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예비고엄마 조회수 : 985
작성일 : 2013-01-09 16:53:17

고등학교 입학 전에 공부할 것들, 읽을 책들 챙겨보고 있는데요.....

국어는 문학에서 왜 "단편소설"을 비중있게 다루나요?

( 뭐, 현대시, 고전소설, 고전시, 비문학 등등 다아 많지만....)

입학 전에 읽을 필독서에도 주루루룩 리스트가 올라와 있고

그래서 그렇겠지만 수능국어지문에도 많이 출제가 되구요.

근대 단편소설, 김동리, 현진건, 염상섭, 이효석 등등......

짧은 글 속에서 인간심리가 함축적으로 표현된다거나해서 학생들이 그것을 해석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기를 원하는 건지, 아니면  자랑스런 우리나라의 문학이니 당연히 자긍심 있게 많은 작품들을 읽고

알고 있어야 해서 그러한 건지, 아니면 그냥 수능 출제하기 좋아서? 이건 아닌것 같고.....

교육과정 속에 들어있다면 꼬옥 필요해서 있을터인데 무식한 제 머리로는 어떤 "의의"를 갖는 지 모르겠네요.

이과 엄마라 쫌 문외한이라 그런지 요 몇달 사이 제 머리 속에 계속 떠다니며 궁금했었어요.

아이한테 읽혀도 아 이래서 읽어야하는구나 알고 읽히고 저도 안 읽었던 작품들이 있으면 읽어보려구요.

답변이 많이 달리면 좋겠어요.

 

 

IP : 59.12.xxx.3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9 5:29 PM (1.236.xxx.45)

    우리가 근대라고 부르는 시절,일제 강점기하죠.
    이 시절은 장편보다 단편이 많습니다.
    단편은 길이는 짧지만 함축적으로 시대상과 그 시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구요.다양한 작가의 다양한 문체와 개성을 엿볼 수 있기도 하고 그래서 시험에 내기도 사실 좋구요.

    좀 더 긴 장편,대하 소설은 작가의 역량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읽고 즐길 줄 아는 긴 안목을 지닌 독자도 있어야 합니다.그 시절은 아직 그 점이 무르익지 않은 시대라 봅니다.

  • 2. 국어쌤이에요
    '13.1.9 6:44 PM (175.223.xxx.131)

    장편도 교과서 수록되지만 너무 길어서 일부분만 실어요. 고2 문학 책을 보시면 아실거예요.

    그리고 우리나라 근대문학이 형성되어 발전한 시기가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 70년대까지예요.
    그리고 문학은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라
    중요한 시기가 고스란히 담긴 일제강점기와 전후 기절의 문학 비중이 커요.

  • 3. 예비고엄마
    '13.1.9 9:11 PM (59.12.xxx.32)

    예 그렇군요. 감사드립니다.

  • 4. 노고단
    '14.10.20 8:10 AM (124.50.xxx.116)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7132 김치만두를 하다가... 29 사서고생 2013/01/09 4,444
207131 김지하, 또 막말…이정희 놓고 “쥐새끼 같은 X, 죽여야지 20 호박덩쿨 2013/01/09 2,328
207130 조화에 쌓인 먼지는 어쩌면 12 없애나요? 2013/01/09 2,714
207129 로또번호가세상에 4 로또 2013/01/09 2,655
207128 대전 충남고 재학중인데 서울둔촌고로 전학가게 될 것 같은데 조언.. 6 양파 2013/01/09 2,092
207127 소갈비찜에 청주 대신 와인을 넣어도 될까요? 4 소갈비찜 2013/01/09 2,506
207126 강아지 고양이 글 좀 올려주세요T.T 31 11111 2013/01/09 2,067
207125 지방에서 서울올라오신분들 집장만 언제 하셨나요? 3 무주텍 2013/01/09 1,397
207124 시사기획 창 <쿠오바디스 한국경제> 동영상 6 시사기획 창.. 2013/01/09 1,303
207123 어머니가 돌아가시면 자신도 못살거 같다는 남편.. 46 한숨.. 2013/01/09 12,582
207122 배는 무지 고픈데 먹기가 귀찮아요. 4 저기요 2013/01/09 1,534
207121 보험가입 새로하는거라면 100세보장받는거로 가입하는게 나을까요?.. 7 보험 2013/01/09 1,476
207120 괜찮은 체크카드 추천 부탁드려요 5 ... 2013/01/09 2,855
207119 피부과 염증주사말예요... Estell.. 2013/01/09 1,487
207118 동네미용실.. 성공확률 vs 실패확률..? 13 결정장애 2013/01/09 6,705
207117 능력자님들 서울, 경기도 좌식 룸 한정식집알려주세요 ㅠㅠ 5 그긔 2013/01/09 1,305
207116 삐용이(고양이)에 대하여. 8 삐용엄마 2013/01/09 1,332
207115 라디오에서 웃긴 얘기.. 3 웃겨..ㅎㅎ.. 2013/01/09 1,718
207114 학교 안보세요? 19 학교 2013/01/09 2,326
207113 진짜 파파할머니가 서서 가실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12 전철에서 2013/01/09 2,051
207112 비행기 안으로 반입해서는 안 되는 것이..? 7 여행보내는 .. 2013/01/09 2,479
207111 마트 채소.과일 값 너무 한거 같아요. 53 사과 2013/01/09 9,610
207110 영어학습 사이트 모음입니다. 425 엄마표영어 2013/01/09 18,224
207109 이번 대선에 사용된 전자개표기 오류에 관한 뉴스 1 개표기 2013/01/09 918
207108 망치부인. 한 가정주부를 진짜 8개월이나 가둬둘라나보군요 12 ㅠㅠㅠㅠㅠㅠ.. 2013/01/09 3,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