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저학년..글짓기 너무 못해 속상해요

조회수 : 1,828
작성일 : 2012-12-17 00:31:08
초등저학년인데요
책은 많이 읽는 아이인데 글짓기를 너무 못해요
학교 백일장에서도 반에서 절반 이상 타는 상을
한번도 못받아왔네요ㅠㅠ
동시 짓는것도 너무 어려워해요
생활문도 뭘 어떻게 써야하는지 고민만 한시간...
독후감은 더더욱 힘들어 하구요
어휘나 독해력도 떨어지는 것 같은데
거기에 창의성도 부족해서
일기쓰는 것 보면 밋밋하고 재미없게 쓰거든요
문맥도 안맞고 어떤일에 관한 자기 생각이나 느낌은 없고
있었던 일만 늘어놓아요ㅠㅠ
담임샘도 국어가 부족하다고 하신적이 있구요
논술 수업이나 주니어 플라톤 같은 수업하는게
도움이 될까요? 선배맘들 도움 좀 부탁드려요
IP : 118.33.xxx.5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17 12:34 AM (180.224.xxx.200)

    책 읽히세요.
    공부를 위해 읽어! 하지마시고.....아이가 정말 스스로 독서에 재미를 붙일 수 있도록...
    국어가....모든 공부의 뿌리랍니다.
    영어조차 모국어 실력만큼 늘거든요.......

  • 2. 벼리지기
    '12.12.17 12:38 AM (175.209.xxx.172)

    초등저학년이라하시니,,같은엄마입장에서댓글달아요^^;
    저도3학년남자아이키우고있는데,,이녀석이딱!!님자녀분과같네요..
    책은무지좋아라하는데,,,일기쓰는것도곤혹스러워하는..
    그렇다고제가대신써줄수도없는노릇..
    우연히,,논술팀에낀지가일년좀넘어가는데요..
    요즘은가끔씩..글에관련된상을받아오네요^^
    아직창의력을요하는글은못쓰지만,,
    그래도,,,논술하고부턴글쓰는걸어렵지않게여기더라구요..
    혹시,,,주위에논술하시는샘계시면알아보세요..^^
    전만족입니다...

  • 3. 동시
    '12.12.17 12:39 AM (218.238.xxx.188)

    동시를 매일 하나씩 베껴쓰게 해 보세요. 흥미를 가져야 뭐든 잘 할 수 있어요. 아는 분이 자녀에게 매일 마음에 드는 동시 하나를 쓰게 했대요. 한줄짜리 짧은 시도 상관 없고요. 처음엔 몰랐는데 몇달이 지나니까 시의 맛을 알더래요. 그래서 시를 쓰고 싶다고 하고 긴 작문도 쓰고, 책도 읽더래요.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여유를 가지고 아이를 대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4. 깜찍이
    '12.12.17 12:56 AM (118.176.xxx.33)

    아이가 쓴 글을 못 읽어보고 어떤 아이인지 몰라서 원글님이 쓰신 글만 가지고 이 상황을 가늠해보면,
    동시, 독서감상문 등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글을 잘 못 쓰나 봐요.
    두 가지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먼저 감정(감동)이 없다 와 감정(감동)을 표현하는 방법을 모른다. 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이런 경우에 제가 쓰는 방법은

  • 5. 깜찍이
    '12.12.17 12:58 AM (118.176.xxx.33)

    댓글을 길게 못 써서 이어서 써요.

    엄마가 먼저 기형도 시인의 을 읽어 보세요. 그리고 어떤 느낌이 드는 지 한 번 느껴보시고 그 느낌을 적어 보세요.
    그리고 엄마가 을 아이에게 읽도록 해주세요.
    은 시가 길지 않고 어려운 단어도 별로 없어요.

  • 6. 깜찍이
    '12.12.17 1:02 AM (118.176.xxx.33)

    저는 이 시를 가지고 시의 주제, 이미지, 운율을 다 설명하는데요
    먼저 '이 시에서 엄마하면 생각나는 것은?' 이라는 질문에 엄마랑 아이랑 같이 답을 한 번 해보세요.
    그리고 아마 초등 저학년이니까 시의 화자와 비슷한 또래라고 가정하고
    아이에게 한 번 물어보세요.
    '이 시에서 지금 아이는 어떤 심정일까?'

    아이의 감정을 건드리고 표현해보는 활동이에요. 여기까지 해보시고 결과를 알려주시면 그 다음에도 한 번 말씀드릴게요. (혹시 원글님 더 귀찮게 하는건지 모르겠어요. 그랬다면 죄송해요.)

  • 7. 깜찍이
    '12.12.17 1:04 AM (118.176.xxx.33)

    윗 댓글에 시의 제목이 빠졌네요. 기형도 시인의 '엄마 생각'이에요.

  • 8.
    '12.12.17 1:35 AM (118.33.xxx.59)

    답글 주신분들 감사드려요~
    깜찍이님 조언도 너무 감사하구요
    제가 님 조언대로 해보고 쪽지 드려도 될까요?
    제가 보기엔 제 아이는 작은일에 감동하는
    스타일도 아닌것 같고...친구들과 영화를 보면 다른 아이들은 슬픈 장면에서 우는데 우리 아이는 무덤덤...또 어떤일에 대해 말로 표현하는 것도 풍부하지 않아요ㅠㅠ

  • 9. 요리초보인생초보
    '12.12.17 1:39 AM (121.130.xxx.119)

    어휘나 독해력도 떨어지는 것 같은데
    거기에 창의성도 부족해서
    일기쓰는 것 보면 밋밋하고 재미없게 쓰거든요
    문맥도 안맞고 어떤일에 관한 자기 생각이나 느낌은 없고
    있었던 일만 늘어놓아요ㅠㅠ
    --------------
    아이가 첫째인가요? 책임감 높고 똑바르게만 살려면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렵죠.
    그리고 책만 읽어서 창의성 개발은 좀 그렇습니다. 미술도 보고 그리고 만들어 보고, 음악도 듣고 그래야 발휘됩니다.
    아이가 소심하다면 실수해도 괜찮아, 너만의 느낌이나 생각을 말해봐, 그래야지 좋아집니다.

    논술 수업이나 주니어 플라톤
    ----------------
    해결책이 이론 쪽에 치중해 계신 것 같은데 초등 저학년이라면 자연을 많이 접하게 해주세요. 요리나 집안일도 같이 해 보시고요.
    보글보글, 살랑살랑, 느릿느릿 등 집안일을 통해 배울 수 있고요,
    시라는 것이 자연에서 많이 체험한 걸 쓰는 경우가 많잖아요?
    나무 이름과 특징, 풀 이름과 특징, 물고기 이름과 특징 등을 통해서 다양한 경험에 입각한 글을 쓸 수 있을 거예요.

  • 10. 깜찍이
    '12.12.17 2:07 AM (118.176.xxx.33)

    네 원글 쓰신 분 쪽지 주셔도 되요.^^

  • 11. ....
    '12.12.17 9:26 AM (121.169.xxx.78)

    아이들이 책 많이 읽는것과 글 잘쓰는건 정말 다른 문제같아요.

  • 12. ---
    '12.12.17 10:55 AM (180.229.xxx.173)

    저희 아이는 말하는 것도 좀 어눌하고, 어미 같은 것도 가끔 틀려요. 글쓰기도 엉망이여서 .....공부는 안 해도 일주일에 4일 정도는 책 한 장 혹은 한 페이지를 베껴쓰기 하고 있어요. 주로 감정을 잘 나타낸 글들 위주로요. 일본 초등 동화책이 우리나라 감성과 잘 맞는 것 같은데 찾기는 힘들어요.
    요즘엔 학교 전시회 같은 곳에 잘 뽑히네요. 현란하게 쓰는 것 보다는 순수하게 자기의 감정은 표현하네요. 나름 발전이 있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7802 근현대사에 관한 책 추천 바랍니다 6 겨울밤 2012/12/22 1,123
197801 (펌)섬뜩한 부정투표 시나리오 12 .. 2012/12/22 2,622
197800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처음으로 책을 팔고 왔어요. 6 여름이야기 2012/12/22 2,452
197799 법령을 위반한 개표관리 부정선거 2012/12/22 486
197798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문재인 찍었다 4 호박덩쿨 2012/12/22 1,318
197797 근데 왜 박근혜는 결혼을 안했나요? 18 ... 2012/12/22 4,325
197796 제가 어느덧 50대로 분류 2 라떼홀릭 2012/12/22 896
197795 부정선거의 또 다른 증거. 26 곤줄박이 2012/12/22 2,829
197794 신문 추천해주세요. (리플 절실) 5 무지개 2012/12/22 662
197793 밤에 걱정되어 잠이 깼어요! 3 5년 2012/12/22 595
197792 젊은층의 비아냥거림 본때(펌) 14 ... 2012/12/22 3,108
197791 표창원 교수님 프리허그 현장 다녀왔어요~ 7 알콩달콩 2012/12/22 2,706
197790 북풍은 아직도 잘먹히는 카드란게 증명 4 ㅇㅇ 2012/12/22 500
197789 화상으로 생긴 물집 어떻게 해야 해요? 6 화상 2012/12/22 2,482
197788 선거 후유증이 심합니다. 5 을불 2012/12/22 1,058
197787 [펌] 딴지일보 기자가 전하는 김총수의 전언 16 봄날 2012/12/22 5,071
197786 키톡의 코코넛 쿠키 만들고 싶은데 버터 안넣으면 안되나요? 3 쿠키 2012/12/22 954
197785 (slr펌) 도저히 이길수가 없다. (txt) 1 ... 2012/12/22 1,171
197784 풋내기의 어설픈 고기생선굽기 팁 1 종이호일 2012/12/22 808
197783 털 깔창 어디서 파나요..? ... 2012/12/22 1,829
197782 그네의 이정희 죽이기 참 교묘하지않나요? 18 00 2012/12/22 5,140
197781 진짜 부정선거같아요...속속 제보가... 16 수상하다. 2012/12/22 3,114
197780 [펌글] 여초사이트에서 넘쳐나는 병! 6 ㄷㄷㄷ 2012/12/22 2,921
197779 달님 지지자분들! 커밍아웃 좀 해봐요 우리~ 53 문재인짱! 2012/12/22 2,181
197778 선거인명부도 너무 이상했어요. 16 곤줄박이 2012/12/22 2,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