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희 부부 돈관리법..어떤가요? 개선여지 있나요?

커피한잔 조회수 : 1,391
작성일 : 2012-12-27 13:19:52

저희 부부는 맞벌이구요..애는 아직 없어요..결혼한지 1년됐고요..

 

지금 돈관리하는 방법은 그냥 하다보니 이렇게 자연스럽게 굳어진거에요

제 월급이랑 남편월급은 연봉으로 따지면 같은데..단지 저는 성과급 나오는 달이 일년에 4번이라서..월급이 좀 들쭉날쭉하고 남편은 고정적이에요

 

일단 제 월급의 50%는 제명의로 저금하고요

남편 월급 50%는 남편명의로 저금하고요

결혼전부터 하던 저금이라서 그냥 쭉 하게되었네요

만기가 지났는데 그냥 서로 한사람한테 몰거나 하지않고 계속 각자 재예치 중이고요 ㅎㅎ

 

그리고 남편 월급 나머지 반 중 본인 용돈과 핸드폰비 등을 내고 나머지를 생활비조로 저한테 주는데

그 금액은 매월 유동적이에요

많을때는 남편월급의 30% 정도,,적을땐 0%였던 적도 있어요..남편이 뭔가 큰 거 사느라..

대신 출장비가 많이 들어왔다거나 하는 정기적이지 않은 소득이 생기면 저한테 다 보내줘요(물론 확인은 안해보고 그냥 믿음) 그리고 그돈은 그냥 거의 그대로 저금...

 

제 월급의 50%와 남편이 생활비조로 준 돈으로 생활비+제 용돈+각 집안에 드리기도 하고+ 비상금조, 여행자금 마련 등으로 저금도 조금씩 하고

그렇게 1년간 살았네요

 

처음엔 결혼하면 제가 완전히 남편월급통장 현금 흐름을 쫙 꿰고 관리를 하려고 했는데!!! 그러진 못하고 있어요

일단 남편 인증서가 저한테 있긴 하지만..남편 거를 딱 한번 들어가보고 그후론 그냥 주는대로 받아요

제가 좀더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까요?

그래야 돈이 더 물샐틈 없게 되려나요?

 

남편이 용돈을 허투루 쓰는 스타일은 아니에요..감정적 소비는 없는 스타일...

저는 약간 감정이 업되거나 할 경우 소심하지만 만원 이만원 저를 위해 쓰기도 하고

너무 불쌍하거나 할 경우 불우이웃돕기성금도 턱 질러버리는 스타일.. 

돈관리에는 남편이 사실 더 적임자일 수도 있지만

또 남편은,,안쓰고 모으기 하나는 잘하는데 예금 금리 비교나 관리비 할인 카드 이런거 이용할 줄은 몰라요..

 

조언 좀 주세용..^^
IP : 211.181.xxx.3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27 2:02 PM (115.178.xxx.253)

    결과만 놓고보면 남편이나 원글님 모두 저축이 50% 이상이고 과외로 생긴 돈은 모두 저축하시니 나쁘진
    않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전체소득을 놓고 계획성있게 쓰셔야 합니다.

    우선 주택마련, 자녀양육, 노후준비 이런 식으로 큰 목적을 두고 각각 어떻게 대응할지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특히 노후준비는 기간이 매우 중요하니까 하루라도 (복리효과)
    빨리 시작해야 합니다.

    10년통장 이라는 책을 읽어보세요. (저 이책관 관련없어요. 저도 독자)
    보통 재테크에 관심이 없는데 관심을 두셔야 합니다. 저처럼 너무 늦지 마시고..

  • 2. 커피한잔
    '12.12.27 2:11 PM (211.181.xxx.31)

    아..댓글 감사합니다..무대뽀로 저축만 하고있는데 목적에 대응방안을 마련해야하는군요...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2916 토지같은 대하드라마 멋진 거 있을까요? 3 책 말고 2012/12/29 1,181
202915 전원책 변호사의 문재인이 강남에서 생각보다 선전한 이유분석이네요.. 6 ... 2012/12/29 3,762
202914 미국 타임지가 보수언론인가요? 1 TIME 2012/12/29 1,681
202913 일렉트로룩스 에르고라피도 왔습니다.! 16 초보엄마 2012/12/29 3,161
202912 역사고전강의 책 있으신 분 좀 봐주세요 1 ddd 2012/12/29 888
202911 수개표 떡밥 이제 그만!!!!!!!!!!!! 22 시민만세 2012/12/29 2,409
202910 떡만2 만두 좋아하는분 없나요? 3 ... 2012/12/29 1,819
202909 시어버터....바르기 힘들어요ㅠ 12 .... 2012/12/29 4,575
202908 이정희 측 “성호스님에게 법적대응 하겠다” 8 호박덩쿨 2012/12/29 3,124
202907 언니들,모공프라이머 어떤거 쓰세요?(+ 지금 꼭 하고싶은 말) 19 .. 2012/12/29 4,789
202906 아이허브에서 아이들 먹일 코코아 있나요? 1 성격짱 2012/12/29 2,509
202905 메뚜기 월드ㅋㅋㅋ 10 무한도전 2012/12/29 3,616
202904 임신 중 빈혈 5 화초엄니 2012/12/29 1,528
202903 급질) 미국 사이즈 PL 이... XS보다 작은 사이즈 인가요?.. 8 급해요 2012/12/29 3,218
202902 2002년 대선 전자개표 조작설 42 무명씨 2012/12/29 3,112
202901 김치가 상한 거 같아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7 zlzlzl.. 2012/12/29 7,298
202900 말라도 너~무 마른 3학년 남자 아이 멀 먹여야 살이 찔까요? 16 땡글이 2012/12/29 2,767
202899 케네시 콜 이란 가방이 유명한가요? 4 펄펄 2012/12/29 2,650
202898 12월 19일 아침의 이 환한 미소를 기억합시다.!!!! 6 .... 2012/12/29 2,709
202897 <속보> 선관위의 특급--거짓말 !!!!!!!!.. 11 ... 2012/12/29 9,373
202896 e편한세상2차,한얼 초등학교 아세요? 10 산본 2012/12/29 2,927
202895 이 시국에 다시 떠올려 보는 친박연대 그들이 옳았.. 2012/12/29 1,119
202894 긴급) 18대개표와 유사한 사례 발견!! 2008 알라스카 선거.. 2 ... 2012/12/29 2,724
202893 박명수가 뭘했다고 대상 후보죠? 23 Sass 2012/12/29 4,570
202892 수개표했다는데 왜 문제제기하는지 ㅡ.ㅡ;;; 10 시민만세 2012/12/29 2,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