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힐링> 역사학자 전우용 교수님의 트윗 몇 가지

아리아 조회수 : 2,748
작성일 : 2012-12-25 18:41:45
힐링에 도움이 될 것 같아 가져왔습니다.

1.
예전에 미국에서 계층별 시공간관념을 조사한 적이 있습니다. 시간적으론 상위층은 과거에, 중위층은 미래에, 하위층은 현재에 관심이 많았답니다. 상위층은 자기성공을 정당화하려는 욕망이, 중위층은 현재 상태보다 나아지려는 욕망이 강했다는 거죠. 하위층은 하루하루 버티는 것조차 힘겨워 역사나 미래에 관심을 기울일 겨를이 없는 걸로 분석됐습니다. 공간적으로는 상위층은 세계에, 중위층은 국가에, 하위층은 자기 동네에 관심이 많았답니다. 하위층일수록 시야와 세계관이 좁아진다는 거죠.


2.
"내가 무슨 부자인가. 일본에서는 중산층도 못 되는데..." 염상섭의 소설 '삼대'에서 대지주 아들인 주인공이 친구에게 한 말입니다. 식민지의 상위층은 자기를 식민모국의 상위층과 비교하는 습관을 들여왔습니다. 식민지 상위층은 대체로 제국주의자들과 같은 관점을 가졌습니다. 그들은 제국주의자들의 시선으로 자민족을 봤습니다. 자기는 '문명인'으로 선진국민과 동격이고 자국의 하층민은 '야만인'이라는 관념이 강했기에, 민족의식이 희박할 수 밖에 없었죠.


3.
자국의 하층민을 야만인 취급하는 상위층과 그런 취급받는데 별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하층민이 결합하는 구조는 양극화가 심해질수록 고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회 전체가 신분제 시대로 퇴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 힘과 뜻을 모아야 할 듯합니다.


4.
'친일파 처단'을 못한 것보다 더 큰 문제가 '우리안의 식민주의'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한 겁니다. 역사교육을 축소하거나 '식민통치와 독재정치를 미화'하는 방향으로 역사교과서를 개편하면, '식민지 노예의식'도 다시 활개칠 겁니다.


5.
"우리나라 국민 수준은 선진국 따라가려면 아직 멀었어." 자기는 습관적으로 우리 국민을 선진국 국민과 비교하면서, 우리 정부를 선진국 정부와 비교하는 사람들 보곤 "북한으로 가라"는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이런 것도,'식민지 노예의식'입니다.


6.
어떤 부자 왈, "남미국가의 행복지수가 높은 건 빈부격차가 확실하기 때문이다. 남미 국가의 빈민은 헛된 꿈 때문에 스트레스받지 않는다." 국가와 사회의 '지도층'중에 이런 사람이 많으면, 우리나라도 남미 부패 국가처럼 될 겁니다.


7.
참고로 '헛된 꿈 때문에 스트레스 받지 않는 남미 빈민의 미덕'을 칭찬한 어떤 부자는, 자기는 미국 의사들에 비하면 너무 형편없는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정신과 의사였습니다.


8.
자기가 주역이었던 경제성장에는 '부채의식'을 가지면서, 자기가 무임승차한 민주화에는 오히려'적대감'을 표시하는 사람들이 꽤 많습니다. 이런 태도가 지배적인 세상에선 '미안함'과'부끄러움'이 사라집니다. 역사는, 돈으로 발전하는게 아닙니다.

9.
진 쪽에서 반성할 점이 분명 있을겁니다. 그렇다고 정말 반성해야 할 생각과 태도가 어떤 건지 잊어버리면 안 됩니다. 갈릴레이 시대에는, '태양이 지구 주의를 돈다'고 믿은 사람이 절대 다수였습니다.

출처: @histopian

9번에서... 아마 그때는 인구의 98%정도는 태양이 지구를 돈다고 생각했을 것 같은데요. 우리는 적어도 48%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2년에 2번 찍을 거면 계속 자라고 했던 제 동료 부모님도 이번엔 2번 찍으셨대요.

우리는 더디 가도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아리아^^

IP : 182.219.xxx.16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잃어버린 5년,,잃어버릴 5년
    '12.12.25 6:50 PM (222.101.xxx.82)

    자국의 하층민을 야만인 취급하는 상위층과
    그런 취급받는데 별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하층민이 결합하는 구조는 양극화가 심해질수록
    고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회 전체가 신분제 시대로 퇴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
    힘과 뜻을 모아야 할 듯합니다.

  • 2. ..
    '12.12.25 6:53 PM (211.176.xxx.12)

    일본의 온갖 방해공작에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켜냈던 분들의 후예들은 강합니다.

  • 3. ..
    '12.12.25 7:07 PM (110.14.xxx.9)

    맘을 울리네요...

  • 4. 더디 가도
    '12.12.25 7:36 PM (218.238.xxx.188)

    우리는 더디 가도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 이말 참 좋아요. 희망을 가지고 살 수 있게 해주네요.

  • 5. ***
    '12.12.25 7:39 PM (119.71.xxx.184)

    이분이 쓰신 "오늘 역사가 말하다" 란 책을 요즘 읽고 있는데요.

    흥미진진한 역사적 사실을 오늘의 사회.정치 현상등과 풀어서 재미있게 쓰셨더라구요...

    고개가 끄덕여지는 교훈적인 내용도 많고...강추에요..

  • 6. ...
    '12.12.25 8:33 PM (39.113.xxx.36)

    저도 요즘 트위터에서 이 분 글올라오면 관심있게 봐요
    고개 끄덕여지는 내용 많던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7485 편의점이나 도시락전문점 도시락. 먹을만 한가요? 6 2013/01/17 1,349
207484 웃어요 웃어요 2013/01/17 860
207483 자영업자인데 남편 의료비 공제 되나요? 3 // 2013/01/17 944
207482 애슐리 스테이크 맛있나요? 당산점 4 ᆞᆞ 2013/01/17 1,321
207481 연말정산- 총급여액vs 근로소득금액 잘 모르시겠는분 보세요~ 2 으니맘 2013/01/17 9,557
207480 중학생 공부못해도 인문계 고등학교는 다 가죠? 15 질문 2013/01/17 13,322
207479 요즘같은 날씨 60데니아 괜찮을까요? 1 스타킹 2013/01/17 1,353
207478 중학생 하교시간 알려주세요 언니들... 9 야옹 2013/01/17 17,879
207477 영어책 대여하는 곳 소개부탁드려요. 2 꼭... 2013/01/17 2,015
207476 친정어머니가 5년째 못받고 있는 삼백만원 받으려면 12 꿔준 돈 받.. 2013/01/17 3,160
207475 배우자 공제에 대해서 물어봅니다 7 연말정산 2013/01/17 759
207474 노동부 공무원 이마트와 유착 주붕 2013/01/17 521
207473 전을 바삭하게 구우려면요 18 2013/01/17 14,942
207472 처음가입했어요^^ 4 슈퍼코리언 2013/01/17 390
207471 쏠비치 겨울도 갈만한가요 4 2013/01/17 1,646
207470 영화 좋아하시는 분들...부탁드려요~~~ 7 귀네스팰트로.. 2013/01/17 579
207469 대구 중학교 교사, 백년전쟁 상영이 왜 물의? 뉴스클리핑 2013/01/17 642
207468 북한한테 자꾸 돈을 왜 줘야하나요 17 아래글이어서.. 2013/01/17 1,712
207467 이번 일요일 자동차로 화천가려는데 오가는길 많이 막힐까요? 1 2013/01/17 478
207466 세금잘아시는 분 조언좀!!(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관련) 3 ^^ 2013/01/17 1,986
207465 조울증이 점점 심해지네요...ㅠㅠ 1 쉰둥이 2013/01/17 1,662
207464 돈떨어지니 금단현상 심하네요 2 2013/01/17 1,715
207463 (연말정산관련) 부끄럽지만 작년 수익이 500만정도 되는 것 같.. 2 ... 2013/01/17 1,124
207462 아이 안경 한쪽 알만 기스가 넘 났는데 왜 그럴까요? 3 안경 2013/01/17 1,157
207461 아이디어 구해봅니다 6 아이디어 2013/01/17 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