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잔치국수 완전 빨리 만드는법 도와주세요..

아고 조회수 : 4,404
작성일 : 2013-01-28 00:02:24
제가 요리재주 없는 새댁인데
손님들이 오세요. 집들이는 아니고 좀 간단한 방문..

제가 요리하느라 자리를 오래 비우면 좀 실례되는 상황이구요. 원래 다과만 간단히 해도 되지만 식사시간이라 대접해야 할 것 같아요.

집도 좁아 무슨 한상 떡 차려낼수없고, 한그릇 음식으로 잔치국수 하려고 하는데요.
번개처럼 만들어야돼요. 안그래도 요리하는데 손이 빠르지 못한데 ㅠ

육수는 미리 끓여서 저장하고, 호박과 당근은 채썰어서 냉장고에 넣었다가 손님오면 볶아야겠죠?(계속 밖에 있다가 손님들이랑 같이 집에 오는거에요..)
계란지단은 먼저 준비 못하겠죠.. 저사실 계란지단 고명도 첨 해봐요ㅠ 당일날완전 정신없고 당황할듯..




IP : 49.1.xxx.178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고
    '13.1.28 12:04 AM (49.1.xxx.178)

    남들은 간단할텐데 전 국수 삶고 호박당근볶고 계란지단 만들고 동시에하다가 막 망칠거 같아요. 게다가 항상 2인분 이상은 해본적이 없어서...

  • 2. 공주병딸엄마
    '13.1.28 12:04 AM (117.111.xxx.217)

    반찬가게 가면 잔치국수 고명과 간장소스 팔던데요...

  • 3. 국수좋아
    '13.1.28 12:05 AM (112.152.xxx.174)

    호박과 당근 그리고 계란 지단도 미리 준비해 두셔도 되어요.. 반찬통에 나누어 넣어놓으시고.. 집에 오자마자 냉장고에서 꺼내더 놓으세요.. 찬기가 좀 가시라구요..

    집에 들어와서는 국수만 삶으시고 육수만 데워서 내놓으셔야 할것 같은데요..

    아 그리고.. 혹시 싱거울지도 모르니.. 양념간장 미리 만들어 놓으셨다가 같이 내놓으시면 만점일것 같아요.. 화이팅!!

  • 4. 아고
    '13.1.28 12:06 AM (49.1.xxx.178)

    공주병딸엄마/ 아 그렇군요..근데 처음으로 손님 맞는거라 어설프더라도 제가 해보고 싶어요..

  • 5. .....
    '13.1.28 12:06 AM (203.226.xxx.179)

    육수 고명 양념 다 미리만들어놓고 당일에 국수만 삶고 육수데워서 담아내도 될것같아요.

  • 6. 물고기
    '13.1.28 12:07 AM (220.93.xxx.191)

    계란지단,호박채볶음,김치쫑쫑썰어무침
    나가기전에해놓고 나가셔도 요새날씨에는
    괜찮을듯 싶어요

  • 7. 공주병딸엄마
    '13.1.28 12:07 AM (117.111.xxx.217)

    미리 다 볶아놓으셔도 돼요.
    밀가루 국수말고 쌀 섞인거 있는데 그건 잘 뿔지 않아 한두시간전에 미리 삶아도 되는데요

  • 8. 모모
    '13.1.28 12:08 AM (183.108.xxx.126)

    육수는 끓여서 냄비채 베란다에 두세요. 통에 옮겨 저장하면 설겆이만 더 나옴 ㅎㅎ
    호박 당근 채썰어 볶아 식혀 계란지단 부쳐 썰어 반찬통에 넣고 냉장고보관
    김 가위로 채썰어 비닐봉투에 넣어두고
    김치 채썰어 참기름 설탕약간 버물버물해서 냉장보관
    양념간장 만들어 냉장보관
    손님들과 집에 동시 입장해서 가스렌지 두개 불켜고 하나에 육수 하나에 국수삶기
    그사이 냉장고에 있는거 꺼내 대기 시켜놓기
    자~ 다 됐죠? 냠냠

  • 9. 아고
    '13.1.28 12:08 AM (49.1.xxx.178)

    국수좋아/아 지단도 만들어놔도 될까요. 새벽에 만들어놓고 저녁에 먹는거라.. 너무 차가워질거 같아서요. 그럼 호박이랑 당근도 미리 볶아놔도 괜찮을까요..

  • 10. 공주병딸엄마
    '13.1.28 12:09 AM (117.111.xxx.217)

    깻잎을 둘둘말아 최대한 얇게썰어 고명으로 올리셔도 맛나요

  • 11. 모모
    '13.1.28 12:10 AM (183.108.xxx.126)

    육수가 뜨겁고 어차피 섞어서 먹으니 고명이 좀 차가운건 우리빼곤 아무도 모름 ㅋ

  • 12. 어짜피
    '13.1.28 12:10 AM (112.171.xxx.142)

    육수가 뜨거우니 고명은 차도 괜찮아요. 윗분들 말씀처럼 미리 만들어 놓고 올리세요^^

  • 13. 아고
    '13.1.28 12:11 AM (49.1.xxx.178)

    감사합니다. 그런데 잔치국수육수내기가 쉽지않은가보군요ㅠ 떡국은 할수없는 사정이 있어서.. 저도 떡국이 하고싶었는데^^

  • 14. 공주병딸엄마
    '13.1.28 12:12 AM (117.111.xxx.217)

    김치 고명은 넉넉히~
    고기고명도 좀들어가야 맛나요.

  • 15. 네^^
    '13.1.28 12:14 AM (211.196.xxx.20)

    괜히 딴지거는 것 같아서 제 댓글은 지웠어용^^
    준비 잘 하셔서 맛나고 빠르게! 만들어 드세요~
    훈훈한 댓글 많네요

  • 16. 모모
    '13.1.28 12:14 AM (183.108.xxx.126)

    멸치 다시마를 기본으로 파 양파 무 있는거 넣고 푹 끓이세요
    간장은 많이 넣으면 색이 검으니 국간장있으면 살짝 소금간하시고 자신없으면 다시다나 산들애나 뭐 이런거 살짝 넣으세요. 간은 좀 간간하다싶게 국수에 들어가면 싱거워집니다.

  • 17. 육수 쉬워요
    '13.1.28 12:15 AM (14.52.xxx.135)

    냄비 큰 거 ㅡ 육수 끓일거
    달궈서 멸치를 한번 달달 볶아서 비린내를 날려주고요
    물을 붓고 다시마 한번 헹궈서 넣고 끓여요
    무우 한토막 넣어주면 시원하고

  • 18. 국물
    '13.1.28 12:15 AM (203.226.xxx.179)

    멸치다시내고 국간장 밑간해놓으면 나중에 김치랑 양념간장이 어느정도는 해결해줍니다. 그건 거의 셀프니깐.

  • 19. ㅇㅇ
    '13.1.28 12:19 AM (180.65.xxx.130)

    국물내실때 황태머리도 서너개 넣어서 푹끓이세요~

  • 20.
    '13.1.28 12:23 AM (175.213.xxx.61)

    지단 고명도 미리해놓고 정 걱정되면 전자렌지 살짝 돌리세요

  • 21. 잔치국수가
    '13.1.28 12:45 AM (183.102.xxx.197)

    원래 잔칫날 사람은 많고 음식을 한꺼번에 내가려니 번거로워서
    간편하게 한번에 내갈수 있게 마련한 음식 아닌가요?

    종부이신 저희 시어머님은 국수 미리 삶아서 똬리 만들어 놓으시고
    고명도 모두 만들어 두시고 양념간장도 미리 다 만들어 두세요.
    육수를 팔팔 끓여서 거기에 삶아둔 국수 담궈서 뜨겁게 만든후(토렴이라고 하죠)
    그룻에 담고 육수 넣고 고명얹어 양념간장이랑 같이 내가시더라구요.
    새댁이신데 혼자 다하느라 애쓰지 마시고 신랑에게 도와달라 하세요.

  • 22. 육수는
    '13.1.28 12:58 AM (125.177.xxx.83)

    시판하는 오*기 국시장국 멸치육수 한 병만 있으면 구수한 국물맛 낼수 있어요 힘들게 육수우려내지 마시고 사서 쓰세요
    요리재주도 없는 새댁인데 그 시간에 차라리 호박 양파 잘 볶고 김치도 쫑쫑 썰어올리고 김가루 만들어 고명 맛나게 준비하는 게 나음

  • 23. 얼음동동감주
    '13.1.28 1:27 AM (219.240.xxx.110)

    지단이랑 채소도 미리 볶아두세요.
    양념장도 미리~
    국수만 삶아서 국물데워서 낼수있게요

  • 24. ^^
    '13.1.28 2:40 AM (70.114.xxx.49)

    좋은 댓글 좋은 정보 저도 같이 얻어가네요 감사합니다^^

    우리 시엄마 표 잔치국수:
    육수- 멸치 몇개 양파 하나 통마늘 조금 소금 후추 다시다 있으면 넣고 없으면 말고 다시마 조금ㅋㅋ
    호박- 얇게 썰어서 고추가루 조금 파 마늘 소금으로 간해서 볶음.
    고기- 간고기나 뭐 불고기감 얇게 썰어서 불고기 양념해서 볶음.
    김치- 호박 고기 사이즈로 썰어주세요.
    계란지단 만듬.

    중요한건 국수를 잘 삶아야 함. 끓는 물에 국수 넣고 찬 물 한컵 같이 넣고
    끓기 시작하면 국수가 다된거임. 불끄고 찬물에 곧바로 헹거줌.

    즐거운 잔치 하세요.

  • 25. 지나가다
    '13.1.28 6:23 AM (119.17.xxx.14)

    떡국이 훨씬 더 간단하지 않나요? 그 냥 파는 떡 사서, 국물도 멸치 장국내고 위에 계란 지단과 김만 얹으면 되는데~

  • 26. 유니게
    '13.1.28 10:02 AM (121.181.xxx.125)

    육수 내실 때 주전자에 끓이세요. 보리차 끓이는 큰 주전자.
    다 끓으면 채로 건더기 건저내고 국수 그릇에 부으면 국자 보다
    훨씬 편하고 빨라요.
    전 고명 준비 다 해서 냉장고에 넣어 놓고
    큰 냄비에 물고 미리 끓여 놓아요. 손님 오시면 바로 국수 넣어 삶을 수
    있도록..

  • 27. 솔직히
    '13.1.28 11:27 AM (211.224.xxx.193)

    육수 진하게 내고 국수 잘 삶고 맛난 김치 쫑쫑 썬거랑 김 썬것만 올려도 되는데. 다른 고명은 솔직히 맛엔 그닥 영향을 끼치는 재료는 아네요. 그냥 고급스럽고 정성이 간 음식인듯이 보이려고 올리는거지

  • 28. ...
    '13.1.28 2:30 PM (110.15.xxx.199)

    잔치국수 먹고 싶어 지는 글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8257 아이허브 주문시 추천인 코드 입력이요.. 2 ... 2013/02/14 972
218256 초등5학년 여자 조카아이 선물사주려는데 뭐가 좋을까요? 1 생일선물 2013/02/14 1,549
218255 너무 맛있어요 5 아.. 2013/02/14 2,045
218254 20대초반 우울증 6 초코귀신 2013/02/14 1,881
218253 여학생들..선호하는 가방브랜드가 뭔가요? 5 예비중등 2013/02/14 2,429
218252 틀린말이 아니었네요~ 5 말한마디에 .. 2013/02/14 1,857
218251 분명히 기온은 올랐는데 항상 이맘때만되면 더 추워요 8 2013/02/14 2,386
218250 캐나다비행기표?? 2 .... 2013/02/14 1,031
218249 세탁기가 얼었는데 이사할때 그대로 가도 1 되나요? 2013/02/14 1,114
218248 직장 어린이집과 동네 유치원. 어떤 곳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3 토돌누나 2013/02/14 1,017
218247 신세계, 이마트 외 타 계열사에도 부당노동 행위 세우실 2013/02/14 715
218246 다시마차 맛있게 만드는 비법 있으신분이요.. 다시마차 2013/02/14 777
218245 공적연금 방관해도 될까요? 너무 기막히네요 4 연금개혁 2013/02/14 1,184
218244 최근 삼생이 보는데요 7 삼생이 2013/02/14 2,642
218243 아빠 어디가에서 김성주 집은 어디인가요? 2 .. 2013/02/14 13,258
218242 a라인 코트 어울리는 체형 6 괴로워 2013/02/14 2,255
218241 미혼여성 53%,,내남편 전성기때 연봉 1억은 되야한다. 3 ,, 2013/02/14 2,336
218240 포트메리온 그릇 정가네요 ㅎㅎ 11 .... 2013/02/14 4,604
218239 베를린 볼까 말까 고민하셨나요? 20 보고온이 2013/02/14 3,292
218238 흙표흙침대 이사시 이사업체에 맡기신 분 계신가요? 4 이사문제. 2013/02/14 6,904
218237 노회찬씨 그럼 앞으로 10년간 피선거권 박탈인건가요? 2 0 2013/02/14 2,513
218236 커피믹스 = 삼겹살급 지방 함량...`멘붕` 4 커피 2013/02/14 2,896
218235 [결혼전 고민 거리] 제이야기좀 들어보실래요? 28 나막귀 2013/02/14 8,915
218234 일베와 2월 16일 국정원 선거개입 규탄 촛불집회 재공지 참맛 2013/02/14 744
218233 제가 엄마가 되보니 새삼 엄마가 존경스럽네요. 엄마 2013/02/14 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