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조정래<태백산맥> 왜 읽어야 하는지 한마디씩만 해주세요..

맥주파티 조회수 : 3,439
작성일 : 2012-12-24 16:18:36

이 책이 예전부터 꼭 읽어야 하는 책이다라는 글을 자주 접했는데요.

제가 소설, 특히 장편 소설을 정말 좋아하지 않아서 선뜻 마음이 안 가요.

그럼에도 사람들이 봐야한다고들 하시니 궁금도 하구요..

쓰면서 창피하긴합니다..

IP : 14.42.xxx.49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24 4:19 PM (211.206.xxx.23)

    왜 꼭 읽어야 하는 책인지 읽는내내 느낄 수 없었던 저로서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 2. ..
    '12.12.24 4:20 PM (220.85.xxx.38)

    1권만 일단 먼저 보시면 책에서 손을 못 놓아요

    태백산맥 전권 보시고 나면
    의식도 의식이지만
    소설을 대하는 수준이 높아져요

  • 3. 걍..
    '12.12.24 4:21 PM (203.142.xxx.231)

    재미있어요.
    글빨 좋은 글을 좋아해서
    대하소설은 종합선물 세트처럼 좋아합니다.
    아리랑, 객주, 토지 또 뭐더라.. 암튼 끝까지 못읽었는데
    태백산맥이랑 한강.. 재미있었습니다.
    특히나
    한강은 너무 너무 너무 재미있어요.

  • 4. 름름이
    '12.12.24 4:22 PM (99.224.xxx.228)

    의식의 전환.

  • 5. 틈새꽃동산
    '12.12.24 4:22 PM (49.1.xxx.179)

    이번에 투표안한 2030 그 책을 읽었으면 투표했을겁니다.

  • 6. 토하젓, 진달래꽃, 꼬막
    '12.12.24 4:28 PM (203.142.xxx.231)

    전 소설을 읽을때 어느 한 부분에 홀릭하는 경향이 있더랬는데
    비싸게 팔리는 토하를 하나하나 논에서 열심히 잡다가 한순간 놓쳐버린 굶주린 엄마와 아이
    그리고 서울서 시골 피난와 진달래와 철쭉을 구분 못한 아이가 배 터지게 철쭉 꽃을 따먹다 배 앓이로 죽는 장면..
    그리고..
    섹시한 외서댁과 꼬막..
    기억 나네요.
    작품 배경이 벌교라그런지..
    벌교 출신이라 하면 왠지 신기하고 그랬어요.

  • 7. ..
    '12.12.24 4:28 PM (211.176.xxx.12)

    아리랑-태백산맥-한강

    요렇게 한 세트죠. 아리랑은 일제시대, 태백산맥은 해방전후, 한강은 산업화시기를 파노라마처럼 엮어놓았죠. 사극을 보는 효과와 같습니다.

  • 8. 추천
    '12.12.24 4:31 PM (222.236.xxx.253)

    한국사를 이것보다 쉽게 풀어 놓은 책이 있을까요?
    이책을 제대로 읽은 사람이면
    좌빨 빨갱이 논리에 빠지지 않을 뿐더러
    왜 모든 이슈를 빨갱이로 덮으려고 하는지도 알게될겁니다.

  • 9. 재미
    '12.12.24 4:31 PM (61.21.xxx.254)

    윗분들 말씀처럼 그냥 재미있었어요.
    저도 장편 싫어하는데 집에 우연히 있어서 읽기 시작했던 거 같아요.
    끊을 수가 없었어요..^^ 유일하게 부담없이 읽어낸 장편인 것 같아요.
    의식도 의식이지만 정말 재미있었어요.
    영화도 보러갔었네요..물론 소설보다 디테일이 못하지만.^^

  • 10. indl
    '12.12.24 4:34 PM (122.203.xxx.66)

    해방 후 남한의 상황. 민족주의자와 좌익 세력의 의식. 그리고 민중의 저항의식을 엿볼 수 있는 책이예요.
    캐릭터 한명 한명의 서사가 살아있고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저 같은 경우는 하루에 두 세권씩 순식간에 읽었습니다.

  • 11. indl
    '12.12.24 4:35 PM (122.203.xxx.66)

    한강을 읽으면서는 이건 1970년대 한국의 미시사연구를 읽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

  • 12. 뭐 사실
    '12.12.24 4:38 PM (122.37.xxx.113)

    금기시 되어왔던 근현대사에의 다각적 조명이라든가 서사적 구조를 그만큼 끌어가는 역량 면에서 높이 사는 거지
    문학 자체로서의 미려함이 주는 감동은 별로 없었어요. 그놈의 겨울 꼬막 여자 비유 지겹기도 했고.
    근데 그 시대를 살아가는 주인공들의 처절한 사투는 정말 숨가빠서 몰입도는 정말 높아요.
    태백산맥을 왜 꼭 읽어야 하냐는 질문에 대한 답은 한마디로 '현대' '한국'을 살아가는 우리가
    해결해야할 근원적인 과제, 그러나 언제나 미뤄지고 있는 문제를 잊지 않기 위함이다 정도가 될 거 같아요.
    그리고 윗님... 저도 말씀하신 그 2030인데요, 어느 세대인들 의식이 부족한 사람들이야 없겠느냐만,
    대학 도서관에 가면 정말이지 대출순위 탑 몇 안에 꼭 드는 책이 태백산맥이예요.
    실제로 보면 책들이 정말 닳고 닳을 정도로 많이 봐요. 그리고 또 제본해서 나오면 또 닳고 닳고..
    이번 투표는 일부 대가리 텅 빈 젊은 세대들의 직무유기만큼이나,
    독재정권 밑에 골수 자체가 세뇌되어비린 기성세대의 역습이 치명적이었지 않나 싶은데요.
    오죽하면 뉴스에까지 나왔잖아요. 아들이 문재인 뽑으라고 하길래 알았다고하고 박근혜 뽑았다고.
    그 아주머니 말씀이 뭐 '뭔가를 보여줘야겠다' 였나 뭐였나 비슷한 거였는데.
    한마디로 주둥이 잘난 진보들 엿먹어봐라 그런 의식이 노년층에 팽배한 거 같더군요.

  • 13. dd
    '12.12.24 4:46 PM (211.217.xxx.253)

    그노무 "빨깽이"소리가 실제 무슨 소리인지 아시게 될거에요.

  • 14. l..
    '12.12.24 5:05 PM (175.253.xxx.85)

    전라도가 왜 빨갱이라고 불렸는지 알게 됩니다...

    내가 보수좌빨이 된계기가 태백산맥때문이지요..
    읽어보시면 절대 후회는 안하실껍니다...

  • 15. 첫댓글
    '12.12.24 5:24 PM (175.196.xxx.139) - 삭제된댓글

    초딩이세여???
    .......
    전 15년만에 한질 새로사 봤네요
    이번에 보니 더 재밋었어요
    명작은 역시 시공을 초월하갰죠

  • 16. 윗님
    '12.12.24 5:30 PM (211.206.xxx.23)

    175,196님 유치원 야간 나오셨어요????

    베스트셀러라고 다 감동하나요??

    명작이라고 다 감흥이 오는건가요???

  • 17. ...
    '12.12.24 7:40 PM (175.201.xxx.71)

    저는 너무 재미있게 읽어서 첫댓글님이 이해불가.
    게다가 또 달아놓은 댓글도 유치..


    빨갱이가 뭔지..6.25전쟁이 뭔지..아.. 다시 한번 읽어야겠어요.
    저는 몇번을 사서 ..읽고 또 누군가에게 주고 또 사고 ..그랬습니다.

    조정래님은 며느리에게 그 책들을 필사시켰다고하지요.
    그 책들을 쓰는 동안 감옥에 갇힌듯..온몸이 망가지고..
    우리에게 그런 작가분이 계시다는 것도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요.

  • 18. 저도
    '12.12.25 12:46 PM (114.203.xxx.166)

    대학다닐때 읽어었는데, 댓글보다보니 다시 한번 쭈~욱 읽어봐야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7437 '박정희는 친일파' 동영상 수업…진상조사 16 사탕별 2013/01/17 1,187
207436 노스페이스 구매대행하는 곳 좀알려주세요 2 노스 2013/01/17 904
207435 의료비소득공제 질문이요.... 9 알려주세요 2013/01/17 932
207434 어깨가 아파서 힘찬병원가려는데 ~ 4 어깨 2013/01/17 1,722
207433 드롱기 ECO-310 에스프레소 머신 사려고 하는데요 5 !! 2013/01/17 1,672
207432 아이들이 좋아할만한 .. 2013/01/17 370
207431 제주 가는데 귤이나 한라봉 어디서 사면 좋을까요? 7 제주조아 2013/01/17 1,426
207430 레미제라블 10th 누구 노래연기가 제일 좋으세요? 20 유투브 2013/01/17 1,908
207429 장터물건 사는 사람이 재활용통은 아니잖아요! 7 ... 2013/01/17 1,353
207428 청주공항 민영화 무산…경실련 "정부사과해야".. 뉴스클리핑 2013/01/17 428
207427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남에게 조종당해서 아이 죽인..... 18 내가 냉혈한.. 2013/01/17 5,016
207426 코치 어디가 젤 싼가요? 4 ᆞᆞ 2013/01/17 1,450
207425 시어머님이랑 같이 사는 이야기 함 써봐요. 29 합가. 2013/01/17 4,163
207424 홀로서기 1 결정 2013/01/17 664
207423 회사에서 여자 신입이 당당히 남사원들과 담배를.... 92 충격 2013/01/17 16,546
207422 한진택배 망했나요? 왜이렇게 전화가 안되죠?? 4 전화좀받아 2013/01/17 976
207421 장례식에 박카스 사들고 가는게 일반적이진 않죠?? 32 장례식 2013/01/17 10,453
207420 계절마다 옷 사는 남편분 계시나요? 12 ... 2013/01/17 1,386
207419 셋째임신... 19 셋째 2013/01/17 3,376
207418 씨티골드? 아니면 다른 은행 vip? 4 까밀 2013/01/17 3,074
207417 고깃집 파무침, 어떻게 하나요? 15 파,파, 파.. 2013/01/17 2,949
207416 공부하려고 테블릿 PC 사는거 어떤가요? 2 ... 2013/01/17 796
207415 블루스퀘어홀 가보신 분께 여쭤요 5 ... 2013/01/17 3,791
207414 30대 후반, 편하게 맬 크로스백 어디서 사야 할까요? 가방 2013/01/17 611
207413 5세남아 무릎이 간헐적으로 아프다네요. 12 지나치지 마.. 2013/01/17 3,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