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앞으로 노인들 빈부격차 더 벌어지겠죠?

??? 조회수 : 1,679
작성일 : 2012-12-05 13:47:32

오늘 같이 추운 날..폐지 주우러 다니시는 할머니를 보니 갑갑합니다.

제 나이 40.

그저 열심히 살고 잇는것 밖에 할 일이 없는데

우리 노후엔 빈부격차가 더 벌어지겟죠?

젊었을때는 가난해도 별 표가 없다지만  나이들어서는 ..정말 돈있어야해요.

 

IP : 115.90.xxx.15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최영장군
    '12.12.5 1:49 PM (1.249.xxx.72)

    맞는 말이예요.
    예전처럼 자식을 믿고 살수도 없고, 저축액이 물가인상을 못따라가니
    오래사는 현실이 꼭 행복은 아닌듯 해요.

  • 2. 지금도
    '12.12.5 1:50 PM (175.115.xxx.106)

    노인층의 자살률이 제일 높은걸로 알고 있어요.
    사교육에 집값에 노후준비 제대로 해 놓으신분들 얼마나 많겠어요?
    게다가 미래세대엔 연기금도 고갈될거라는데...
    이래서 복지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거고. 이쯤에서 가진자들이 내놓아야하는거죠.
    그거 싫어서 기득권층들은 단결해서 박근혜 찍겠죠.

  • 3. 비참한 인생
    '12.12.5 4:10 PM (121.141.xxx.125)

    월급에 비해 물가가 너무 치솟았고 여전히 높은 상태.
    아마 서민들 정신차린다고 해도 노후대비 잘못할거예요.
    일단 생활물가가 미치도록 비싸요.
    그렇다고 복지가좋으냐? 아니죠.

    아마 1-3퍼센트 빼고는 비참하게 살거예요. 노년에.
    나이들어 알바할 자리 마저 없는 사람들..

  • 4. 222.111님
    '12.12.5 5:41 PM (175.115.xxx.106)

    간섭세 말씀하셨던것처럼 지금의 조세제도가 가진자와 없는자와의 차별이 있다는건 아실겁니다.
    그 부준의 차별이라도 없앤다면, 그리고 유통업으로 부당하게 폭리를 취하는 지금의 구조를 바꾸고.
    자영업자들과 일반서민들은 피눈물 흘리는 와중에서도 정부의 환욜 정책으로 대기업은
    보호받아서 열심히 배불렸는데요, 그 부분도 다시 나눠야하지요. 그걸 정부가 적극 개입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지 못한다면 정부가 존재할 필요가 있겠습니까?
    그리고, 복지를 또 다른 생산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한다면 그리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지요.
    왜 복지는 그냥 퍼주기라고만 생각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양극화를 해소하고 복지를 하지 않으면 미래세대엔 답이 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6816 보좌진들 투표에서 92% 낙마 의견.. 1 oo 22:33:37 116
1736815 PPT작업과 저장 메인을 한쇼에서 파워포인트로 바꾸는 방법을 좀.. 00 22:31:05 29
1736814 조국장관 때 공격당하던 거 생각하면 그냥 임명될 듯요 6 ... 22:30:20 137
1736813 메이플라워 긴팔 40수면 원피스 원피스잠옷 22:29:26 52
1736812 전설의고향 새로 또 안하나요? ..... 22:29:01 51
1736811 부산이전에 대한 해수부 공무원노조의 요구사항 3 ㅇㅇ 22:28:26 165
1736810 인버터인데 온도 도달안되면 정속형인거죠 1 에어컨 22:17:39 240
1736809 마켓컬리 추천 상품 있으신가요? 1 -- 22:13:21 105
1736808 충만하고 풍요로운 삶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요 ,.. 22:12:16 235
1736807 가짜박사 최성해 2 ㄱㄴ 22:10:03 660
1736806 단독] 몸 낮추고 말 바꿨지만…청문회서도 거짓 해명 21 출처sbs 22:08:32 1,228
1736805 지금 선선한 날씨도 정상이 아니죠? 1 ..... 22:06:17 457
1736804 sbs에서 강선우 쓰레기 사진 내보냈네요 22 ... 22:04:49 1,776
1736803 하루종일 강선우, 강선우. 12 마무리 22:04:14 428
1736802 고2 학기말 전1했어요 4 ㅇㅇㅇ 22:01:57 662
1736801 강선우 임명으로 여성계 임명 관례 끊어냈다!! 19 ... 21:58:15 1,264
1736800 빗소리 들으며 팝 듣는데... 우왕 21:56:45 247
1736799 호박잎을 다시 데쳐도 될까요? 4 호박잎 21:52:31 291
1736798 뮨파 - 조국, 이재명, 강선우 18 자게 보니 21:46:42 647
1736797 우와 강선우 역대급이네요 29 대단 21:44:02 3,604
1736796 카카오 김범수 명신이랑 웬수된거 같은데 불까요?? 김예성회사에 .. 9 ㅇㅇㅇ 21:38:51 1,615
1736795 인사도 그렇고 특활비 91억 증액은 실망스럽네요 18 ..... 21:35:02 989
1736794 드레스룸에 이불 두세요? 4 지금 21:27:43 900
1736793 그리운 가수 거북이를 7 lllll 21:26:29 1,113
1736792 주사피부염으로 엘리델연고 사용하신분께 여쭤봐요 10 미미 21:23:03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