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예비고엄마 조회수 : 957
작성일 : 2013-01-09 16:53:17

고등학교 입학 전에 공부할 것들, 읽을 책들 챙겨보고 있는데요.....

국어는 문학에서 왜 "단편소설"을 비중있게 다루나요?

( 뭐, 현대시, 고전소설, 고전시, 비문학 등등 다아 많지만....)

입학 전에 읽을 필독서에도 주루루룩 리스트가 올라와 있고

그래서 그렇겠지만 수능국어지문에도 많이 출제가 되구요.

근대 단편소설, 김동리, 현진건, 염상섭, 이효석 등등......

짧은 글 속에서 인간심리가 함축적으로 표현된다거나해서 학생들이 그것을 해석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기를 원하는 건지, 아니면  자랑스런 우리나라의 문학이니 당연히 자긍심 있게 많은 작품들을 읽고

알고 있어야 해서 그러한 건지, 아니면 그냥 수능 출제하기 좋아서? 이건 아닌것 같고.....

교육과정 속에 들어있다면 꼬옥 필요해서 있을터인데 무식한 제 머리로는 어떤 "의의"를 갖는 지 모르겠네요.

이과 엄마라 쫌 문외한이라 그런지 요 몇달 사이 제 머리 속에 계속 떠다니며 궁금했었어요.

아이한테 읽혀도 아 이래서 읽어야하는구나 알고 읽히고 저도 안 읽었던 작품들이 있으면 읽어보려구요.

답변이 많이 달리면 좋겠어요.

 

 

IP : 59.12.xxx.3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9 5:29 PM (1.236.xxx.45)

    우리가 근대라고 부르는 시절,일제 강점기하죠.
    이 시절은 장편보다 단편이 많습니다.
    단편은 길이는 짧지만 함축적으로 시대상과 그 시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구요.다양한 작가의 다양한 문체와 개성을 엿볼 수 있기도 하고 그래서 시험에 내기도 사실 좋구요.

    좀 더 긴 장편,대하 소설은 작가의 역량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읽고 즐길 줄 아는 긴 안목을 지닌 독자도 있어야 합니다.그 시절은 아직 그 점이 무르익지 않은 시대라 봅니다.

  • 2. 국어쌤이에요
    '13.1.9 6:44 PM (175.223.xxx.131)

    장편도 교과서 수록되지만 너무 길어서 일부분만 실어요. 고2 문학 책을 보시면 아실거예요.

    그리고 우리나라 근대문학이 형성되어 발전한 시기가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 70년대까지예요.
    그리고 문학은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라
    중요한 시기가 고스란히 담긴 일제강점기와 전후 기절의 문학 비중이 커요.

  • 3. 예비고엄마
    '13.1.9 9:11 PM (59.12.xxx.32)

    예 그렇군요. 감사드립니다.

  • 4. 노고단
    '14.10.20 8:10 AM (124.50.xxx.116)

    국어선생님이나 선배학부모님들께 여쭤봅니다. 단편소설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6870 9408타고 서현에서 대방역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6 버스 2013/01/09 998
206869 김무성관련 부정선거 소설, 무서운 트윗.. 4 ........ 2013/01/09 1,898
206868 부산에서~ 1 ,,, 2013/01/09 681
206867 칠순 친정엄마 실비보험 못 드시나요? 12 ... 2013/01/09 1,720
206866 각탕기 2일째 사용(후기+질문) 5 왜일까 2013/01/09 2,685
206865 실비보험 어디꺼 들었나요??> 14 ㅇㅇㅇ 2013/01/09 2,907
206864 종편 뉴스에서 여성비하? "김치녀" 논란 1 이계덕/촛불.. 2013/01/09 934
206863 시사인을 동사무소에 살포시 놓고 옵니다 5 시사인 2013/01/09 968
206862 정청래 트윗....수개표 14 2013/01/09 2,718
206861 버리고버려도 끝이 없네요 5 2013/01/09 2,726
206860 아파트 사시는분들, 베란다에 얼음얼었나요? 3 오잉 2013/01/09 2,468
206859 명동에 여자 넷이 조용히 밥먹고 수다떨수 있을만한 곳 어디가 있.. 3 ... 2013/01/09 1,325
206858 부모님에 대해 절절한 마음인 친구와 공감을 못해요 5 두려움 2013/01/09 1,588
206857 7살우리딸 심리상담 결과 나왔는데 슬프네요ㅠ.ㅠ 11 마음아파요... 2013/01/09 6,221
206856 안타깝고 가혹한 시절 1 나도 그렇고.. 2013/01/09 595
206855 싱크대 깊은서랍 수납 용기가 있을까요? 1 살림신접신중.. 2013/01/09 1,573
206854 외신 UPI 에 박그네 국정원게이트 기사 떴어요.. 2 .... 2013/01/09 1,648
206853 박준영 소리 정말 맞는 말이죠. 31 ... 2013/01/09 9,782
206852 솔치 주문하신 분들.. 이거 맛이 어때요? 3 솔치 2013/01/09 1,647
206851 감각과 센스있으신분 조언좀 주세요 -전세도배관련 2 이너공주님 2013/01/09 988
206850 식당에서 불합리한 일을 당했을때 싸우시나요? 7 기막혀 2013/01/09 2,134
206849 산부인과 관련 질문... 질염일까요? 3 ... 2013/01/09 2,076
206848 시장씬에 나온 차화연 코트 참 예쁘네요.. .. 2013/01/09 1,847
206847 유승호요 너무 불쌍해요 9 혜진군 2013/01/09 3,863
206846 치킨, 피자도 자꾸 먹을수록 중독되는것 같아요. 3 중독 2013/01/09 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