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선배님들 조언해주세요. 초3 수학 고민중.

고민 조회수 : 1,458
작성일 : 2012-12-12 12:17:50

안녕하세요?

이 과정을 거쳐가신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지금 초3 여아에요.

두돌쯤에 한글을 떼었고 애기때부터 제가 책에 올인하다시피 해서 책도 많이 읽었어요.

한글이나 영어나 습득이 빨랐어요.

학교들어가서도 학과과정은 무리없이 잘 따라가고(거의 올백내지 1~2개 틀려요) 있는것 같습니다.

학교 시험 자체가 쉽긴 한가보더라구요.  평균이 95점이라는거 보면...ㅎㅎㅎ

거두절미하고

지금까지 학원을 안다니고 수학은 집에서 문제집사서 풀었고, 영어는 혼자 책읽기나 CD 듣기를 하면서 지내고 있어요.

영어는 책읽기나 듣기라서 부담없이 하고 있는데

수학은 문제풀다 모르면 저랑 실갱이도 하고 그러다 보니 재미없는 과목이 되어버렸어요.ㅠ

더 재밌게 해주지 못한 제탓인데요....

그래서 고민은 학원을 보내서 4학년 선행도 하면서 사고력수학도 함께 배우는게 좋을지

(경시문제집 한번 풀렸더니 접해보지 않은거라 많이 힘들어 하더군요.)

아직 학과과정 따라가는데에 부담없으니 4학년까지는 집에서 더 해도 괜찮을지 모르겠습니다.

솔직히 학원비의 압박이 결정에 걸림돌이 되는거지요.ㅠㅠ

이 시기를 거쳐가신 선배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4학년 수학 아무것도 아니다 또는 수학은 4학년때부터 잡아줘야 된다...등등의....

ps:저위에 한글언제떼고 이런거 적은거는...어리버리 하지는 않다는 말을 하려고 쓴거에요.

IP : 150.150.xxx.9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초6엄마
    '12.12.12 12:41 PM (180.66.xxx.12)

    초등학교 4학년 아니라 5학년도 그냥 학원 안 보내도 돼요.

    6학년 되면 수학이 어려워 지긴 하지만 방학동안 다음학기 문제집 사서 풀어보는 정도면 되구요.

    학기 동안에는 진도 따라 가면서 심화과정까지 풀리는 정도.

    최소한 초등학교 과정은 그냥 집에서 가도 돼요. 중학교 과정은 좀 더 확실한 선생이 필요하지만

    초등학교까지는 아니예요. 중요한 건 시험에 나오건 아니건 심화과정은 풀리고 가는 거죠.

  • 2. 독수리오남매
    '12.12.12 2:24 PM (58.232.xxx.184)

    저..초4맘이에요..
    영어만 공부방 다니고 나머지 공부는 홈쇼핑의 월간학습지 주문해서 학습지 풀려요..
    그래도 무리없이 하더라구요..
    그리고 다달이 오는 학습지중에 수학은 2권이라 풀고 또 풀고 해요..
    전과도 옵션으로 와서 그것도 읽고 풀구요...

  • 3. 초6맘
    '12.12.12 4:10 PM (59.7.xxx.43)

    그때쯤 비슷한 고민을 했던거 같아요. 그리구 해마다 비슷한 고민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위의 댓글처럼 고학년이 되면 일반문제집에 심화문제집을
    추가로 풀어보심이 좋을것같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5034 토론 평론가 평점 ㅋㅋㅋ 4 anycoo.. 2012/12/17 2,279
195033 이 시간에 잠이 안와 잘수가 없네요 8 걱정 2012/12/17 1,713
195032 건대 서울과기대 시립대 7 수시정시 2012/12/17 3,914
195031 선행학습 금지에 반대하는 분들은 교육감이?? 2 이상하다 2012/12/17 1,815
195030 대선 토론 카메라. 1 ... 2012/12/17 1,374
195029 고백합니다 저는 악녀입니다 5 반지 2012/12/17 2,955
195028 지금까지 문재인후보와 박근혜 후보의 지지연설에 누가 나왔어요? 4 ... 2012/12/17 1,705
195027 저 미쳤나봐요. 5 ㅠㅠ 2012/12/17 2,440
195026 국정원녀 무혐의라는데, 문재인후보가 사과해야 하나요? 10 ... 2012/12/17 3,936
195025 댓글에 파사현정 2012/12/17 1,390
195024 이제 대통령 3차 토론 보기 시작했는데... 4 뒷북 2012/12/17 1,773
195023 시어머니는왜꼭그렇게얘기해요? 2 시래기 2012/12/17 1,952
195022 무청시래기지짐 담긴 유기 그릇 궁금 (메인화면...이 와중에 죄.. Enenen.. 2012/12/17 962
195021 도로연수 운전연수후기[런스쿨] 도로운전연수 잘하는곳 [런스쿨] .. 이쁜이 2012/12/17 1,836
195020 건강보험공단 어떻게 해요? 자료 잘못 만들어서 찍히겠어요 4 .... 2012/12/17 1,728
195019 시골서 가져온 된장,고추장,국간장 어디에 보관해야 좋을지? 1 초보주부 2012/12/17 3,189
195018 김무성 '투표 포기' 발언에 민주 비판 2 호박덩쿨 2012/12/17 1,538
195017 좀 뜬금없는데, 바지락에 대한 질문요 1 홍홍 2012/12/17 926
195016 안인숙씨 아세요? 3 윤지경 2012/12/17 2,879
195015 주변에 경제적 이유로 결혼이나 아이낳기 포기하신 분들 있으신가요.. 4 2012/12/17 2,037
195014 그네꼬한테 이정희가 악몽은 악몽이었나 봅니다 2 ... 2012/12/17 2,096
195013 박근혜 TV토론 발언 패러디 ‘봇물’ 3 샬랄라 2012/12/17 2,900
195012 서울사시는 분들, 하의(바지) 어떻게 입으세요? 4 cd 2012/12/17 1,450
195011 박근혜 '어'록 모음집 5 흔들리는구름.. 2012/12/17 1,770
195010 3차 토론 감상평. 박그네는 안되고 문재인이어야만 하는 이유 6 .. 2012/12/17 1,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