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가 해야할일(1) - 독일식 개표방법으로 바꾸기운동 -베스트 부탁해요~

날아라 조회수 : 1,323
작성일 : 2012-12-23 12:11:45

다음 대선을 위해서 우리가 해야할 일들이 뭘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생각나는대로 적어볼까요...

1) 협동조합 형태의 대안 언론 만들기 - 김용민님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니 조합비 낼 날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2) 개표방법 바꾸기 - 독일의 사례가 매우 훌륭해보입니다.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같이 고민해주세요.

3) 인터넷 언론 후원하기

4) 쌍용차, 현대자동자 시위 노동자들 응원하기

5) 아이들에게 현대사 교육시키기

6) (다음 총선까지) 경상도 농산물,공산품 물건구매 안하기, 경상도로 여행안가기, 경상도 물건 구매하지 않는 이유를 경상도사람들에게 얘기해주기, 단 시간은 다음 총선까지. -

(이방법 별로라고 경상도출신 남편은 말하지만 그래도 저는 할겁니다..^^

당장 대구에서 구매예정이던 기계 2천만원어치 광주로 돌릴예정..)

 

추가------

7) 국정원 알바 색출해서 공무원의 정치 참여로 고발하여 철밥통 공무원증 뺏기 

(이건 컴터 전문가들께서 좀 방법 알려주세요~)

 

 

 

* 투표와 개표에 대한 새로운 관점 공부하기 - 독일~~~~~ (아고라에서 퍼왔어요.)

이거보며 어떻게 운동을 해나가야할지...방향을 잡아야할듯...

1. 독일의 투표날은 언제나 일요일

누구에게나 투표할 권리가 있다. 그 권리는 어떠한 방해를 받아서도, 해서도 안 된다.

그래서 독일의 모든 선거는 일요일에 하게 되어 있다.

한 동네에 여러 곳의 선거구가 있어서(필자 사는 거리에만 두 곳) 멀리 가지 않아도 되고, 사람이 몰리지도 않는다.

 

2. 개표는 바로 그곳에서

오후 6시 선관위 담당 책임자가 정식으로 투표 마감을 알리면 투표장 문이 잠긴다.

그리고 그곳에서 바로 개표가 이루어진다. 방법은 당연히 수작업으로!!

투표 용지는 후보별로 모아서 직접 세고, 투표 인원과 용지 수가 맞는지 확인한다.

만약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할 때까지 2, 3차 수작업으로 세어 확인한다.

개표가 끝난 투표 용지는 후보자별로 선관위 띠지로 묶고, 다시 그 묶음들을 하나로 묶는다.

이 모든 것은 포토콜에 작성된다.

개표 결과는 선관위 담당 책임자가 중앙 선관위에 전화로 전달하고,

담당 책임자가 개표가 끝난 투표 용지가 든 상자를 중앙 선관위로 옮긴다.

중앙 선관위에서 재차 수작업으로 검토하여 포토콜의 내용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한다.

투표 장소에서 바로 개표하니 운반사고가 일어날 수 없고,

이중 삼중으로 확인하니 개표 조작도 어렵다.

만일 어떤 이유든 부정행위가 발견되면 10년 이상 감옥생활을 해야 할 정도로 무겁게 처벌한다.

 

3. 무효표는 없다.

혹시 투표 용지에 잉크라도 묻어서 무효표가 되면 어떻게 하나 신경쓸 필요가 없다.

독일에서는 잉크 묻은 도장을 쓰지 않는다. 투표장에서 제공하는 볼펜으로 선택한 후보 이름 옆에 X표만 하면 된다.

심지어 투표 용지에 욕을 쓰고 낙서를 해도 무효표가 아니다.

누구를 선택했는지 정확하게 구분이 되지 않을 때만 무효표가 된다.

수작업 개표라 가능한 일이다.

만약 무효표가 나오면 포토콜에 왜 무효표인지 정확하게 기재해야 한다.

4. 완전 밀봉된 견고한 투표함을 사용한다.

투표 용지 투입구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밀봉되어 있고,

자물쇠가 달려 있는 아주 견고한 철제 혹은 플라스틱 함을 사용한다.

절대로 투표함은 선관위 책임자만 열 수 있다.

운반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개표하는 데도 철저하게 밀봉된 견고한 투표함을 사용한다.

한치의 부정도 용납할 수 없기 때문이다.

5. 투표 용지는 20년간 보관한다.

개표가 끝난 투표 용지는 중앙 선관위에 모아 20년간 보관한다.

우린 아마..선거소송이 제기 되기 전까지..니까... 30일..이죠..아마.. 30일이후 폐기 가능..ㅡㅡ;;;

IP : 121.154.xxx.124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와우
    '12.12.23 12:14 PM (58.236.xxx.74)

    님은 뭐하시는 분이길래 이리 똑똑.......쓰다보니 마지막에 정봉주와 미래권력
    저도 가입해야겠어요.
    똑부러지네요

  • 2. ...
    '12.12.23 12:20 PM (58.227.xxx.7)

    좋은방법이네요 찬성입니다.!!!!!

  • 3. 아..
    '12.12.23 12:22 PM (116.123.xxx.226)

    독일 좋은데요. 어떡하면 이런 방식으로 갈 수 있을까요?

  • 4. 옳습니다.
    '12.12.23 12:22 PM (70.68.xxx.167)

    꼭 바꿉시다.

  • 5. 사탕별
    '12.12.23 12:25 PM (39.113.xxx.115)

    독일식 투표 방식 저도 들었었는데 너무 좋아요
    투표소에서 바로 개표하니 부정이 있을수가 있겠어요
    거기 있는 사람을 전무 매수 하지 않는이상
    20년간 보관한다

    이것도 좋네요
    저것들은 뭐가 그리 무서운지 왜 그리 빨리 폐기 해버리나요
    국가의 중요한 문서인데,,,,

  • 6. 날아라
    '12.12.23 12:29 PM (121.154.xxx.124)

    투개표 방법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할것 같습니다.
    해당 전문가들에게 요구해서 워크샵 하도록 하고
    선관위에 계속 요구하고요..

    근데 요구만 한다고 들어줄 놈들이 아닌것 같아서 걱정이에요.
    뭘..어떻게해야 결정적일까요 ?

  • 7. 하나
    '12.12.23 12:35 PM (193.83.xxx.228)

    포토콜이 아니라 프로토콜 Protokoll입니다.

  • 8. 날아라
    '12.12.23 12:38 PM (121.154.xxx.124)

    아..하나 더 생각났습니다.

    7) 국정원 알바 색출해서 공무원의 정치 참여로 고발하여 공무원증 뺏기

  • 9. 날아라
    '12.12.23 12:38 PM (121.154.xxx.124)

    윗님 포토콜과 프로토콜의 차이를 말씀해주세요~

  • 10.
    '12.12.23 12:39 PM (110.70.xxx.240)

    정말 똑부러진 글이네요 많이 배워요

  • 11. 독일식 거의 완벽해 뵙니다
    '12.12.23 12:43 PM (1.252.xxx.122)

    더 나은 방식 있는데 따르지 않을 이유가 없지요.

  • 12. 하나
    '12.12.23 12:45 PM (193.83.xxx.228)

    포토콜이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기록이라는 뜻은 Protokoll이죠.^^

  • 13. 정말
    '12.12.23 12:47 PM (121.136.xxx.249)

    우리나라 개표가 빠르고 정확하면 다른나라에서 다 따라하겠죠
    빠르고 완벽하다면.....
    아니니까 문제고 독일처럼 시간이 걸려도 까다롭게 해야죠

  • 14. 날아라
    '12.12.23 12:48 PM (121.154.xxx.124)

    참...이글 베스트로도 좀 보내주세요..굽신굽신~~~
    독일식 개표방법을 널리 알려야하지 않겠습니까~~~

  • 15. 가요 베스트
    '12.12.23 12:49 PM (58.236.xxx.74)

    정봉주와 함께.

  • 16. Dhepd
    '12.12.23 12:52 PM (211.246.xxx.39)

    이거 좋아요. 잡음 최소화할 수 있겠네요.
    베스트 보냅시다.
    개표절차의 선진화!!!!

  • 17. 감사~~
    '12.12.23 12:54 PM (121.154.xxx.124)

    아침에 저도 이글 읽고 넘 가슴이 뛰었습니다.
    널리 널리 알려서 어떻게든 우리도 합리적인 투개표 제도를 만들어야할것같습니다.

    중앙선관위..주겄어~~~

  • 18. 7번
    '12.12.23 12:54 PM (14.47.xxx.70)

    7번도 찬성이요

  • 19. 지금해야할일들
    '12.12.23 12:57 PM (121.154.xxx.124)

    추가해주세요..지금 뭘 어떻게 해야할까요 ????

  • 20. 파사현정
    '12.12.23 12:59 PM (58.237.xxx.247)

    이런 정확하고 선진화개표방법은 새누리당에서 절대 반대하겠죠.

  • 21. 그러니까요
    '12.12.23 1:02 PM (193.83.xxx.228)

    알리면 뭐하나요. 쟤들은 절대 안바꿀텐데. 지들 밥줄이 걸린 문제인데.

  • 22. 그러니까요님~
    '12.12.23 1:07 PM (121.154.xxx.124)

    좌절금지~

    그러니까 우리도 방송국 만들어요...^^

  • 23. 방송국도 만들고
    '12.12.23 1:17 PM (1.252.xxx.122)

    이번대선 위법개표도 이슈화 해서 해결되고 하면 바꿀 수 있어요.
    당장 전자개표로 선거법 위반 한 걸 다시 수개표 수검표 하자고
    각자 지역구 의원실에 전화해서 투표권을 가지고 압박하면 됩니다.
    출신당이 어디건 표심으로 직접압박이 최곱니다.

  • 24. 원글님
    '12.12.23 1:34 PM (112.214.xxx.184)

    감사.
    맞는 말씀이네요.
    안 됀다고 좌절말고 될때까지 두드려보는거죠.

  • 25. 베스트로
    '12.12.23 1:37 PM (175.113.xxx.108)

    좋은방법이네요. 우리는 투표함을 다른 곳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바꿔치기등을 염려해서 투표함 차량을 따라가야한다길래 참 희안하다 생각했는데 위에 말씀하신 독일식 방법이 훌륭하다고 생각되네요. 투표할때 정당별 투표참관인들이 있었던 것처럼 투표소마다 지역감시단이 감시하면서 하나씩 확인하고 집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투표권 한장이 4500만원씩이나 가치가 있다는데 이정도 대접은 해야지요.

  • 26. 미네르바
    '12.12.23 1:47 PM (110.70.xxx.18)

    베스트 갑시다~~~

  • 27. 찬성
    '12.12.23 2:46 PM (175.121.xxx.170)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5053 빌라 증여..법무사vs셀프등기? 6 생각대로살자.. 2013/01/11 2,697
205052 원래 이런건가요? 외부기온과 실내온도의 상관관계 6 나참 2013/01/11 1,016
205051 미국 오하이오 부정선거. 자살사건(살인 사건??) 리야 2013/01/11 565
205050 대략 7살 아이한명에게 얼마나 들어가시나요?! 8 로또기원 2013/01/11 1,464
205049 오늘 가스비 나왔는데..무려 67만원 ㅜㅜ 56 멘붕 2013/01/11 26,023
205048 5형식 동사 keep에 대해서 질문드려요 3 berrie.. 2013/01/11 3,492
205047 30대중반 옷차림 5 폴로 2013/01/11 2,424
205046 앙코르와트 다녀 오신분께 여쭈어요. 28 동남아 2013/01/11 3,456
205045 낚시 조심하세요. 19 이겨울 2013/01/11 2,584
205044 치*수술하신분께 질문드려요 3 ... 2013/01/11 701
205043 미용실 다녀오며 정말 울고 싶네요 7 저주받은머리.. 2013/01/11 3,126
205042 41살인데요.라식하신분들 어떤가요? 7 41살 2013/01/11 2,046
205041 인천에 임플란트 잘하는 치과좀 부탁드려요 치과 2013/01/11 1,742
205040 곤약국수 사고 싶은데 믿을만한곳 알려주세요 3 .. 2013/01/11 1,004
205039 개같은 우리나라 사법부 7 살인과 성폭.. 2013/01/11 1,088
205038 너무 기막힌일~~이럴땐 어떡해야 할까요? 3 사람 2013/01/11 2,115
205037 오늘 약수터 다녀온 분 혹시 약수 나오나요? ... 2013/01/11 300
205036 가습기 세척법이요 1 lieyse.. 2013/01/11 1,057
205035 분당 서현 새로생긴 헬스 2 .. 2013/01/11 934
205034 오븐은 항상 예열해야하나요? 3 가채맘 2013/01/11 1,704
205033 가스비도 계산할스 있나요? 8 보일러 2013/01/11 1,170
205032 부가가치세 신고해 보신분들 계실까요? 3 질문 2013/01/11 963
205031 아기 젖병 일반 세제로 씻어도 되나요? 3 .. 2013/01/11 2,107
205030 둔한 건 개선할수없나요? 5 탱이 2013/01/11 1,110
205029 이정도면 적당한가요? 전세융자금 2013/01/11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