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교사가 대우받는 이유는 수능성적때문이지요

.. 조회수 : 2,844
작성일 : 2013-01-29 09:58:39
아무리 교대가 낮아졌다 해도 상위권아님 못가는게 교대에요
교사 아무리 수준 낮다 해도
전문직업군 빼고 수능점수로 따지면 극상위권
대기업은 지방공대 나와도 되지만 
초등교사는 일단 고등학교 성적으로 걸러버러니
대우가 좋을 수밖에 없지요
저도 대기업 근무하지만 결코 여기 사람들 수준이 전체적으로 볼때
초등교사보다 학벌이 좋다 못하겠네요
고졸 전문대 지잡대도 많고
저도 교대 떨어져서 인서울 공대갔지만
여전히 교대는 높더라구요
진입장벽이 높음 기득권이 강할수밖에 없어요
공뭔들도 공채 치열하게 뚫으니
그래서 기득권이 강할수밖에 없음
중고등 임용패스한 사람도 
교사그만두면 제일 선호하는게 강남학원가고
저도 제 자식 낳은면 교사시키고 싶어요
공부 잘함...
솔직히 그만한 기득권없음 누가하겠나요
외국은 공립은 개판이지만
사립 교사는 억대연봉이에요
이원화되었지요
그냥 솔직히 공부 좀 도해서 교대갔음 어떨까 싶네요

IP : 110.70.xxx.16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9 10:05 AM (61.75.xxx.114)

    나이 마흔되어보니 초등교사가 최고인듯 싶네요.

  • 2. ...
    '13.1.29 10:12 AM (58.237.xxx.116)

    그러니까 지금부터라도 독하게 공부해서 하세요.

  • 3. ...
    '13.1.29 10:15 AM (1.244.xxx.166)

    그러나 그런 생각 고3땐 못하지않나요?
    지나고 결혼하고 애낳고하다보면 현실을 알게되지만.
    제 고3때도 교대 충분히 갈 아이들은 인서울
    다른대학 학과 원하는 경우 많았어요.
    주로 여기서 말하는 공부잘하는 없는집? 아이들이
    교대 간호대 지원했지...
    특히 저는 지방이라 그런게 더했던듯 해요.
    집에서 서울사립보내줄 형편되면 다들 서울가고싶어했지요.
    교사는 따분해했어요. 12년 학교생활에 지쳐.

    다들 남 직업에 쉽게 생각하는듯 해요.
    엄청난 메리트보단 정년과 취업이 보장되는 학과라는게 정말 크죠.

  • 4. 그게
    '13.1.29 10:15 AM (110.70.xxx.167)

    사회의 현실인데 뭘 어떻게 개혁해요
    수능성적이 사실상 계급인데
    대기업도 간부 넘어가면 학벌카스트로 갈리는데
    당연시 하는게 아니라 당연한거지요
    그걸 뛰어넘기 위해 지잡대나 부족한스팩은 회사에 목숨바치고
    공염불해도 달라지는 것은 없는듯

  • 5.
    '13.1.29 10:30 AM (175.208.xxx.64) - 삭제된댓글

    초등교사는 인성위주로 한달정도 합숙뒤에 뽑아야한다봐요 일년을 한교실에서 왕처럼 군림하는시스템이므로 특히 그시기아아이들 어른들말이 최고인줄아는아이들시기는 실럭도중요하지만 인성우선으로뽑고 매달 인성연수받도록되는 시스템으로가야한다고봅니다

  • 6. 서울교대
    '13.1.29 10:32 AM (211.234.xxx.239)

    작년에 통계발표 나온거 얼핏 기억하는데
    서울교대생들의 부모 평균수입이
    서울시내 대학들 중 두세번째로 높았다고 합니다
    성적도
    고교 삼년간 전교 이삼등 내를 유지하고
    수능성적도 탐구 두개포함 언수외 합쳐 8등급 이내라야
    수능최저점 통과합니다

  • 7. ...
    '13.1.29 10:51 AM (220.76.xxx.70)

    서울시 공립고등학교는 서울대가 30% 넘습니다.

  • 8. ..
    '13.1.29 10:52 AM (115.143.xxx.176)

    교사가 대우가 좋으니(상대적으로)수능성적이 좋은애들이 교대가는거 아닌가?

  • 9.
    '13.1.29 11:05 AM (114.199.xxx.68)

    교사 대우는 해주기 싫고 도덕성은 엄청높아야하고 내맘대로는 주무르고 싶고 교대갈 성적도 안됐으면서 그깟 교대... 대수였나? 하는 사람들 여기 참 많아요.

  • 10. 그러니까
    '13.1.29 11:14 AM (175.231.xxx.180)

    교사라는 직업군이요..
    편한 밥벌이라고 인식이 되어지니 더 문제라는 겁니다
    수능성적이 높다고 교사로서의 소양 이 갖춰진건가요?
    학부모 입장에선 차라리 인성이나 자질, 사명감을 갖춘 사람이
    교직에 있기를 바랍니다
    교실에서 일어나는 현실들을 귀찮아하고 외면한채 그저
    자신의 안위만을 추구하는 머리좋은 교사들은 원치않아요

  • 11. 글쎄요
    '13.1.29 11:20 AM (110.70.xxx.167)

    학부모의 수준이 딱 교사의 수준을 규정지어요
    개판 가정교육 애들많은 학교에선 교사도 개판이 되고 제대로된 가정교육 받은 아이들이 있는 학교 교사는 함부로 개판치지 못하지요

    교사를 무시하고 주무를려는 학부모 많은 학교치고 제대로된 교사가 있지 않지요

    교사에 대한 권위와 훈육을 인정못하고 치맛바람 일으키는 학부모 보면 결국 그 피해는 학생들이 입지요

    교사 운운하기전에 학부모의 가정교육이
    우선이에요

    교사무시하는 학생치고 지부모 무시 않하는
    학샌 본적이없는듯

    나이가 들어보니 확연히 보이더이다

  • 12. ....
    '13.1.29 1:08 PM (39.7.xxx.126)

    교사월급 연봉 안많아요ㅠ일반 공무원 경찰 등등 과 바슷해요.그냥 9급 공무원으로 들어가 동사무소에서 근무하는게 더 편하죠 뭐 ..희안한.학부모 Adhd.학생 등등 안봐도 되고..그리고 교사도 공무원 연금과 마찬가지로 이제 새로 들어가는 사람들은 연금 메리트 없어졌어요.예전에는 퇴직시 월급여를 기준으로 연봉 책정했는데ㅜ이젠 전체근무 평균 연봉 기준이니 팍 줄게되죠.지금.퇴직하시는 분들이나.좀 많이ㅜ받지 10년전부터 시작한 쌤들은 그만큼 못받아효...

  • 13. ㅁㅁ
    '13.1.29 3:27 PM (123.213.xxx.83)

    교사가 대우받는건 예전부터 우리나라가 가르치는 직업에 대해 후했기 때문이죠.
    아이들과의 관계에서 갑이기도 하고요.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엠에프 영향이 컸죠.
    경제적ㄱ으로 안정적이고 여가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은게 메리트가 됐죠.
    그전엔 공부잘하는 아이들 교대 잘 안갔어요.
    우리동네 국립대 못쓰고 교대썼다고 울었던 반아이가 생각나네요.
    지금보면 전화위복이지만요.

  • 14. 무슨 극상위요
    '13.1.29 8:58 PM (14.52.xxx.59)

    여기서 가루가 되게 까이던 이대 중간급 학과 수준인데...
    그나마 서울교대가 그렇고 경인교대는 그보다도 낮아요
    물론 사탐 3개 다 본다는게 함정이지만 교대 가는 애들 보면 직업우선으로 쳐서 실리따져 가는 애랑,성적 안나와 애매한 대학 가기 싫어 가는 애들도 많아요
    다른건 몰라도 극상위 수능은 아닙니다

  • 15. ``
    '13.1.30 10:58 AM (125.186.xxx.17)

    무슨 극상위까지나`

    지방교대 점수 별볼일없어요

    서울교대도 서연고밑일걸요~~

  • 16. .......
    '13.2.4 4:29 PM (211.203.xxx.46)

    교대는 안전빵으로 많이써요
    그래서 부산대 사범대떨어지고도
    부산교대 후보로 수두룩하게 들어가죠
    물론 공부는 반에서 일이등하는 수준이지만
    그렇다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9107 한가한 일욜아침, 자뻑멘트 한마디씩 풀어요~! ㅎㅎ 13 쟤또흙먹어요.. 2013/02/17 2,272
219106 아이러브커피 하시는분^^ 친구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7 에스메랄다★.. 2013/02/17 897
219105 겨울내내 김장김치만 먹었네요, 맛있는김치찌개법알려드려요 12 ^^ 2013/02/17 3,694
219104 유튜브 영상이 잘 보이는 폰? 1 뭘까요? 2013/02/17 431
219103 영어로 수요일 스펠링 알고 계세요? 16 요아래 영어.. 2013/02/17 4,577
219102 넓은집 전세로 가는건??? 1 ... 2013/02/17 1,134
219101 오페라와 뮤지컬이 차이가 무언가요? 1 sdg 2013/02/17 1,682
219100 주차 겁나시는 분들 참고하세요 16 그래도 연습.. 2013/02/17 3,745
219099 연말정산.. 남편이 저한테 거짓말하고 빼돌리려는듯 한데 확인방법.. 15 뭔가 있다 2013/02/17 3,730
219098 남태령에서 사당동가는길;7시30분~8시교통상황이? 6 /// 2013/02/17 1,444
219097 스크류바가 혓바닥색이 됐네요... 1 아슈쿠림 2013/02/17 830
219096 패션/디자인 공부하신 분들께 질문드려요 옷가격에 대해 2 sticke.. 2013/02/17 1,195
219095 '땡처리' 아파트도 한계…벼랑 끝 건설업계 10 참맛 2013/02/17 3,520
219094 송파 최선어학원과 이은재 학원 중 선택 좀 도와주세요~~ 6 ///// 2013/02/17 12,503
219093 소스류 잘 안 먹는 댁 있나요? 7 아오 2013/02/17 1,303
219092 굳건한 한미관계는 이명박의 공, 박근혜정부도 이어질 것 7 미의회조사국.. 2013/02/17 943
219091 교통사고 전치 6주면 어느 정도 5 사고 2013/02/17 3,738
219090 악악 소리지르는 남자가 같은 라인에 살아요 ㅠㅠ 8 걱정 2013/02/17 3,592
219089 저도 아기 없었을때 2 봄바람 2013/02/17 1,829
219088 영어 공부하고 싶어요. 16 영어... 2013/02/17 3,257
219087 kbs토요명화 주제곡 까나리 2013/02/17 1,276
219086 김광석 다시 부르기 1 감동 2013/02/17 1,080
219085 베개사이즈보다 살짝큰 사이즈의 전기찜질기? 매트? 추천부탁드려요.. 1 ... 2013/02/17 926
219084 저소득층 아이들에게 독서지도를 할때 책은 어떻게 준비시키면 좋을.. 7 .... 2013/02/17 1,310
219083 진정으로 미친 인간들~ 15 흠... 2013/02/17 1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