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5평 전기요금 13만원

.. 조회수 : 5,553
작성일 : 2012-12-24 23:59:32
이사한집 관리비 고지서 보고 놀랐어요
제목처럼 월 10~15만원이 나왔더라구요
집에 등이 많은편인데 그래서일까요?
보통 25평 아파트 전기요금이 얼마나 나오나요
저정도면 많이 나오는거죠?
IP : 121.183.xxx.175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25 12:03 AM (1.247.xxx.41)

    33평 2만오천원이요. 냉장고, 김냉, 세탁기 매일돌리고, 비데, 티비, 컴퓨터 두대 있구요.
    정수기 않쓰고 평소 코드 다뽑아놓고요. 특히 전기 밥솥의 코드를 뽑아놓으니 사천원정도 더 절약되더군요. 그전엔 삼만원 나왔어요.

  • 2. 복단이
    '12.12.25 12:03 AM (175.124.xxx.112)

    진짜 어마어마한데요.
    전등은 해봐야 전력 소모량이 그리 크지 않아서 전등이 많다고 그리 전기세가 많이 나올 리가 없을텐데요.

  • 3. ..
    '12.12.25 12:05 AM (203.100.xxx.141)

    33평님은 어찌 그 금액이 나오나요???

    저희집....티비 안 보고...냉장고 김냉...컴....세탁기...밥솥.....33평님 보다 더 많이 나오는데.....;;;;

  • 4. ㅇㅇ
    '12.12.25 12:12 AM (211.237.xxx.204)

    전열기가 많이 사용하시겠죠...
    냉장고나 히터나 뭐 이런거;;

  • 5. ...
    '12.12.25 12:16 AM (1.247.xxx.41)

    위에 33평 댓글이인데요.
    코드만 뽑아놔도 10퍼센트 절약된다고 그러잖아요. 그리고 밤엔 전등을 꼭 필요한 곳에만 켜요. 전기밥솥 코드 빼놓은게 결정적이에요. 밥할때와 뎁힐때만 꽂아놔요.

  • 6.
    '12.12.25 12:20 AM (180.70.xxx.8)

    엄청나왔네요.저도 오늘 전기요금나왔는데 33평 235kw 사용했고 29.120원 나왔어요.
    항상 300kw 나왔는데 몇달전부터 티브나 컴.세탁기 등등 사용후 코드뽑아버릇 했더니
    저정도 나오네요..앞으로 실천해보세요..확줄어요

  • 7. 많네요?
    '12.12.25 12:25 AM (125.135.xxx.131)

    우리 집 38평 3만 3천원 정도?
    58인치 구형 티비 없에고 나니까 2만원 돈이 줄대요?
    이후 전기는 아낌없이 쓰는 편인데 이 정돈데요.
    많이 나오는데 새는 곳 없는지 점검해보세요.

  • 8. 00
    '12.12.25 12:28 AM (211.234.xxx.55)

    39평입니다.. 아들둘이라 빨래 자주하고.. 46인치 벽걸이 티비.. 다른집있는것다있어요.. 겨울에 38000원 나오는데요... 근데 제가 좀 절약하는 편이긴해요...

  • 9. 지혜를모아
    '12.12.25 12:31 AM (223.62.xxx.34)

    세탁기코드를 잘 뽑아놓으셔도 좀 줄어요.

  • 10. 우리집
    '12.12.25 12:46 AM (116.121.xxx.79)

    50평 이번달 235kw 써서 29,120원이네요.
    항상 비슷하고 여름에 1~2만원쯤 더 나오고요.
    제가 생각해도 저희집 전기료는 미스테리예요.
    소형가전에도 집착해서 없는것 없이 있고 남달리 전기절약하는 것도 없는데
    이집 전에 40평대를 살때도 그랬고 지금도 전기료는 적게 나오는것 같아요.

    42인치구형PDP TV->요건 평일엔 저녁에 뉴스 하나랑 드라마 하나만 보고 주말은 토, 일 12시간정도씩
    평일 티브이 사용시간이 긴편은 아닌 것 같네요. PDP라서 시청시간이 길면 전기료 폭탄일텐데
    홈시어터->티브이를 안 볼때는 거의 이게 돌아가요.
    컴퓨터-> 종일 가동 잘때만 꺼요.
    김냉->입주때부터 있는 빌트인. 용량이 큰건 아니예요.
    냉장고
    전기압력밥솥->한번 밥하면 이틀은 먹어서 그냥 내내 사용하는편
    드럼세탁기에 건조기도 있어요.가스건조기지만 전원을 키고 사용하는거라서
    그외 자주쓰는게 커피머신,토스터기 제빵기, 전기포트, 쥬서기, 남들 다 쓰는 전자렌지에 가습기에
    썰렁한 느낌이 들면 전기난로도 가끔씩 사용하고요.
    하다못해 화장실에 방향제 같은것도 플러그 꽂아서 사용하는건데 전기료는 항상 제 예상을 밑도네요.

    유일하게 전기 절약한다고 신경 쓰는게 코드마다 차단스위치 달린 플러그를 하나씩 더 꽂아서
    가전 사용 안할때는 스위치 자체를 꺼버려요.

  • 11. 많네요
    '12.12.25 12:47 AM (222.236.xxx.211)

    48평인데 3만원정도 나와요
    양문냉장고랑 작은김냉,꼬마냉장고 양념저장용 하나... .42인치 엘씨디티비,32인치 브라운관 티비, 전기밥솥은 자주 안쓰고, 전기요 몇시간씩 사용하구요...
    줄이도록 노력해보세요
    전등도 엘이디등으로 바꿔보시구요

  • 12. 33평
    '12.12.25 1:02 AM (222.121.xxx.75)

    33평인데요.저희집 16000원 나왔어요. 지금 요금 11월사용료구요..
    올해중에선 최저요금으로 나왔네요. 여름에 에어컨틀때빼곤 왠만하면 2만원안으로 쓰는것 같아요.
    전기밥솥,정수기 안쓰고, 전기매트는 밤에 2개 씁니다.
    밥솥,정수기 쓸때랑 비교해도 만원안팍 차이이긴 합니다.
    되도록 멀티탭쓰시면 절전은 확실히되더라구요.

  • 13. 혹시 전등중에서
    '12.12.25 2:50 AM (116.39.xxx.185)

    미술관처럼 작은 백열 전등이 안으로 들어간, 함몰된 형태인가요?
    제가 그전등의 명칭을 몰라서요ㅠㅠ
    그런 전등이 저희 집에도 있는데,( 관리실 직원이 마루 등을 교체해주면서 하는 말이)
    그런 전등이 분위기도 있고 멋있어도 ,작아도 전기값이 아주 고약하게 많이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 14. 슈팅스타
    '12.12.25 5:47 AM (121.181.xxx.69)

    39평 25000 원 멀티탭 효과라 생각해요

  • 15.
    '12.12.25 6:26 AM (125.181.xxx.219) - 삭제된댓글

    33평인데 이번달에 40,500원 나왔어요 -.-
    윗분들은 평수도 넓고, 가전도 저보다 훨씬 많은데도 불구하고 전기세는 적게내시네요.
    저같은 경우엔 밥솥 365일중 350일 정도는 코드 24시간 켜져있고 김냉, 일반냉장고, 세탁기, 구형티비두대,
    오븐,제빵기(겨울에만 가끔 과자와 피자 빵때문에 한달에 서너번 돌려요) , 커피내리는거는 겨울에만 어쩌다 몇번 내려먹고, 전기주전자, 아이들이 샤워할때 추울까봐 히터 10분정도 틀어서 뎁히고, 청소기는 청소할 시간자체가 많지않기에 잘 안돌리고, 전기어항과 물고기들 추울까봐 안에 들어가는 전기히터, 겨울에 전기장판 없음 못살아서 전기장판 두개가 있는데 넘 추위를 타기에 밤새 틀어놓고,
    보일러는 저녁 5시 30분쯤 틀었다가 잠잘무렵 9시중반경에 껐다가 다시 새벽 3~4시에 일어나면 틀어놓고 애들학교가고 저 나갈무렵 9시쯤 끄는게 전부인데 저리 나오는데 이거 전기세에 문제가 있는거 같어요.
    세상에 보일러도 안틀고 전기장판도 안트는 5월과 6월 9과 10월에도 많이나왔는데 아직 겨울날려면 멀었는데
    몇개월에 한번씩 살살 가격 올리고 일년도 안돼서 무슨 세금을 이리 때리는지.. 2년에 한번 3%정도 올려도 많이 올렸다 할판에 말이져...
    독거노인이나 소년소녀 가장, 불우한 이웃을 위해 전기세, 가스비, 수도세 정말 올리면 안돼는데 무슨
    겨울초입 11월만 돼면 아파트 고지서에 난방비와 전기세, 수도세 1kw 당 인상 됀다는거 고지하잖아요. 매년마다.짜증나~
    춥고 더운 계절엔 수요도 많을테니 오히려 냉난방비와 수도세가 가격다운해야 맞는데도 이러니 없는사람은 겨울에 다 얼어 죽고 찜통더위에 더위먹어 죽어야겠어요 ㅡㅡ,,
    일반 서민들이 돈도 없고 이쁜 애들이랑 방이라도 뜨시게 때야 서럽지나 않은데요.
    4월부터 11월까지 동네 돌아다니는 고양이들 많더니 다 얼어죽었는지 한마리도 안보이네요..쩝.
    원글님은 대단히 많이 나온거네요 -.-;;;; 무슨 이유인지 한전이나 관리사무소 점검이 필요해 보여요.

  • 16. 32평
    '12.12.25 9:43 AM (180.65.xxx.11)

    7살 아이 하나 있는 세식구.
    냉장고, 세탁기, 21인치 lcd모니터 달린 컴 24시간 꽂혀있음.
    컴은 하루 10시간 정도 켜져 있음.
    전기주전자, 전자렌지 수시 사용. 사용시간은 짧음, 커피 물 끓이기, 음식 1분 데우기 등등.
    전기 압력밥솥 사용. 취사 후 꺼놓고, 종종 보온재가열해서 먹음.
    전등 켜져 있음.
    밤에 전기장판1장 사용.
    TV없음.
    김냉없음.
    해서
    평균 18,000~19,000원 나와요.

    14인치 작은 뚱땡이 TV 없앴더니 2만원 밑으로 내려가네요
    그거 있을 땐 21,000원 정도...

  • 17. 혹시...
    '12.12.25 10:58 AM (39.118.xxx.179)

    집에 할로겐 등 같은거 오래 켜두지 않으셨나요?
    다른 사이트에서 본건데 집에 전자기기가 없는데도 9만원정도 나온대서 의아했는데
    밤새 할로겐등을 수면등 대신으로 켜두셨더군요...
    또는 온풍기같은 전기먹는 하마가 있진 않으신지... 집에 전자기기 소비전력 함 확인하고 따져보세요.
    그렇게 안될것 같은데 많이 나온다면 한전에 문의한번 해보세요.

  • 18. 전기 계량기
    '12.12.25 12:07 PM (121.88.xxx.128)

    돌아가는 걸 확인하시면서 전열기구를 작동해보세요. 확실히 전력 많이 드는 가전제품이 있더군요. 사용시간이 짧으면 괜찮지만 장시간 사용하는 가전제품은 가능하면 1등급으로 사고, 삼파장 LED등 처럼 전기 덜드는 것으로 바꿨어요.
    대기 전력 줄이려고 절전 1구 콘센트 사용해요.
    멀티탭도 스위치가 여러개인 걸로 준비해서 안쓰는 곳은 스위치를 꼭 끄고요.
    전기 밥솥도 보온 시간이 길어지면 전기 많이 사용하게 돼서, 양이 적으면 코드를 꺼요.
    선풍기형 난방제품하고 오래된 냉장고가 전기 많이 든다고하더군요. 누전되거나 옆집하고 계량기 선이 바뀐 집도 간혹가다 있기도 하고요. 아파트일 경우에 관리실에서 한전하고 전기요금 계약하는 방법에따라 요금이 틀려진단 기사도 봤어요. 여름에 5만원 정도 사용시 만원 정도의 가격 차이가 나더군
    요.

  • 19. 33평
    '12.12.25 2:05 PM (101.235.xxx.220)

    세탁기. 데스크탑이랑 노트북 거의 하루 12시간 이상 사용. 티비 12시간 이상 틀어놈. 냉장고 작은것.
    전기료 2만원 나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5422 카우치쇼파? 비좁아 2013/01/12 610
205421 저는 모으는 걸 좋아해요. 1 이야기 2013/01/12 992
205420 카페 레스빠스 정말정말 2013/01/12 422
205419 욕조에 검은색 염색물이 들었어요ㅠ 4 레몬맛 2013/01/12 1,513
205418 불면증에 좋은 라벤더오일은 어디것이 좋을까요? 3 눈과 보석 2013/01/12 1,641
205417 딴지 컵 계좌이체 2013/01/12 364
205416 할라피뇨는 어디에서 팔아요? 2 민심은천심 2013/01/12 1,192
205415 냉동 시래기..맛있는 조리 방법 있으면 알려주세요^^ 5 신수정 2013/01/12 4,109
205414 전세온지 일주일됐는데 집판대요 4 ㅁㅁ 2013/01/12 2,452
205413 외식후속이니글거려요 5 ㅠㅠㅠㅠ 2013/01/12 851
205412 사라지는 빨래 18 궁금 2013/01/12 4,253
205411 강원도로 귀농하고 싶어요 6 귀농 2013/01/12 2,012
205410 경희대 공대생 있어요? 2 대학 2013/01/12 1,443
205409 오늘 우리신랑 일과좀 봐주세요. 15 ㅇㅇㅇ 2013/01/12 2,448
205408 어린이집 3년째인데 제대로 사귄 애 친구 엄마가 없네요 2 .... 2013/01/12 1,287
205407 아이들 간식 어떤 거 주세요 ? 2 질문 2013/01/12 674
205406 냉장고 열무김치 1 화초엄니 2013/01/12 361
205405 데이터완전차단서비스 문의드릴께요! 딸기맘 2013/01/12 389
205404 경북지역에서 염산누출로 주민 760명 긴급대피 4 이계덕/촛불.. 2013/01/12 1,686
205403 김황식이 능력이 있나봐요(펌) 2 ... 2013/01/12 1,173
205402 정시 추합 작년과 비슷할까요? 3 추합 2013/01/12 2,122
205401 "손수조가 새누리 20대 얼짱? 기사제목이 유머&quo.. 1 이계덕/촛불.. 2013/01/12 1,054
205400 혹시 토르플 학원 추천 해주시겠어요? 1 sunny 2013/01/12 676
205399 할거 다 하고 집에 갈까요, 아님 집에가서 할까요 3 32주 임산.. 2013/01/12 787
205398 대한문 촛불집회 방송 링크좀 부탁드려요. 3 어디서 2013/01/12 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