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희 부부 돈관리법..어떤가요? 개선여지 있나요?

커피한잔 조회수 : 1,393
작성일 : 2012-12-27 13:19:52

저희 부부는 맞벌이구요..애는 아직 없어요..결혼한지 1년됐고요..

 

지금 돈관리하는 방법은 그냥 하다보니 이렇게 자연스럽게 굳어진거에요

제 월급이랑 남편월급은 연봉으로 따지면 같은데..단지 저는 성과급 나오는 달이 일년에 4번이라서..월급이 좀 들쭉날쭉하고 남편은 고정적이에요

 

일단 제 월급의 50%는 제명의로 저금하고요

남편 월급 50%는 남편명의로 저금하고요

결혼전부터 하던 저금이라서 그냥 쭉 하게되었네요

만기가 지났는데 그냥 서로 한사람한테 몰거나 하지않고 계속 각자 재예치 중이고요 ㅎㅎ

 

그리고 남편 월급 나머지 반 중 본인 용돈과 핸드폰비 등을 내고 나머지를 생활비조로 저한테 주는데

그 금액은 매월 유동적이에요

많을때는 남편월급의 30% 정도,,적을땐 0%였던 적도 있어요..남편이 뭔가 큰 거 사느라..

대신 출장비가 많이 들어왔다거나 하는 정기적이지 않은 소득이 생기면 저한테 다 보내줘요(물론 확인은 안해보고 그냥 믿음) 그리고 그돈은 그냥 거의 그대로 저금...

 

제 월급의 50%와 남편이 생활비조로 준 돈으로 생활비+제 용돈+각 집안에 드리기도 하고+ 비상금조, 여행자금 마련 등으로 저금도 조금씩 하고

그렇게 1년간 살았네요

 

처음엔 결혼하면 제가 완전히 남편월급통장 현금 흐름을 쫙 꿰고 관리를 하려고 했는데!!! 그러진 못하고 있어요

일단 남편 인증서가 저한테 있긴 하지만..남편 거를 딱 한번 들어가보고 그후론 그냥 주는대로 받아요

제가 좀더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까요?

그래야 돈이 더 물샐틈 없게 되려나요?

 

남편이 용돈을 허투루 쓰는 스타일은 아니에요..감정적 소비는 없는 스타일...

저는 약간 감정이 업되거나 할 경우 소심하지만 만원 이만원 저를 위해 쓰기도 하고

너무 불쌍하거나 할 경우 불우이웃돕기성금도 턱 질러버리는 스타일.. 

돈관리에는 남편이 사실 더 적임자일 수도 있지만

또 남편은,,안쓰고 모으기 하나는 잘하는데 예금 금리 비교나 관리비 할인 카드 이런거 이용할 줄은 몰라요..

 

조언 좀 주세용..^^
IP : 211.181.xxx.3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27 2:02 PM (115.178.xxx.253)

    결과만 놓고보면 남편이나 원글님 모두 저축이 50% 이상이고 과외로 생긴 돈은 모두 저축하시니 나쁘진
    않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전체소득을 놓고 계획성있게 쓰셔야 합니다.

    우선 주택마련, 자녀양육, 노후준비 이런 식으로 큰 목적을 두고 각각 어떻게 대응할지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특히 노후준비는 기간이 매우 중요하니까 하루라도 (복리효과)
    빨리 시작해야 합니다.

    10년통장 이라는 책을 읽어보세요. (저 이책관 관련없어요. 저도 독자)
    보통 재테크에 관심이 없는데 관심을 두셔야 합니다. 저처럼 너무 늦지 마시고..

  • 2. 커피한잔
    '12.12.27 2:11 PM (211.181.xxx.31)

    아..댓글 감사합니다..무대뽀로 저축만 하고있는데 목적에 대응방안을 마련해야하는군요...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4934 어이없는 맞선남 37 티아 2013/01/04 13,699
204933 날이 추워도 너무 춥네요 1 집사 2013/01/04 1,220
204932 노트북 가방고민입니다. ㅠ.ㅠ 좀 골라주세요. 4 가방골라줘~.. 2013/01/04 1,236
204931 연장 어려울까요? 2 취득세,양도.. 2013/01/04 1,069
204930 김치찌게 먹고 싶은데... 5 김치찌게 2013/01/04 1,819
204929 마흔넘어 출산하신분 17 올해 마흔... 2013/01/04 5,211
204928 고무로 된 물주머니,효자네요. 11 겨울 2013/01/04 3,535
204927 유기농 버터 말인데요.... 3 화초엄니 2013/01/04 2,707
204926 센스있으신 82님들~ 여자아기 이름 좀 골라주세요^^ 26 최씨 2013/01/04 5,478
204925 朴 당선인, 오후 4시께 인수위 추가인선 발표 4 세우실 2013/01/04 1,192
204924 어린 여자 초등 아이들에게 유용한 물건 어떤게 있을까요? 8 좋아할 2013/01/04 1,152
204923 거짓말 하는 아들, 자존감이 낮아서일까요? 27 중2아들 2013/01/04 8,220
204922 극세사이불이 정전가 심해요 5 베이브 2013/01/04 1,919
204921 급질) 10년된 매실청 6 난감난감 2013/01/04 4,804
204920 동물도 잘 때 꿈 꾸나요? 4 2013/01/04 933
204919 오미자를 걸렀어요 술을부었네요 2 새댁 2013/01/04 1,280
204918 책 읽어주기 운동? 이랄까요.. 1 .. 2013/01/04 709
204917 생애첫검진 놓쳤는데요 2 ㅡ.ㅡ 2013/01/04 1,401
204916 태비길냥이 그리고 아기 길냥이 8 gevali.. 2013/01/04 1,069
204915 겨울이라 모임 메뉴가 걱정이예요... 10 고민 2013/01/04 2,232
204914 우엉차는.. 직접 우엉 사다 끓여야 하나요? 아님 어디서 구하나.. 9 우엉차 2013/01/04 3,506
204913 해외직구시 문의드립니다. 2 .. 2013/01/04 1,122
204912 여기 댓글들 왜이래요? 5 날선 댓글 2013/01/04 1,462
204911 편의점으로 택배받는 법 혹시 아시나요 2 tranqu.. 2013/01/04 3,254
204910 buy me 가 무슨뜻인가요? 5 ^^ 2013/01/04 3,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