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들 절약이나 경제 관념 어떻게 가르치시나요?

@ 조회수 : 2,111
작성일 : 2012-12-24 13:16:54

6,8살 엄마예요. 저의 어머니도 어렸을 적 저에게 절제,절약등을 가르쳐주시지 않으셨고, 저도  개념이 없었어요.

근데 월급받고 사회생활 시작하니 참 소비 절제가 안되더라구요.

아끼는 것 같아도 항상 카드값 많이 나오고,저축도 많이 못했고... 습관 바꾸기가 참 힘들었어요.

알뜰한 분들 정말 부럽고,아쉬운 점이 많아요...

반면, 형님네는 아이들이 어렸을 적부터 잘 훈련시키시는 것 같아요.

저희도 따라하기는 하는데, 다들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해서요...

IP : 14.32.xxx.7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2.24 1:20 PM (211.237.xxx.204)

    애들은 그냥 엄마 아빠 하는것보고 배웁니다.
    물론 좀 천성도 있긴 해요.
    저희 친정부모님이 엄청 알뜰하신 분들인데 저는 좀 소비성향 제 남동생은
    엄청난 짠돌이 그랬거든요.
    근데 저도 이젠 엄청난 짠순이가 됐어요.
    남편이 좀 짠돌이거든요..
    평편상 쓸돈도 별로 없고 ㅎㅎ
    저희딸 있는데 고등학생인데 얘도 엄청난 짠순이에요.
    그냥 부모 보고 배우는게 많은듯..

  • 2. 이게멘봉일쎄
    '12.12.24 1:21 PM (218.152.xxx.206)

    전 어렸을때 지나치게 경제관념 심어주는건 안 좋다고 생각해서요.
    어려서 남들이 가진것도 가져보고 해본것도 해보고 소비를 좀 누려야 나중에라도 오히려 원한이 없는것 같아요. 요즘 서점에 아동 경제서적 나오는 것 보면 위험한것 같아요.. 어렸을때는 창작/명작/고전 많이 읽는게 중요하죠.

    애들도 다 자기 살궁리 하기때문에 너무 걱정 안해도 될것 같아요.

    단지 일부러 지하철도 타고 버스도 타고 다니고, 떼쓴다고 사주지 않고요. 현명한 소비 하는걸 가르치려고는 노력하죠. (저는 택시타고 다녀도 애들 있을때는 일부러 지하철 타고 그래요..)

  • 3. nyk
    '12.12.24 1:25 PM (1.177.xxx.33)

    우리엄마가 어제 저한테 이말했는데...ㅎㅎㅎ
    근데요 우리엄만 우리들 어릴때 바빠서 경제관념 안심어주셨거든요.
    그런데도 저는 대딩때까지 경제관념 완전히 없구요
    울여동생은 경제관념이 장난아닙니다.
    그냥 전 이런게 타고나느것 같더라구요.
    우리동생은 어릴때부터 자기돈.자기몫에 대한 구분이 철저했거든요.
    저는 내돈이 니돈이고 니돈이 내돈이고.뭐 좀 노인네 같은 마인드라..

    우리엄마가 티비에 어느 강사가 나와서 애들 주식공부시키면 경제관념생긴다는 말 듣고 저보고 그렇게 가르쳐라 그래서..전 싫다고 했어요.
    그게 독이 될지 득이될지 아무도 모르는거다 하고 말이죠.
    어릴땐 생각없이 써봐야 개념이 잡힌다고 생각해요
    써봐야 돈이 안모이는이유.모아봐야 돈이 모이는이유에 대해 나름 자기 생각이 생기죠.
    가끔 우리애가 그날 들고간돈을 아무 생각없이 쓴날.또는 친구들이 무언갈 사는데 자긴 그걸 못샀을때..
    그땐 정리해줍니다.
    만약 네가 그전에 푼돈을 모았다면..하나쯤사지 않았겠냐 하구 말이죠.
    초딩때는 이런걸 이해못했고. 좀 크고나선 아하..아차 이런 마음을 내비치더라구요.
    모아야 큰걸 하나 이룬다는걸요.
    지금은 그정도만 판단하게 하고 있어요.
    쌈지돈이 있어야 굴릴수가 있잖아요

  • 4. 또이뽀
    '12.12.24 1:26 PM (125.178.xxx.153)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시지 마시고 작은것부터 조금씩 가르쳐요..물 절약 전기 절약 이런것부터요..물을 왜 절약해야 하는지 알려주고.. 또 어린이 집에서도 배워 오드라구요..사고 싶은거 있어도 다 사주지 않고 꼭 필요한 것인지 생각하게 하고 등등... 이웃집은 사달라는거 다 사줘 버릇하니까 안사준다는 것에 대한 이해가 없드라구요..어려서부터 우리집의 경제 형편을 조금씩 공개하는 것도 좋아요...

  • 5. ....
    '12.12.24 1:27 PM (175.209.xxx.245)

    기본적인 개념(수개념, 돈을 주고 물건을 산다는 개념등..)이 갖춰져있을때...가장 좋은건 일주일에 용돈을 얼마 주고, 그 금액을 스스로 컨트롤 해보는 경험인것같아요. 어릴때는 자제력이 약하니 일주일, 좀 더 크면 이주에 한번, 중딩이상이 되면 월에 한번 이런식으로요.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배분해서 써야하나를 알아야죠.

  • 6. 엄마
    '12.12.24 1:45 PM (125.135.xxx.131)

    영향이 큰 거 같아요.
    엄마가 돈돈 하면서 아끼고 전기 딱딱 끄고 늘 아끼자 이런 말 하면 자연히 아이도 습득하는 거죠.
    특히 큰 애들이 잘 습득하고 작은 애들은 그 반동으로 오히려 잘 쓰는 애들이 많은 거 같구요.

  • 7. 저두
    '12.12.24 1:57 PM (122.40.xxx.41)

    애들한테는 물절약. 전기절약.학용품절약. 음식 먹을만큼 푸기.
    그 정도만 잘 가르쳐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어른돼서 그것도 못하는 사람 천지잖아요

  • 8. ..
    '12.12.24 2:28 PM (182.215.xxx.17)

    유치원에서 물,전기 아껴쓰기 배워와서 엄마 아빠한테 잔소리 할 때
    흐뭇하죠.. 9,6세 두 아이에게 신발정리. 수저놓기 심부름 시키고 주 1회 천원주고 있어요
    밖에 노점에서 간식 사먹을때 직접 사오도록 하면서 1천원의 가치에 대해
    조금씩 얘기해요.. 어린이 통장에 저축도 하고요 항상 아빠가 이 추위에/이 더위에 불구하고
    너희를 위해 출근하신다를 강조해요...

  • 9. 법륜스님이
    '12.12.24 3:19 PM (121.157.xxx.79)

    그러셨어요. 제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옮기는건지는 모르겠는데요.
    엄마가 너무 절약을 강조해서 돈을 안쓰면 열등감이 형성될수 있고,
    엄마가 너무 돈을 많이 쓰면 애가 돈이 귀한줄모르고 절약을 못배운다.
    돈을 대하는 엄마의 마음 상태가 중요하다...
    돈을 절약하되 애가 열등감이 형성되지않게 절약하는게 중요하고 , 돈을 쓰되 정말 합리적인 소비를 해야 한다고 그래야 애가 나중에 돈이 없어도 열등감이 형성되지 않고 돈이 많아도 절약할수 있다고 ...
    (아무래도 제가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것 같아요. 한번 찾아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7125 카드 가계부 - 뭐 이런 종류 엡 아시는 분,,,, 4 제발 절약 2013/01/16 1,055
207124 참기름이 깨져서 배달되었어요 7 에휴 2013/01/16 1,236
207123 아이폰4문의드려요 6 고민맘 2013/01/16 795
207122 중고생가구 7 봉지커피 2013/01/16 1,722
207121 오원춘이 무기징역이라는데.. 2 빵수니 2013/01/16 1,193
207120 눈썰매장에 무빙워크 없나요? 상암월드컵경.. 2013/01/16 874
207119 요새 지하철 경로석에는... 6 Das 2013/01/16 1,575
207118 연말정산 관련 질문이요 1 세금 2013/01/16 658
207117 헝가리에서 사올만한 것은? 11 lemont.. 2013/01/16 4,023
207116 등산용 아이젠 추천해주세요 7 편안한 저녁.. 2013/01/16 2,495
207115 닭 튀겨 보려는데 튀김반죽? 7 노랗게 2013/01/16 1,676
207114 대구동성로 맛집 알려주세요 4 성형전 2013/01/16 945
207113 회사 상사한테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집에서도 괴로워요 3 휴휴 2013/01/16 1,383
207112 휴면명조체는 2 자기소개서 2013/01/16 1,071
207111 sk 보는데 화면이 정지돼 있어요. 1 화면정지 2013/01/16 529
207110 식사량을 줄였더니 화장실을 못가요. 10 하얀공주 2013/01/16 2,828
207109 친구가 여친과 헤어졌는데...그녀석이 이러는게 잘한건가요? 9 다크하프 2013/01/16 2,869
207108 19평 오피스텔 관리비가 44만원 나왔어요 ㅠㅠ 난방비만 24만.. 15 여울 2013/01/16 13,050
207107 올해 행시경쟁률 32.4대1로 2000년이후 5 ... 2013/01/16 1,997
207106 한샘인테리어 가죽소파 써보신 분 계세요? 15 새집 2013/01/16 4,621
207105 영작 잘하는 방법..(?) 84 singli.. 2013/01/16 7,416
207104 복지관에 물건보냈는데 찜찜하네요. 2 궁금 2013/01/16 1,017
207103 도미노 방문포장 난리났네요 15 2013/01/16 17,877
207102 아몬드를 저렴히 먹는법 아세요? 9 아몬드 2013/01/16 4,884
207101 왜 멀쩡한 이름 놔두고 애들을 영어이름으로 부를까요? 37 괜히 거슬려.. 2013/01/16 5,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