참기름이나 기름 조금 넣고 오래 볶아요. 그래야 달거든요. 무에서 물이 나와 자박해지면
    거기에 다시육수 붓고 끓으면 콩나물 넣고 끓여요,
    조선간장이랑 소금으로 간하고 먹기전에 깨소금 뿌리고요.
    기름은 기호에 따라 쓰시면되요. 저희집은 엄마가 참기름만 넣으면 느끼하다고 식용유랑 섞어쓰셨어요.
    넣어봐야 한두스픈이니 큰 차이는 없어요.

  • 12. .....
    '13.1.30 11:18 AM (116.37.xxx.204)

    볶는집도 있고 안볶는 집도 있어요.
    국물이 뿌옇다면 볶은거고요
    맑으면 안볶은겁니다.
    지금도 제사때 합니다.

  • 13.
    '13.1.30 11:23 AM (180.230.xxx.83)

    저희집도 볶지않고 물 자작하게 부어서 익히는데 그리고 제사지내후 밥비빌때 같이 비벼먹어요~~

  • 14. ㅎㅎ
    '13.1.30 11:23 AM (119.17.xxx.14)

    윗분들 설명처럼 하신후, 국물 자작할때 들깨가루 한 스푼 넣어서 약간 조리면 됩니다.
    그리고, 무나물 콩나물을 각각 만든걸, 한 그릇에 돌려담아 놓으면, 국물이 흥건히 생겨요.

  • 15. .....ᆞ
    '13.1.30 11:23 AM (116.37.xxx.204)

    볶으면 구수한 맛이고 안볶으면 시원한 맛입니다.

  • 16. ocean7
    '13.1.30 11:27 AM (50.135.xxx.33)

    제사때 젯상에 올리는 "탕국"이라고해요
    참기름이 들어가고요 볶다가 물을 자박하니넣고 긇여요
    조선강장으로 살짝 간을 하고요

  • 17. ㅡㅡ
    '13.1.30 11:36 AM (210.105.xxx.212)

    경상도에는 제사때 그리 함니다

  • 18. ocean7
    '13.1.30 11:38 AM (50.135.xxx.33)

    아 ㅋㅋ
    그러네요 ㅋㅋ
    하도 오래되서ㅋ
    그냥 제사식 나물같네요

    맞아요 탕국은 무를 나박하게 썰고 소고기도 들어가고

  • 19. 콩나물
    '13.1.30 12:00 PM (99.226.xxx.5)

    채썬무 그리고 냉이나물을 콩가루에 함께 버무립니다. 멸치랑 다시마로 맛낸 국물에 버무린 나물을 넣고 끓여 줍니다
    간른 국간장으로 합니다. 죽음의 맛이죠. 냉이는 봄에만.

  • 20. 라맨
    '13.1.30 12:12 PM (125.140.xxx.57)

    제사때 하는 음식 맞습니다.

    1. 무 채를 썰되 너무 가늘지 않게 썹니다.(무의 파란 부분이 많을수록 단 맛이 나지요^^)
    2. 콩나물을 무와 나란히 냄비에 놓습니다.
    3. 소금을 원하는 양만큼 넣고 아주 뭉긋하게 오래 끓여야 맛있습니다.
    무채를 너무 가늘지 않게 썰어야 하는 이유입니다.(깨져서 젓가락으로 안 건져질 수가 있어요)

    물을 재료의 양에 비해 너무 많이 넣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 82에서 다룬 콩나물 국 맛있게 끓이기에서
    콩나물의 양이 많아야 맛있다는 이유와 같습니다.
    즉, 재료의 양과 거의 같은 양의 물을 넣어야 맛있습니다.

  • 21. 나물
    '13.1.30 12:13 PM (118.37.xxx.171)

    제사 때 쓰는 나물이에요 엄마가 준비하셔서 잘은 모르는데 암튼 무가 달아야 맛있다는...무 잘 사셔야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9142 남편이 미워 죽겠음 어찌하면 좋나요 6 속썩어 2013/02/17 1,789
219141 강아지 배 1 좋아좋아 2013/02/17 737
219140 패거리, 아줌마, 속죄양 8 지나다가 2013/02/17 1,889
219139 장터 판매자가 전화번호를 차단했어요 22 장터일 2013/02/17 3,620
219138 6호선 지하철라인에서 공항철도 갈아타기 쉬운 역은 어디인가요? 7 공항철도 2013/02/17 1,308
219137 설에 선물받은 기프트 카드 어디서 사용할수 있나요? 3 ... 2013/02/17 972
219136 중국청도가는비행기표 2 웃자 2013/02/17 2,322
219135 입학 전에 유치원비 환불 될까요? 3 내안 2013/02/17 1,391
219134 오늘 주일 예배 넘 가기싫으네요 6 교회 2013/02/17 1,616
219133 가끔은 먹고싶은걸 먹어주는게 맞나봐요 ^^ 1 ㅇㄹㄹㄹ 2013/02/17 1,733
219132 아만다 사이프리드의 매력 4 라서 2013/02/17 1,940
219131 빈 속에 약먹느니 안먹는게 나을까요? 7 감기약 2013/02/17 2,745
219130 서울모드패션전문학교 2 답답 2013/02/17 1,008
219129 밥 지을 때요..검은콩이랑 현미 며칠분량 미리 씻어서 보관해도 .. 6 콩밥천국 2013/02/17 1,823
219128 50을맞이하는 틀별한생일~ 12 2013/02/17 1,790
219127 영어공부방향을 모르겠어요. 2 중1 2013/02/17 1,066
219126 돋보기안경 같지 않은 돋보기안경 많이 비싼가요? 5 안경 2013/02/17 5,066
219125 홍삼 추천 부탁드려요~ 1 궁금 2013/02/17 580
219124 나중에 열쇠업 할려고 하는데 딸 결혼때 안좋을까요? 12 의사가좋다지.. 2013/02/17 3,266
219123 사과 다이어트 해보신 분 계세요? 19 다이어터 2013/02/17 10,538
219122 진보마켓 알 맛있어요^^ 1 꿈꾸는알 2013/02/17 792
219121 오마나..장례식장에서 33 ㅠㅠㅠ 2013/02/17 15,301
219120 82글중 최후의 제국 다시보기가 없어졌나봐요~ 3 .. 2013/02/17 1,088
219119 남편으로 건축가 어때요? 12 말하는 건축.. 2013/02/17 5,850
219118 노회찬 특사를 청원하자는 조국 교수에게[펌] 6 퍼온글 2013/02/17 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