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의료민영화는 윤곽이잡힌건가요

민영화 조회수 : 1,336
작성일 : 2012-12-20 12:38:32
미국살때 보험회사 가입하고
아플때 거기서 내준 책자에 나온 병원리스트를 보고 그중에서 골라 갔었어요
제가 계약한 보험이 커버되는 병원으로 가야만했던걸로 기억나요
오래전이라 이렇레 기억이나는데 의료민영화되면 미국처럼 되는건가요?
IP : 223.33.xxx.5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탕별
    '12.12.20 12:41 PM (39.113.xxx.115)

    네... 필리핀처럼 부자들이 가는 초호화 병실. 실력있는 의사 들이 포진되어있는 고급 병원과
    군대 야전병원같이 사람들이 바글 바글하고 좋은 의료 시설들이 없는 일반 병원으로 나눠질껍니다

  • 2. 정말
    '12.12.20 12:42 PM (121.165.xxx.189)

    자랑할거라곤 병원 편히 다닐 수 있는거였는데...

  • 3.
    '12.12.20 12:44 PM (223.33.xxx.58)

    이제 집맢병원 골라서 다니던 시절은 끝났군요 ㅠㅠ

  • 4. 자끄라깡
    '12.12.20 12:45 PM (121.129.xxx.144)

    예 그렇게 되는 겁니다.
    영리병원이 생겨서 실력좋은 대학병원 교수들이 그리 가면
    돈 없는 우리는 그 분들한테 수술 못받습니다.

    지금 의료보험 공단에서 지역과 직장으로 쪼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게 민영화로 가는 첫 단계라고 합니다ㅠㅠ

  • 5. 윗분
    '12.12.20 12:50 PM (180.231.xxx.22)

    지역과 직장으로 쪼갠다는게 무슨말씀인가요. . 자세히좀 가르쳐주세요

  • 6. 자끄라깡
    '12.12.20 2:34 PM (121.129.xxx.144)

    원래 의보는 지역과 직장의료가 있잖아요.
    지역은 직장에 비해 재정이 취약합니다
    그래서 직장의보에서 끌어다 매우는 구조죠.
    그런데 이걸 가지고 총선에서 떨어진 정형근이가 의보공단에 낙하산으로 앉으면서
    직장과 지역이 통합되있는건 위헌이다 제소를 합니다.

    아마 이게 통과 되면 지역의보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겠지요.
    그러면 이대로는 안되겠으니 시정이 필요하다 하면서 민영화를 할겁니다.

    지금도 1인당 입원수가 1년에 몇 십일 이상 넘어가면
    병원엥서 나가라고 합니다.실제로 봤어요.

    의보에서 병원으로 지급되는 돈이 딱 정해져 있거든요.
    대학병원들도 적자보는 마당에 계속 할 수는 없으니까.

    '지금부터 민영화 한다' 그러면 반대에 부딪치고 명분도 없으니까
    저런식으로 단계를 쪼개서 눈에 확 띄지 않게 합니다.
    눈 부릅뜨지 않으면 냄비속 개구리 되는 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2462 묵은지 오늘로 다 먹고 나니까 막상 아쉽네요.. 4 시원한 맛 2013/01/04 1,748
202461 인천공항면세점vs인터넷면세점.. 8 앗싸~~ 여.. 2013/01/04 2,330
202460 날씨가 언제까지 추워질까요?? 패딩을 이시점에서 살까요 말까요 8 패딩고민 2013/01/04 3,281
202459 거위털 이불 정말 좋더군요 6 선견지명 2013/01/04 3,137
202458 다이어트에 관한 글이 워낙 많아 1 ㅜㅜ 2013/01/04 698
202457 예전에 대전비하글 한번씩 올렸던.. 2 문득궁금 2013/01/04 631
202456 염색 8 중3 2013/01/04 1,745
202455 스마트폰어떡할까요? 4 혜혜맘 2013/01/04 1,294
202454 이정현은 정말 심복중에 심복이네요. 12 ... 2013/01/04 6,531
202453 보일러가 동파된것 같은데 수리비가 얼마나 나올까요?.. 8 나오55 2013/01/04 13,299
202452 양심적이고 실력있는 한의원 소개부탁드립니다 6 현모양처 2013/01/04 2,172
202451 노벨평화상 후보? 2 2013/01/04 786
202450 초3 남자아이 볼만한 영화 추천 2 겨울방학 2013/01/04 1,368
202449 난방을 약하게 하고 사는데요. 67 짠순일까나 2013/01/04 13,897
202448 국회의원 연금법 관련 민주당 트윗 1 세우실 2013/01/04 2,196
202447 올해 일곱살 되는 남아 수학교재 뭐가 좋을까요? 1 수학교재 2013/01/04 1,120
202446 돈을 1 82cook.. 2013/01/04 750
202445 매년 이렇게 춥고 더울까요ㅠ 2 이사고민 2013/01/04 1,856
202444 사주봐달라는 분들 2013/01/04 1,900
202443 이이제이 대선특집 올라왔어요. 1 업데이트 2013/01/04 963
202442 원정 출산하면 아이가 혜택을 많이 받나요? 19 ^^ 2013/01/04 9,387
202441 노트북 사은품 주는 홈쇼핑 스마트폰 괜찮나요?(급질문) 1 쭈희 2013/01/04 2,471
202440 저좀 뻥 차주세요 1 노란병아리 2013/01/04 675
202439 브라는 어디에서 구해야 할까요.. 5 목돌아간여인.. 2013/01/04 1,572
202438 자기 그릇 바닥의 흠집? 태호희맘 2013/01/04 1,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