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착한 수희씨’의 분노 “나는 언제나 시녀였다”

박하사탕 조회수 : 1,959
작성일 : 2013-01-19 15:23:41
한겨레 1.19 일자  http://www.hani.co.kr/arti/SERIES/395/570297.html

[토요판] 가족 - ‘착한 수희씨’의 분노 “나는 언제나 시녀였다”

엄마부터 남편까지
날 시녀로 삼았던 걸까

장남은 아들이라서
여동생은 공부를 잘해서,
난 그저 살림밑천 큰딸이었다
결혼 뒤엔 착한 아내, 엄마
믿었던 남편은 바람을 피웠다 

그리고 돌아본 인생 40년
늘 가족이 먼저라고 생각했지만
그게 다 무슨 소용이었을까
혹시 난 피해자가 아니었을까

‘분노? 슬픔? 억울함? 배신감?’

도대체 이 감정의 정체는 무엇일까. 주부 이수희(가명·40)씨는 요즘 “뭐라고 이름 붙여야 할지도 모를” 복잡한 감정의 소용돌이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듯한 기분이다.

“남편이 바람을 피웠다.” 이씨의 사십 인생에 ‘균열’을 불러온 사건이다. “심각한 관계는 아니다”라며 남편은 용서를 구했다. “비교적 성실했던 남편”의 말을 이씨도 믿지 않는 건 아니었다. “용서 못할 정도는 아니다”라고도 여겼다. 그래도 무너진 둑에서 물이 쏟아져 나오듯, 툭 하고 터져나온 감정들은 좀처럼 수습이 되질 않았다. ‘괜찮다’고 마음을 다독일수록 전혀 상관없는 옛 기억들까지 불쑥불쑥 떠오르곤 했다. “남편과 두 딸, 엄마와 오빠, 동생, 모두 나를 이용만 했다.” 분노 혹은 슬픔, 억울함, 배신감. 아니, 이 모든 것이 뒤엉킨 감정이 또다시 저 밑에서 치오른다.

이씨의 아버지는 경제적 능력도 없는데 병약하기까지 했다. 아버지는 방 안에 누워 있는 날이 더 많았다. 아버지의 약값과 1남2녀의 생계가 어머니의 책임이었다. 조그만 식당을 하는 엄마는 늘 바쁘고 지쳐 있었다. 어린 시절, 이씨는 엄마의 웃는 낯을 본 적이 거의 없었다. 이씨는 학교가 끝나면 늘 식당에 나가 일을 도왔다. “큰딸이니까, 당연히 해야 할 일”이었다. 엄마는 장남인 오빠에겐 ‘공부나 하라’며 아예 식당 문턱도 넘지 못하게 했다. 살살거리기 대장인 여동생은 이 핑계, 저 핑계를 대며 잘도 놀러만 다녔다. “못된 계집애”라며 눈을 흘기긴 했어도 엄마는 여동생이 밉지 않은 눈치였다. 이씨라고 왜 오빠나 여동생처럼 놀러가고 싶은 날이 없었겠나. 하지만 투정은 부리지 않았다. “일하기 싫다는 말을 해봤자 등짝이나 맞을 게 뻔했다. 게다가 나라도 엄마를 돕지 않으면 엄마가 더 힘들 테니까.” 그 시절 이씨는 늘 엄마가 고팠다. “내가 더 잘하면 엄마가 날 한번 더 봐주겠지, 더 예뻐해주겠지 그런 생각만 했다.” 엄마는 덤덤하기만 했다. ‘그래도 너밖에 없다’란 말까진 바라지도 않았다. 그저 머리만 쓰다듬어줘도 좋았을 것이다. 하지만 엄마로부터 ‘기특하다’는 그 흔한 말조차 들어보질 못했다.

제법 공부를 하는 오빠와 동생과 달리 이씨의 학교 성적은 “그냥 그랬다.” 성적이 떨어져도, 올라도 엄마는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 가난한 집안 형편, 공부를 시킬 때도 당연히 ‘더 잘하는 놈’이 먼저였다. 엄마는 동생을 위해 이씨더러 대학을 포기하라고 했다. ‘미안하다’는 말도 하지 않았다. 이씨는 숨어서 눈물을 찍어내면서도 엄마 앞에서는 내색을 하지 않았다. “내가 공부를 더 잘하지 못하니까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받아들였다. 그 시절 이씨는 ‘작은 초 하나가 제 몸을 태워 세상을 밝힌다’는 말을 좋아했다. “나 하나 양보하고 희생하면 다른 가족들이 행복해질 테고, 내 맘도 알아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저 집 큰딸은 참 착해.” “이수희씨는 정말 좋은 사람이에요.” 사람들의 그런 칭찬이 위로라면 위로가 됐다.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길은 더 좋은 사람이 되는 것뿐”이라고 여겼다. 그래서 친구랑 다투기라도 하면 늘 먼저 사과를 하곤 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친구를 잃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불안했다. 회사에서도 서로 귀찮은 일을 떠맡기 싫어 눈치를 볼 때면 ‘내가 하겠다’고 먼저 나섰다. 그 편이 속이 편했다. 맘에 들지 않는 일이 있어도 주장을 내세우지 않았다. 괜한 일로 불화를 일으키는 게 싫었다. 봉사활동에도 열심히 참여했다. “순하다” “참하다” “착하다” 같은 말들이 늘 이씨를 따라다녔다.

이런 이씨를 좋아한 남자들도 여럿이었다. 하지만 연애는 썩 잘되진 않았다. 이씨는 남편을 만나기 전까지 제대로 된 연애를 해본 적이 없다. 가슴을 설레게 한 사람이 없었던 건 아니지만 제대로 속내를 드러내지는 못했다. 주저주저하다 보면, 남자는 어느새 다른 여자의 연인이 돼 있곤 했다. 그러다 친척의 소개로 “사람 좋다”는 남편과 만났다. 뜨겁지는 않았지만 나쁠 것도 없었다. ‘결혼하자’는데 거절할 이유가 없었다.

결혼을 하고 나서도 이씨는 줄곧 좋은 아내, 좋은 엄마, 좋은 며느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나보다는 가족이 먼저”였다. 남편과 아이들이 원하는 반찬 위주로 밥상을 차렸다. 남편의 갑작스런 주말 근무로 가족여행이 취소됐을 때도 화 한번 내지 않았다. 방청소 한번을 제대로 안 하는 두 딸에게도 웬만해선 잔소리를 하지 않았다. “어렸을 때 내가 힘이 들었으니까 딸들은 고생하지 않고 공주처럼 키워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시부모님 말씀엔 무조건 “네, 네” 복종했다. 무슨 일이 있어도 일주일에 한번은 시댁에 오라는 시어머님의 말씀을 이제껏 거의 어긴 일이 없다. 가고 싶지 않은 날에도, 몸이 아픈 날에도 갔다. “내가 참아야 집안이 조용해질 테니까….”

‘그게 다 무슨 소용이었을까.’ 이씨는 지금껏 살아온 삶이 다 허탈하다. “믿었던 남편은 등 뒤에서 딴짓이나 하고, 딸들은 엄마를 원래 저희들 뒤치다꺼리나 하는 사람쯤으로 보는 것 같다. 제 것만 챙기던 얄미운 동생은 대학 나와 나보다도 잘산다. 엄마는 내가 사십이 되도록 ‘니가 고생이 많았다’는 말 한마디를 안 했다. 다 꼴 보기 싫다.” 눌러도 눌러도 수그러들지 않는 분노, 이씨는 자꾸만 소리를 지르고 싶어진다. “내 인생 돌려줘”라고.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IP : 211.33.xxx.22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이들에게
    '13.1.19 3:46 PM (58.143.xxx.246)

    착하다 착하다 칭찬하는거 별로 좋은건 아닌것 같아요.
    그 안에 가두는 효과가 있지요. 현명하다 지혜롭다가 오히려 나은듯하네요.
    저런 수희씨가 많았었죠. 특히 장녀들 중에요. 어려서 고생했으면 커서라도
    행복하게 살아야 하건만 평생 고생에서 벗어나질 못하니 넘 안되었죠.
    어쩌면 이미 부모들 손에 자식의 행복이 이미 저울질되었던건 아닌지 싶네요.
    그 중에 행운이 기다려주는 일 없다면 거의 고생길이죠.

  • 2. ㄴㅇㄹ
    '13.1.19 3:49 PM (182.218.xxx.163)

    저러구 살다 큰 병이라도 걸리면
    가족들 중 누가 돌볼까 싶네요
    희생은 반드시 좋은 건 아닌듯 해요
    수희씨같은 여성이 줄어들었음 합니다

  • 3.
    '13.1.19 4:18 PM (110.70.xxx.218) - 삭제된댓글

    수희씨처럼 살면 복 받고 사람들이 그리워하는 사람이 될 줄 알았는데... 아닌가요?

  • 4. 전님
    '13.1.19 4:24 PM (58.143.xxx.246)

    누구의 희생따위 생각하는 세상은 아니예요. 그건 절반이하인것 같아요.
    주변에서 고마워하는 것 보다는 내가 스스로 당당한 현실에서 살고 있는게
    중요하죠. 전에 빚졌고 잘해줬었고 이런거 다 추상적이죠.
    머리로는 고마운데 가슴으로는 전달되지 않는 사연들 내가 잘살게 되었다해도
    아까워서 손 내밀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해요.
    중요한건 나 자신을 돌보는거요. 그래야 우울하지 않을 수 있어요.
    삶다운 삶도 사는거구요. 주변에 있는 수희씨들 잘 감싸주고 따뜻하게 손 내밀어주는
    분들은 복받으시길...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4778 조언을해야하나말아야하나?? 11 고민중 2013/02/05 1,772
214777 조언 좀주세요 늦은밤 3 힘드네요 2013/02/05 900
214776 설날에 떡 맞출려고 하는데... 무슨 떡이 좋을까요?? 4 2013/02/05 1,453
214775 명절이 싫은 아가씨어요 17 명절ㅠㅠ 2013/02/05 3,135
214774 몰라서 여쭙니다 7 이상해 2013/02/05 907
214773 코스트코에서 와인 살때요.. 와인 2013/02/05 1,048
214772 옆집 쿵쿵 거리고 걷는것도 얘기 해야 하나요? 8 dd 2013/02/04 2,107
214771 떨려요. 내일 비만클리닉 갑니다! 18 ... 2013/02/04 3,001
214770 지겨운 제사 얘기 입니다.^^ 11 머리아퍼 2013/02/04 2,726
214769 여자 너무 탐하다보면 폐병 걸린다! 6 호박덩쿨 2013/02/04 2,321
214768 그냥 짠해서 눈물이 나오게 하는 남자는 뭘까요.. 11 마음가볍게 2013/02/04 2,093
214767 2틀단식후...폭풍흡입.. ㅠㅠ 멘붕상태@_@ 9 BONITA.. 2013/02/04 2,786
214766 대형마트서 갓난아기 발견돼 뉴스클리핑 2013/02/04 1,307
214765 제주 성산쪽 숙박시설 추천 부탁드립니당. 3 가자제주도 2013/02/04 1,207
214764 이런 성격 어찌 고쳐야 할까요?? 1 RK 2013/02/04 409
214763 코스트코광명점 가보신분 3 aaaaa 2013/02/04 1,485
214762 남편 어떻게 해야 사랑할수 있을까요? 5 .. 2013/02/04 1,655
214761 베리떼 멀티쿠션과 에어쿠션의 차이점이 뭔가요? 3 팜므파탈 2013/02/04 3,748
214760 무선 인터넷 어디것이 좋아요? 2 어느화창한날.. 2013/02/04 469
214759 권상우 연기 전 좋네요..^^ 25 자두귀신 2013/02/04 3,625
214758 식기세척기에 넣기에는 코*이 무난할까요? 3 그릇 2013/02/04 1,044
214757 (심각)결혼할사람이 방귀가 너무 잦아요 12 꼼꼼이 2013/02/04 3,703
214756 예비중1 아들이 심즈3라는 게임팩을 사달래요. 사줘야하나요? 6 이건또모니 2013/02/04 1,081
214755 카톡친구추천을 보면서 이해가 안가서요 5 .. 2013/02/04 2,022
214754 어릴 때 읽던 세계전래 전집인데... 24 맨날 질문만.. 2013/02/04 2,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