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난방비 질문이요~

리아 조회수 : 1,770
작성일 : 2012-12-26 15:50:32
저희집 18평이고, 
2식구이고요. 
탑층입니다. 

온수 사용하고요. 밥 해먹고, 난방합니다. 
물론 난방 하나마나 보일러 터질까봐 외출로 해놓고, 
진짜로 어제처럼 미친듯이 추우면 좀 돌립니다. 
창마다 뽁뽁이 다 달았고, 커튼 달고, 그래도 우풍이 심해서 
큰 베란다는 전체 방풍비닐 설치해놓은 상탭니다. 
그래도 
집 전체 온도는 12도~13도 입니다. 

인터넷하면 손 시립니다. 
코도 시렵고요. 


이렇게 지내고 12월 가스비는 3만원 정도 나왔어요. 

그런데 
도대체 저희집보다 난방도 많이 안하는데 온도는 21 혹은 26도까지 높다는 집은 도대체 어떤 집이고 
난방비가 저희집하고 비슷하게 나오는 집은 아니 아파트는 어떤 아파트인가요?
다음에 그런 아파트로 이사가고 싶습니다. 

IP : 36.39.xxx.6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2.26 3:52 PM (211.237.xxx.204)

    탑층이 겨울엔 좀 더 춥고 여름엔 좀 더 더운 아파트가 있어요.
    좀 오래된 아파트 벽이 얇은 아파트가 그렇죠.
    요즘 새로 짓는 아파트 중에 벽이 두껍고 잘 지은 아파트들
    창호공사가 잘된 아파트들은 밖에 온도에 영향을 덜받아요..
    창과 벽이 중요해요.

  • 2. ....
    '12.12.26 3:56 PM (219.250.xxx.20)

    향도 중요해요.
    동행집은 안되요..

    햇볕 잘드는 남향집 고층은 가능할껄요..

  • 3. ..
    '12.12.26 3:59 PM (61.80.xxx.51)

    탁 트인 남향이신가요?
    남향에 샷시가 좋으면 집이 정말 따뜻해요. 참 남서향도 트인 집은 따뜻하구요. 그리고 난방 열심히 하는 아래 위 옆집에 둘러싸인 집도 당연히 따뜻해요.

    우선 탑층이라 열손실 많아 보이고 온수 사용하는데 3만원이면 거의 안 쓰는거라 보심 됩니다. 그리고 12도 정도로 내려간 온도 1도 올릴려면 정말 오래 걸려요.

    저 남동향 37평 필로티 위 사이드 집 살 때 난방하다 포기하고 제일 작은방 하나만 난방하고 살았어요.
    지금 21평 1층 남향집으로 이사왔는데 오늘 같은 날도 한낮엔 난방 없이 22~23도 나와요. 그래도 해지면 추워서 1도 정도만 올리는데 한달 15만원은 나옵니다. 그래도 지금은 난방하면 따뜻해지기라도 하니 15만원은 기꺼이 내요.

  • 4. 방향 중요
    '12.12.26 4:00 PM (180.65.xxx.11)

    향이 정말 중요하더군요.
    전엔 전체 비확장 동남향 아파트였는데
    오전해가 베란다만 데우다가 꼴딱 넘어가서 내내 어두컴컴하고 앉아 있으면 등시리고
    컴하고 있으면 손시리고 그랬어요

    지금은 전체 확장된 남서향인데 앞에, 옆에 가리는 게 없거든요.
    거실은 한낮엔 28도까지 오르고, 외벽인 안방도 난방 아예 꺼놨는데도 낮엔 21도까지 올라요.
    확장하면 추운줄 알았는데
    안그렇더라구요.

    둘 다 지은지 5년 내의 새 아파트예요.

  • 5. 꽃게
    '12.12.26 4:02 PM (14.35.xxx.65)

    글쎄 도시가스 요금은 제가 잘 모르는데
    너무 온도를 낮게 설정하면 오히려 비효율적인듯 해요.

    우리도 단독주택인지라 잠만 자는 윗층에는 보일러 16도 셋팅해두고 그대로 겨울지내요.
    잠 잘때는 양모이불이나 명주솜 이불 덮으면 아주 쾌적하게 잘수 있어요.

    하지만 활동하는 온도로는 12-3도면 너무 낮아요.
    내복입고 양말신고 겉옷 제대로 입고 지내는 생활도 제 경험상 20도정도 되어야 괜찮아요.

    그리고 자꾸 온도 낮췄다 올렸다 하는 것보다 일정온도로 셋팅해두는게 경제적이더라구요.

  • 6. 방향...글쎄요..
    '12.12.26 4:28 PM (59.7.xxx.45)

    저흰 일산신도시 18년차 아파트구요.
    남동향 약간 동쪽으로 더치우쳐 있는듯,,,

    저희동 라인은 딱 두세대니까, 한쪽이 사이드지요........

    제가 이집에 이사온지 4년째인데, 저흰 난방안합니다.
    지금도 남방안하고 거실온도가 21도네요.. 아주추운날은 18도까지 내려가는 것 봤습니다..

    아주 추운날도 밖에 나갔다 현관문 열고 들어가면, 훈훈한 기운이 들고요,
    바닥은 차지만 그다지 춥지는 않습니다,
    집에서 실내용슬리퍼신고 다니고, 그냥 추리닝입고사니까 별로 추운지 모르고지납니다.

    거실엔 전기원목매트있구요,아이들 방은 잘때 전기매트쓰고.
    저는 올해 흙침대로 바꿔서 40-43정도 올리고 사용하니까,
    건조하지 않아서 가습기 쓸 일이 없어서 좋구, 남동향이라서 1시 이후엔 햇볕이 사라지지만
    앞이 트인 16층이라서 그리 어둡지 않구요 반대편으로 햇볕이 들어오니까 그것도 괜찮구요...
    이번달 전기요금은 330K 정도로 5만5천인가 나왔네요..

    전엔 일산신도시내에 있는 건영빌라 살았었는데, 그집은 추웠거든요,,,,
    그래서 난방도 많이하고 가습기도 방마다 쓰고...
    이집은 안추은걸보면,
    지을 때 단열에 신경쓴듯 싶어요,,,

    그래서 방향이 큰 문제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 7. 음!
    '12.12.26 10:16 PM (116.122.xxx.18)

    꼭대기가 원래 넘 추워요..10층 꼭대기 지금 집! 오늘 아침에 일어 나니 13도더군요..1시간 30분 난방하니 16.4도네요.
    같은 동향 중간층 아파트 살때는 난방 안 해도 한 겨울에 22도였어요,.며칠 집 비우고 들어 가니 18도였던 적두 있지만요..또 지은지 1년된 롯데캐슬(남향.중간층)에서는 난방 안 해도 22도..북쪽 뒷방은 난방 안하면 16도로 내려 가더군요..난방하면 24도로 올라 갔어요

  • 8. 음!
    '12.12.26 10:17 PM (116.122.xxx.18)

    뭐니 해도 중간층.사이드가 아닌 속집..남향집이 따뜻하죠..

  • 9. 리아
    '12.12.27 12:20 AM (36.39.xxx.65)

    ㅠㅠ

    다음번 이사때 참고 하겠어요.

    답변 주신분들 복받으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5185 하우젠 쓰시는 분들 질문요 5 드럼 2013/01/05 882
205184 어제 자랑 배틀 댓글 다신분들 번개해요. 10 ㅎㅎ 2013/01/05 1,556
205183 성당의 압박.. 어렵네요 18 신앙 2013/01/05 6,461
205182 줌인줌에 믿음님 올리신 한겨레, 전남일보 시안 어느 것이 좋을까.. 1 의견 모아주.. 2013/01/05 1,089
205181 아올다 분위기의 그릇 사고 싶은데 잘 깨진다고 하셔서.. 5 한식그릇어떤.. 2013/01/05 2,383
205180 홈쇼핑 킹크랩 질문 좀요...^^ 3 네모돌이 2013/01/05 1,852
205179 스테인레스 냄비의 녹은 어떻게 닦나요? 4 질문 2013/01/05 2,219
205178 최진실 최진영남매 9 2013/01/05 10,188
205177 남편 몰래 돈을 어떻게..... 12 어쩌나 2013/01/05 4,675
205176 복지랍시고 아이들 무상교육 할 돈은.. 22 복지? 2013/01/05 3,017
205175 속설중에 발목이 가늘면 어떻다 하는말이 있지 않나요? 21 .... 2013/01/05 12,367
205174 풋필링팩 자주 해도 되나요? 2 꺼칠 2013/01/05 1,732
205173 아래 문재인 글, 친일독재 알바글입니다 3 쥐박탄핵원츄.. 2013/01/05 789
205172 회초밥요..^^ 1 vada 2013/01/05 1,113
205171 자동차 보험 외에 운전자 보험 따로 가입하셨나요? 14 보험 2013/01/05 2,053
205170 Cnn에 부정선거 관련 기사화를 위해 클릭해 주세요~ 5 2013/01/05 1,751
205169 고전 문학 소담꺼랑 민음사꺼 어떤걸로 읽어야 할까요? 중3 2 .. 2013/01/05 1,344
205168 코피를 심하게 흘리는데 영양제로 해결할수 있을까요? 5 2013/01/05 7,972
205167 셀프 빨래방 이용 3 ... 2013/01/05 2,770
205166 샌드위치한조각에 기분상한 친구 34 식탐맞죠? 2013/01/05 13,377
205165 생크림이 있는데 멀 해먹을까요?파스타말고용^^ 11 나나나 2013/01/05 1,861
205164 자동 개표기의 오류를 지적한 중앙선관위 1 부정선거 2013/01/05 1,043
205163 돈벌기위해 진로 바꾸는거....... 넘 무모할까요? 3 SJmom 2013/01/05 1,653
205162 둘째 임신 사실.. 아기없는 친구에게 어찌 전할까요. 18 어려워 2013/01/05 4,139
205161 성인a형 간염 접종비 얼마 정도 하나요? 7 귀엽샐리 2013/01/05 3,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