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유형이 제일 어렵네요..수영 발차기 조언좀 해주세요..

수영 발차기 조회수 : 32,360
작성일 : 2012-12-28 23:20:46

그동안은 헬스만 해오다가 허리 발목이 아파서 수영한지 7개월정도 되었어요..

수영이 정말 좋은 운동이긴 하더군요..

운동을 끊지 않고 이렇게 오래 한건 수영이 처음이에요 ㅎㅎㅎ

그런데, 제가 운동감이 떨어지지는 않는 편인데도 진도는 느려요..

 

겨우 한팔접영까지 배웠지만, 그 중에서 자유형이 제일 어려워요..

제일 연습도 많이 하는데, 숨이 너무 많이 차서 도저히 25미터 한번에 갈 수가 없네요..

꼭 중간에 쉬거나, 2/3 지점에서 쉬게돼요..

10번중에 한 번 정도는 끝까지 갈때도 있는데,

그렇게 가고 나면 팔다리가 찌릿찌릿하면서 온몸이 다 풀리고,

숨도 미칠듯이 차고 한참 쉬었다가 다시 시작해야 돼요 ㅠㅠ

 

그런데, 오늘 수영잘하는 아주머니께서 제가 발차기를 너무 심하게 빠르고 많이 찬대요..

보통은 한 팔 돌릴때마다 발차기 두 번 정도 하는데, 저는 한 팔에 발차기를 네 번이나 해서 파닥파닥 거린다고..

그렇게 하면 너무 힘들거 같은데 괜찮냐고 하시는거에요..

7개월 수영하면서 그런 얘기는 처음 들었어요..발차기를 너무 많이 해서 숨쉬는것도 벅차서 힘들거라고 하네요..

그래서 속으로 박자를 쉬어가며 팔 돌리면서 발차기 숫자를 세봤는데,

숨쉬는거랑 팔돌리는거랑 발차기 숫자세는게 너무 헛갈려서 몇 번을 발차기를 했는지 도무지 모르겠어요..

그냥 습관적으로 계속 발차기를 하는거 같아요..

제가 우리반 레인에서 발차기를 제일 잘한다고 강사님이 그러셨거든요..발차기는 잘 하는 편인데,

횟수가 너무 빠르고 많이 찬다고 하니,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오늘 질문은요,

자유형할때 발차기를 몇 번 정도 해야하고, 저는 숨쉬는게 너무 힘들고 숨이 아주 많이 차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여쭤보는거에요..배영, 평영은 잘 하는 편이에요..

운동은 일주일에 5~6번정도 가고, 아직 자유형 팔꺽기는 안가르쳐 주셨어요..

IP : 112.149.xxx.77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28 11:27 PM (1.244.xxx.166)

    무릎아래만 이용하는게 아니고
    다리전체를 이용하시면서 그렇게 많이 발차기하신단 말씀이시죠?
    (강사가 잘한다고 했다니까..)

    와우!..
    저는 다리힘이 없어서 맨날 동료들이 항상 제 폼보면서 안쓰러워했는데..ㅋㅋ
    그래도 25m끝까지는 갔거든요. 하반신이 가라앉아서 그렇지^^.

    강사에게 상의 하심 객관적인 평가를 들으실것 같아요.

  • 2. ...
    '12.12.28 11:31 PM (222.237.xxx.108)

    발차는 거는 사실 물에 안가라앉을 정도로만 차는 사람들도 많아요..ㅎㅎ..
    자유영법은 사실 방법은 따로 없구요..그냥 자기가 젤 편한대로 하면 되는 겁니다..사실은..

    글 쓰신걸로 봤을때..이제 몸에 힘을 빼세요...그리고 자유형 팔꺽기 배우시면서 서서히 발차기보다는 팔에 신경쓰면서 발에 힘 빠질거에요...몸에 힘빼시고 호흡하실때 날쑴때 숨을 최대한 다 뱉으세요..그래야 들숨을 가득 쉴 수 있구요..그러면 시간적 여유가 생깁니다...나중에 물타기라고 해서 물에 떠 있는 느낌을 내가 받아야 합니다..팔꺽기 배우시고 나면 어깨돌리기까지 나가고...머.....쭉쭉 배울건 많아요..
    그냥 수영을 즐기고 열심히 하다보면 인어공주가 되어있는 나를 보실거에요 화이팅!!!

  • 3. 강사가 불성실
    '12.12.28 11:31 PM (112.149.xxx.77)

    강사님이 좀 불성실한 분이에요..
    약간 껄렁껄렁 한 스타일??
    제가 약간 나이 많은 분들 반에 속해있는 젊은 사람인데요..
    제대로 잘 안가르쳐주고, 그냥 운동삼아 하세요..선수도 아닌데 이러면서 제대로 안가르쳐줘요..
    좀 짜증이 나지만 시간대가 그 시간밖엔 안돼서 그냥 다니고 있어요..

  • 4. ...
    '12.12.28 11:36 PM (1.244.xxx.166)

    아니..선수고 뭐고
    강습7개월차에 지금 25미터를 끝까지 못가는구만
    그 강사는 뭔 선수타령, 운동타령 이랍니까.
    연수반가고 고급반 가면 계속 뺑뺑이만 돌리는 건데...

    (괜히 내가 열받음..)
    그럼 딱 찝어서..
    누구누구가 내가 너무 다리를 많이 움직인다더라..(그분과 같이 물어보심 더 좋고요)
    니가 보긴 어떠냐..어떻게 해야 고치냐..이렇게 물어보세요.

  • 5. 황금덩이
    '12.12.28 11:37 PM (180.68.xxx.123)

    천천히 해보세요. 그럼 정말 숨이 하나도 안 차요. 천천히 힘빼고 해도 가라앉지 않아요. 저도 첨에 25미터 한번에 못 갔는데 나름 터득한후 지금은 몇바퀴도 가능해요^^

  • 6. 저는
    '12.12.28 11:39 PM (113.10.xxx.153)

    자유형할때 꼭 중간에 한번 서곤 햇는데 그 이유가 숨쉬기와 힘없는 발차기 때문이었어요
    발차기를 많이 하면 쭉쭉 앞으로 나가던데요?
    그리고 숨쉬기는 고개 바깥으로 해서 들이킬때 충분히 들이키지 못해서 숨이 차더라구요
    제가 건강검진 할때 폐활량이 많이 적다고 나왔거든요
    그 때문인것 같기도 하고;;;

    제 생각에 원글님은 몸에 너무 힘을 줘서 그런게 아닐까 한다는

  • 7. 이젠
    '12.12.28 11:50 PM (175.212.xxx.133)

    제가 배울땐 허벅지 힘으로 찬다 생각하고 종아리는 힘 빼고 리드미컬하게 찬다고 했던 거 같아요. 왜 오리발 끼면 앞으로 쭉쭉 가잖아요. 그땐 진짜 허벅지에만 힘줘도 되는데 그 느낌으로 해보세요. 전 한 열달 했는데 접영은 끝내 마스터 못했고 그 다음에 어려운 게 자유형이었어요.ㅎㅎ

  • 8. 일단
    '12.12.29 12:10 AM (121.183.xxx.124)

    숨찬 이유를 발차기에서 찾으시는데요.
    정말 빨리 차서 다리의 산소 소모량이 숨찰 정도로 많을까요? 아마 그건 아닐거라 생각됩니다.
    대다수 숨차다는 초보분들은 숨을 쉬기 위해 고개를 많이 처드는 자세입니다. 심지어 상체를 이용해 고개를 물 밖으로 꺼내려는 듯 해서 숨을 쉬려하는데, 그러면 허리까지 아프게 됩니다. 물밖에 나온 부위가 크면 그만큼 깊이 가라않아서 다음 호흡땐 더 크게 하려 하게 됩니다. 가볍게 고개를 옆으로 돌려 입만 물밖에 나오게 한다는 기분으로 하시고요.
    또 중요한 건 리듬인데요. 시선을 호흡방향 팔의 팔꿈치를 따라가게 한다고 연습해보세요. 그러면 자연스레 숨쉴 시간이 넉넉히 확보될 겁니다. 즉, 여유로운 숨쉬기가 가능하고 그게 힘빼기의 핵심이라 생각합니다.
    시범을 보이면 간단한데 말로 하려니 길어졌네요. 즐건 운동 되시길...

  • 9. 그리고
    '12.12.29 12:25 AM (121.183.xxx.124)

    발차기는 빨리 하려고만 말고 위아래로 크게 저어준다고 자세를 익히세요. 대부분 사람들의 발차기 폭은 생각보다 작은데 그게 작아서 빨리 차게 되고, 또한 빨리 찰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유형의 주추진력은 팔입니다. 다리동작에 너무 신경쓰면서 전체 리듬과 밸런스가 안 잡히는듯 합니다.

  • 10. ...
    '12.12.29 12:26 AM (61.78.xxx.140)

    오른팔 물 당기면서 왼발 차고(둥) 자연히 오른발 번갈아 차게되면서(당), 왼팔 당기면서 오른발 차고(둥) 자연히 왼발 번갈아 차게되면서(당)
    둥~당. 둥~당 리듬으로 가면 한번 팔 저을 때 2번 발차기요.

  • 11. 천천히..
    '12.12.29 12:28 AM (222.121.xxx.183)

    빨리빨리 팍팍 차시니까 강사분은 잘 찬다 하시는거구요..
    발차기 팍팍 차고 빨리 빨리 안가도 되니 오래 하시려면..
    발은 발돌리기 한 번에 세 번 정도만 차세요.. 그것도 계속 차지 마시고 파파팍 차고 쉬고 파파팍 차로 쉬고 이런식으루요..
    그리고.. 최대한 천천히 하면 오래할 수 있어요..
    달리기랑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오래 달리기는 천천히 하는것처럼이요..

    그러다가 물도 좀 타시고 하면 25미터는 금세 갑니다..
    저는 빨리 할 때는 스트록 4번또는 6번에 숨쉬기 한 번 하기도 해요.. 그러면 숨쉬기 두 번? 정도하고 25미터 가는데.. 그렇게 하면 좀 쉬어야 다시 출발 가능해요...

    그리고 이제 7개월이면 이런 느낌으로 하시려면 좀 더 하셔야 해요..
    저는 수영 15년정도 했어요..

  • 12. 대략
    '12.12.29 12:43 AM (121.183.xxx.124)

    따져보니 저는 약 35년 전 쯤 수영을 조금 배웠는데요. 그때와 지금은 강습 커리큘럼의 틀이 전혀 다른 관점이더군요. 그땐 자유형이 어지간히 되어야 다음 영법으로 넘어가는 식인데, 요즘엔 초급반에서도 여러 영법을 접하게 하더군요. 그리곤 중급반에서 조금더 가다듬고, 상급반에서 또 가다듬고는 연수반이니 뭐니.. 아마 어떤 이유가 있겠지요? ^^
    하여간 여러 개의 댓글을 연속해서 달은 이유는 원글님 같은 상태의 분들이 자세가 더 굳어지기 전에 바로잡아주지 않는 것이 안타까워서고요.

  • 13.
    '12.12.29 1:04 AM (121.183.xxx.124)

    위에서 꼬집어 표현을 않했던 부분인데, 수영 강습 방식이 상업적인 목적을 두고 바뀐게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예전엔 월수금이나 화목토 중 택일해서 강습하는 식이었는데, 어느 시점에선가 수영장이 많아지며 매일 강습을 하는데 강습료는 더 싸진 시점이 있었거든요.
    이런 이야기까지 하는건 수강생들이 너무긴 강습과정에서 불필요한 고생을 하는거 같아서 입니다. 위에 어느 분이 팔꺽기와 어깨돌리기라는 걸 언급하셨는데, 제가 배울 땐 한 동작으로 배웠거든요. 혹시 그 동작을 제가 잘못 이해한 건진 모르겠지만요.
    건방진 말로 보이겠지만 저라면 원글님을 한 일주일이면 확 달라지게 만들수 있을듯...^^

    제가 정식 강습을 받은건 아주 오래전이라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그런 부분 지적하신다면 바로잡겠습니다.

  • 14. 수영10년ᆢ
    '12.12.29 9:40 PM (1.245.xxx.103) - 삭제된댓글

    저도 한마디할께요
    발차기는 수영오래하고 잘하는 사람도 힘껏차면 지치고 힘들어요
    수영오래한 사람들은 요령이 생겨서 발차기많이 안하고 떠있을정도만 해요
    제경우는 어께로 밀어서 나가요
    7개월에 접영마스타는 정상적이지 않아보이네요 자유형 한바퀴도 못하는데 접영이라니요
    몸에힘빼시고 발차기허벅지로 눌러서 차시고
    호흡을 반호흡으로 하세요 숨을크게쉬면 숨차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8765 저도 만화 좀 찾아주세요. 그린그림 2013/01/20 975
208764 ‘코스트코 건축 불허’ 울산 북구청장에 벌금형 2 울산지법 2013/01/20 885
208763 모든 캐릭이 정말 현실적인 드라마는 불가능하겠죠? 9 드라마 2013/01/20 2,492
208762 골반사이즈 어느정도 되야 하나요? 8 골반 2013/01/20 14,240
208761 연말정산서비스에 의료비누락 되었어요 1 의료비누락 2013/01/20 1,418
208760 자동차세 질문이에요.. 7 질문 2013/01/20 943
208759 카톡에서 채팅할때 4 카톡 2013/01/20 1,078
208758 아기엄마인데 백팩 필요할까요? 15 가방 2013/01/20 2,605
208757 큰애 어린이집 참관수업 다녀와서 애한테 참 미안해요. 4 딸아... 2013/01/20 2,803
208756 저도 영화 하나 찾아주세요. 7 팜므파탈 2013/01/20 806
208755 장터에 왜 글쓰기가 안되나요? 아이크림 올리려는데!!!ㅠㅠ 10 ? 2013/01/20 835
208754 왜 본인의 노래는 안 부르는 건가요? 11 인순이씨는 2013/01/20 1,832
208753 주민번호랑 이름 도용당해서 신고해본분 계세요?어떻게 진행하죠? 5 어이없음 2013/01/20 2,589
208752 절에서 한 두달 정도 머물고 싶은데.. 14 맑은초록 2013/01/20 3,851
208751 sbs 학교의 눈물 하네요 2 콩글리쉬 2013/01/20 1,188
208750 진짜 죽었으면 좋겠어요.. 37 말로만말고 2013/01/20 13,366
208749 보일러가 고장났어요ㅠㅠ 3 이밤에..어.. 2013/01/20 988
208748 가장 대중적인 과일이 뭘까요? 30 연두 2013/01/20 3,395
208747 예비 고1 남자 아이 2 .. 2013/01/20 881
208746 아기 재우기: 수면교육이라는 것 하셨나요? 17 초보맘 2013/01/20 7,863
208745 전세푸어가 되네요. 5 가계대출 진.. 2013/01/20 3,340
208744 여드름용 크림이나 연고 추천 좀 해주세요... 1 .... 2013/01/20 1,056
208743 초등 4년 외동딸 아직 혼자 안잘라하네요.. 어쩌죠? 16 희뽕이 2013/01/20 2,489
208742 신인화랑 타미홍은 언제 옷을 만드나...... 39 메말랐나 2013/01/20 10,576
208741 한식기 우리 그릇 스타일로 추천좀요!! 결정장애 2013/01/20 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