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방금전 vj특공대 보셨나요?

조회수 : 14,207
작성일 : 2013-01-25 22:56:52
집안이 모두 서울대인 집안이요
아버지는 서울대 치대 출신 의사에
큰딸은 서울대 나와 하버드대 교수로 재직중이고
둘째딸은 서울대 법대 나와 판사
막내 아들은 아버지 뒤를 이어 서울대 치대 나와 의사
거기다 사위들,며느리까지 모두 서울대더군요

그 엄마가 사교육 거의 안시키고 음악 교육에
신경 많이 썼다고 하시는데 이 정도 되면
굳이 사교육이 필요없는 머리가 월등한게
좋은 집안이 맞겠죠?
IP : 223.33.xxx.26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ㅇㅇ
    '13.1.25 10:59 PM (203.152.xxx.124)

    유전자
    그리고 가정교육이 제일 주효했겠죠

  • 2. 일단
    '13.1.25 11:02 PM (211.181.xxx.249)

    존중하고 화목한 분위기가 갑이네요

  • 3. 여러 가지
    '13.1.25 11:05 PM (113.10.xxx.214)

    요인이 있겠지만
    일단 유전자
    그리고 공부하는 차분한 집안 분위기
    이 두가지가 중요하죠

  • 4. ,,,
    '13.1.25 11:15 PM (119.71.xxx.179)

    잘하는데 사교육이 필요없죠 ㅎㅎㅎ

  • 5. 겨울
    '13.1.25 11:20 PM (112.185.xxx.53)

    똥도 나하곤 다를거 같아요 ㅠㅠ

  • 6. 강남인
    '13.1.25 11:40 PM (110.9.xxx.192)

    유전자 얘기 하시는분들 많은데 유전자가 그리 쉽게 발현되는거 아닙니다 ㅋㅋ
    유성생식에는 돌연변이가 워낙 많이 발생해요
    반대로 그저 그런 부모사이에서 태어나도 똘똘한 아이가 태어나기도 하죠.

    무성생식과 다름. 부모 똑똑하다고 100% 딱 그 머리좋은게 유전형질을 물려받는게 아닙니다. 이건 고교때 생물공부만 해도 알 수 있는거.

    다만 공부잘하는 부모밑에서 안정적으로 큰애들이 정서적인 면이나 학습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적 요소들이 더 우월한건 기정사실.

  • 7. vj
    '13.1.25 11:48 PM (175.211.xxx.236)

    번외로 좐 돼지 아기집 먹는거 보고 멘붕되서
    그내용은 보이지도 않았어요....--;;

  • 8.
    '13.1.25 11:48 PM (211.208.xxx.73)

    윗분말이 맞음ㅇㅇ가풍이랄까요 가정환경이 좋은 거겠죠

  • 9. 예전에
    '13.1.25 11:53 PM (220.85.xxx.38)

    예전에 서울대총장이 무슨 비리로 가족들 신상이 소개됐었어요
    딸이 전문대를 나왔는데 부모는 공부를 저리 잘 해도 딸은 못 할 수 있구나, 약간 의아했는데 알고보니 입양한 딸이었어요
    그집 분위기나 환경이 유전을 이기지는 못한 거겠죠..

  • 10.
    '13.1.26 12:03 AM (193.83.xxx.53)

    어쩌다 저런 집안에 돈만 많은 음대생이 결혼하면 아이들이 설대는 못 가더라구요. 엄마 유전자가 중요한거 같아요.

  • 11. ....
    '13.1.26 12:13 AM (175.223.xxx.176)

    돈만 많은 음대...ㅋㅋ...제가.그런 음대 출신인데 친구애들디.죄다 공부 잘해요.아직 덜 커서 모르겠지만 연애로 전문대.나온 남편 ..말단 공무원 남폄만나 쌩고생 하는 친구애들이.오히려ㅠ공부잘하구요ㅡ영재원 같은덴.당연한 코스...임신 출산후에도 계속 악기레슨 했다는.특징...부잣집에 시집가서 잘..사는.친구들 아이는.돈 쳐발라 사교육 시켜도 그냥 평범하더라구요..태교.생후 음악적 환경이.뇌에.좋음 영향을 미치지.않나.싶던데...위.서울대.엄마도 음악교육에.신경 썼다니 ..조금은 도움이.되지않나 싶어요.

  • 12. 사교육보다
    '13.1.26 12:42 AM (112.151.xxx.163)

    질높은 교육이 집안에서 이뤄졌겠죠.


    사교육이란것이 돈을 들여 뭔가 투자하는 개념이라 그렇지. 교육의 질적인면을 따지면 의미없는듯해요.


    과거 사교육 금지였던 시절로 가보면 알죠.

  • 13. 엄마의 힘
    '13.1.26 12:46 AM (175.207.xxx.213)

    이예요...유전자와 항상 모범을 보이는 아빠의 힘도 있겠지만요.

    세아이 키우면서 그 아이들꺼 사소한 편지까지 정리해서 보관하고 있는거 보셨죠? 그거 쉬울거 같으세요? 그건 한 단편일 뿐이겠죠.

    사교육 안시키고 예체능에 힘쏟있다라는 말이 공부를 대충 시켰다는게 아니잖아요. 예체능은만 사교육을 시키고 공부는 집에서 관리했겠죠. 집안이 도서관이나 학원같은 분위기였겠죠. 엄마가 아이들이 맘 편하고 침착한 분위기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옆에서 관리해주신거죠.

    아이들 사소한것도 버리지 않고 파일 만들어 지금까지 가지고 있었다는 건 그만큼 아이들한테 무한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죠.

    6살때 그림 액자해 놓은거 보셨죠? 세명 악기 가르쳐 세명을 위한 연주회까지 열어주고 ...보통 열의의 어머니가 아니세요..더군다나 그 시절에.

    대단한 엄마에 좋은 머리에 풍족한 환경에 또 잘 따라주는 아이들에 가정적인 아빠에...그런 것들의 결합입니다~

    전 그 어머니 존경스러워요..

  • 14. 오타
    '13.1.26 12:49 AM (175.207.xxx.213)

    가 좀 있네요~ 스맛폰이라

  • 15. 못봤는데
    '13.1.26 7:17 AM (121.88.xxx.128)

    모르는 것 물어보면 대답 잘해줄 사람들이 있으니 그 영향도 있었을 것 같아요.
    예전에 미팅으로 만났던 사람에게 수학 문제 물어봤는데 설명을 너무 쉽게 잘하더군요.
    유전자 영향도 아주 없지는 않겠지만요.

  • 16. ㅇㅇ
    '13.1.26 9:39 AM (183.98.xxx.65)

    대단하네요ㅡ아이교육등한시한 제가 부끄러워져요.

  • 17. ...
    '13.1.26 12:15 PM (112.199.xxx.90)

    찾아서 봐야겄네요.

  • 18. 음.....
    '13.1.26 12:42 PM (123.109.xxx.181)

    고학력 부모들이 악기 하나씩은 꼭 시킨다고 어렸을 때부터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이런 거 꼭 시키던데,
    (실제로 유명대학 오케스트라 동아리 보면 애들이 실력이 수준급이고 집안도 좋아 일부러 이런 상황 감안하고
    어릴 때부터 시키는 애들이 많더라구요. 교수집안+예능 전공 엄마 이런 조합의 경우는 대부분이)
    이런 집안들 특징이 그만큼 공부하는 것도 애들 잡아가며 가르치더라구요.
    학원은 겉으로 드러나니까 예외로 쳐도 과외를 해서 사교육을 시켰는지 안시켰는지는 모를 일이에요.
    실제로 아이들이 어느 정도 실력이 올라가면 그만큼 어려운 문제 풀기 위해 노력을 하는데,
    그걸 알려줄 사람이 필요해요. 그때 많이들 활용하는 게 과외죠.
    예전에 티비에 인터뷰 매해 나오는 전국 수석한 아이들이 교과서만 가지고 공부했다고 하는 거랑 다를 바가 없는 상황인 거 같네요.

  • 19. 형광
    '13.1.26 5:37 PM (1.177.xxx.33)

    예전에 고딩때 우리반에 두명은 서울대 가구 그 밑에 애들 뭐 잣대순서대로 연고대를 갔었는데요.
    상위권 애들은 그때도 경쟁이 치열해서 서로서로 자기 정보 공개같은거 꺼렸거든요.우리반이 유독그랬는지 몰겠지만..암튼 좀 그랬었어요.
    항상 자긴 논다 뭐그런식으로 이야기 하고..
    전 순진해서 그런말을 그 당시는 다 믿었구.저는 사교육 도움은 받지 않았어요.최소한 과외는 안했단 말.
    다른 방법을 이용했지 과외는 안했었어요.
    뭐 그려러니 하고 지나갔는데 나중에 대학가서 알았어요.그애들이 다 과외를 받았다는 사실을요.
    것두 고액과외.
    또 한명은 자기 삼촌이 서울대 공대였어요.그 삼촌이 수학을 전담해서 가르쳐줬단것도요.
    이 모든건 경쟁이 모든 끝난 그때 알았구요.
    그이후로 공부로 경쟁관계 맺은 아이들의 말은 안믿게 되더군요.
    한명도 아니고 싹 다 그랬었어요..ㅋㅋ
    지금 돌이켜보면...그리고 아이를 키우면서 느끼는건.
    아이를 공부잘하게 유도하는것..그건 부모의 방법적 문제가 분명 있습니다.
    가만 놔두어도 유전자땜에 잘한다?
    절대 네버네버 아니죠.

  • 20. 유전자는 아닌듯
    '13.1.26 5:43 PM (175.253.xxx.212)

    저 아는집은 부모님 두분 다 70넘으셨는데
    그 시절에 서울대법대 고대 영문과나온 엘리트 셨어요.
    근데 애는 셋을 두셨는데 하나만 고대나오고
    나머지 둘은 정말 별로...
    유전자라고도 하기 뭐하고 가풍이라기도 뭐하고..
    받쳐주는 유전자에 현학적인 가풍이 필요하고
    여기에 집 분위기가 부모도 자식을 사랑하고 자식도 부모를 사랑하는 경우 공부를 잘하는거 같아요..
    제가 위에 예로든 집은.. 친척집이라 속사정을 알아서 그러는데 음 좀 자식들하고 부모 사이가 안좋거든요...

  • 21. ...
    '13.1.26 7:05 PM (59.9.xxx.165)

    돈 권력 있어도 자식 공부 마음대로 안 됩니다 .
    아무리 시켜도 안 되는 아이들은 유전자 영향이 있는 듯 .....

  • 22.
    '13.1.26 10:42 PM (183.100.xxx.231)

    유전자와 가풍이 만나니
    그 시너지가 메가톤급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5151 구립 어린이집 오년보내는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2 거너스 2013/02/05 834
215150 불당 추천해주세요!!plz~~~ 8 중구난방 2013/02/05 922
215149 아로마램프 6 아로마 2013/02/05 752
215148 잠실 장미아파트 사시는분 계세요??? 4 312458.. 2013/02/05 7,597
215147 입이 궁금해서 군고구마를 구웠습니다. 3 ... 2013/02/05 881
215146 임플란트 병원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임플란트 2013/02/05 1,135
215145 이명방 "난 세계에서 가장 열심히 일한 대통령&quo.. 14 뉴스클리핑 2013/02/05 1,082
215144 비과세상품 신한카드 행복한 파워저축 플러스 상품어때요 1 코스모스 2013/02/05 1,084
215143 삼성불산문제,,,우리 김문수지사는 가만히 계시는가요? 3 동탄시민 2013/02/05 619
215142 합격이나 하고 고민하라는말은 왜 하는걸까요 10 ... 2013/02/05 1,943
215141 4살 아이가 말귀를 전혀 못 알아들어요. 16 ? 2013/02/05 5,270
215140 속 안좋은데 입이 심심하고 허할때 뭐 먹을까요? 2 위염 2013/02/05 1,369
215139 보육료 신청이요. 3 질문이요. 2013/02/05 1,229
215138 돌잔치 답례품 추천해주세요 26 /// 2013/02/05 1,511
215137 정말 불쾌했던 면접 생각이 나네요. 안가겠다는거 형식적으로 면접.. 5 // 2013/02/05 2,575
215136 마트에서 산 과일선물셋트 환불될까요?^^ 3 설선물세트환.. 2013/02/05 1,053
215135 아이가 재수를 해야 할듯합니다. ㅠ.ㅠ 10 바뀐수능 2013/02/05 2,662
215134 세째 낳고 몸매가 5 ㄱㄱ 2013/02/05 1,781
215133 여기는 친구 이야기 올리면 안되나요? 19 ... 2013/02/05 3,012
215132 어깨에 불주사 자국은 어떤 예방접종 흔적인가요? 16 안티포마드 2013/02/05 47,389
215131 유망직업이 바뀐다 보셨나요? 5 2013/02/05 3,000
215130 아이랑 장난으로 깨물기 놀이 하며 '육즙이 좋아' 이런말 하는 .. 5 초롱 2013/02/05 1,290
215129 우리 컴이 왜이러는 걸까요? 4 미티 2013/02/05 338
215128 졸업선물 어의상실 2013/02/05 407
215127 헐...3년이 뭐가 짧나요. 박원순 서울시장 출마 반대합니다. 16 남자 2013/02/05 2,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