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예전에 올린 글중에 70년생이 뭐 학교 그만두고 방직공장 간 글이 있었는데..

엘살라도 조회수 : 2,738
작성일 : 2012-12-05 07:40:35
그거 50년대 중반생까지 해당되는게 아니에요? 그 이후 세대는 거의 다 학교 다 다는걸로 알고 있는데... 그것도 케바케인가요?
IP : 182.220.xxx.16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12.5 7:45 AM (211.246.xxx.153)

    제가 70년생인데 중학교졸업하고 가는 아이들도있구 더형편어려운애들은 졸업도 못하고 가는애들도 있었어요 반에 한두명정도는 되었답니다

    제시누이 63년생 67년생 둘인데
    둘다 중학교도 졸업못했구요
    아들인 남편은 고등학교졸업후
    대학들어가서 자기가벌어 다녔답니다

  • 2.
    '12.12.5 7:56 AM (211.234.xxx.105)

    71년 생인데. 진짜 반에서. 2-3명은 중학교도 방직공장야간가던게 생각나네요.

  • 3. 통계
    '12.12.5 7:58 AM (112.159.xxx.25)

    통계를 보면

    70년생의 초등학교 취학률은 97%가 넘는 데 70년대생들이 중학교 입학하는 해인 83년 중학교 취학률은 75% 정도 됩니다.

    즉 70년생들은 초등학교는 거의 다 갔다고 할수 있지만 중학교는 3/4정도만 갔다는 겁니다.

    다시 말하면 케바케는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참고로 중학교 취학률이 90% 넘는 시기가 90년대 입니다.

    이건 팩트니 믿으세요.

  • 4. 모름지기
    '12.12.5 8:17 AM (211.36.xxx.190)

    저는 71년생인데 초등학교 동창들 중에 중학교 진학 안한 친구 2명있었고 ㅡ중학교 동기들 중에 고등학교 진학 안한 친구들은 5-6명 되는것으로 기억해요. 그중 여자애들은 대부분 방직회사에서 야간으로 운영하는 고등학교로 갔었어요.

  • 5. ...
    '12.12.5 8:17 AM (14.32.xxx.170)

    신경숙의 '외딴 방' 보세요.
    그 작가가 63년생인데,
    서울에 올라와 공장에서 일하며 야간학교에 다니는 모습이 그려지죠.
    그 학교를 방문하옵신 영부인 (! - 이순자)에 대한 묘사도 있고요.

    제가 62년생인데, 어렸을 때 서울 변두리인 저희 동네에 작은 하청 공장들이 많았어요.
    시골에서 올라온 여자애들이 많이들 일했지요.
    아직도 눈에 선해요. 못먹어서 키 작은 여자애가 그 키도 펼 수 없을 정도로
    낮은 다락방에서 미싱을 돌리던 모습...
    제 어머니가 그 하청공장에 물건 갖다주러 갔을 때 따라가서 보았거든요.
    어머니와 함께 있는 저를 부러운 눈빛으로 쳐다보던...그 눈길...
    정말 미안했었어요.

  • 6. .....
    '12.12.5 8:23 AM (110.70.xxx.125)

    71년생인데 대도시 중학교 한반에 3명정도 공장에서 일하며 야간고등학교 다니는곳으로 갔어요...

  • 7. 69년생들인데
    '12.12.5 8:29 AM (121.162.xxx.47)

    저희 학교에서도 고등학교 못가고 공장 다니는 애도 있었고..
    식모살이하면서 중학교 다니는 애들도 몇 있었어요..

  • 8. .....
    '12.12.5 8:30 AM (116.37.xxx.204)

    내가 못보고 못 듣는, 모르는 세상이 존재하지요. 그걸 부정하면 안되지요. 설령 내가 그 세상에 속해있지 않더라도요.

  • 9. ^^
    '12.12.5 8:47 AM (1.243.xxx.44)

    저 89년에 대학졸업하고, 다음해에 대전에 있는 방적회사부설 산업체학교에 기간제로 나갔어요. 중학교부터 있는 학교요. 3교대 근무라 선생들도 아침수업부터 밤수업까지...
    89년도에도 초등졸업하고 중학교,고등학교 보내준다는 말 듣고 산업체중고로 오는 아이들 있었다는 말이죠.
    수업도 부실하고... 졸려서 졸고 있는 아이들 깨우지도 못했어요. 가슴 아파서...
    학교식당 급식도 부실... 장학사 오는 날만 급식짱이었어요.

  • 10. 74년생
    '12.12.5 8:51 AM (180.71.xxx.53)

    공부 잘 하던 중학교 동창이 고등학교를 공장다니면서 갈 수있는 기숙야간학교를 갔어요
    집안이 어무 어려운친구라 담임샘이 많이 안타까와 했던 기억이 나네요

  • 11. 뭐로
    '12.12.5 8:58 AM (123.213.xxx.83)

    그때만 해도 복지같은 개념 별로 없었져.
    자신의 가난은 자신이 구제하는거란 개념.
    70년생이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예요.

  • 12. ...
    '12.12.5 9:35 AM (218.234.xxx.92)

    지금도 찾아보면 그런 아이 있겠죠. 공장 대신 술집이나 알바 전전하는...

    저 69년생인데 초등학교-중학교 못가는 아이도 한반에 한두명 있었고 (저희 때 중학교는 의무교육 아님)
    중학교 다니다가 돈 없어서 자퇴한 반 친구도 있었어요. 그 친구가 담임선생님과 반 아이들 앞으로
    편지 보내와서 그거 읽어주는데 "선생님, 저 학교 다니고 싶어요, 학교 다니게 해주세요" 라는 글에
    반 아이들이 대성통곡..

    지금만 해도 복지 시설도 있고, 자선가나 기업 후원금도 많지만 그때는 그런 것도 없었어요.
    넉넉한 시절도 아니니(70년대 후반~80년대 초반)아이들끼리 용돈을 모아서 내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리고 중학교-고등학교에서는 더 심했고요. 한반에 50~60명이었는데 인문계 고등학교를 20명 정도만 갔어요.
    상고 가는 아이가 훨씬 많았죠. 당연히 대학 안간다는 전제, 그리고 학비가 싸다는 전제..

    저는 지방 대도시(광역시)에서 아버지는 공무원인 평범한 집안으로 돈 없어서 아껴쓰는 게 몸에 배였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반에서 상위 20%는 되는 경제력이었던 거죠.. .

  • 13.
    '12.12.5 9:47 AM (218.154.xxx.86)

    저 80년생인데
    저희 중학교 때 부모님 일찍 돌아가시고 오빠랑 새언니랑 살던 아이,
    도시락 못 싸와서 선생님이 그 아이 없는 자리에서 친구들이 돌아가면서 싸다주자고 하셔서
    친구들이 아침마다 교무실 선생님 책상에 도시락 올려놓고
    선생님이 건네 주셨거든요.
    그 아이 울면서 고등학교는 공장 야간 갔어요...
    잘 살고 있으면 좋겠네요..

  • 14. 있지요
    '12.12.5 9:52 AM (121.166.xxx.233)

    74년생 저희 남편 사촌 , 주간에는 공장에서 일하고 야간에는 고등학교 다녔어요.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집안 형편이 너무 어려워서 그렇게 했나봐요.
    (큰집, 작은집 다 어려워서 도와줄 형편이 못되어서
    어쩔 수 없었나봐요.)

    평범하게 자란 저는
    같은 74년생인데 저는 이런 학교 있는지도 몰랐어요.
    제가 듣고 본 세상이 전부가 아니구나..그때도 한번 느꼈지요.

  • 15. ..
    '18.12.19 4:02 AM (119.198.xxx.113) - 삭제된댓글

    야간학교 봉사할 때 어르신들
    그 소중한 마음이 조금 더 이해가 되네요.
    이후로 수년간 여기저기서 알게 된 것들을 그때도 알았으면
    더 잘 해드릴 수 있었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380 요즘 보통의 대학생 자녀들은 언제쯤 취업 되나요? 때인뜨 11:49:07 5
1773379 김장 양념 최소한의 재료로 해보고 싶은데요 ㅡㅡ 11:47:08 18
1773378 미국에서 좋은 직업 중 하나 2 …. 11:40:19 329
1773377 열무김치를 지져먹어도 맛있나요 3 땅지 11:38:58 131
1773376 초콜렛 샀는데 유통기한이 일주일 뒤 인데요 1 어쩌까나 11:32:26 136
1773375 스벅 리저브 라떼 돈 아깝네요 2 ㅇㅇ 11:29:24 532
1773374 82 왜이렇게 속터지는 소리하는 사람이 많아진거 같죠? 3 11:29:14 358
1773373 요즘 남자 대학생 선물고민 2 트렌드 11:28:58 131
1773372 현대카드 간식 뽑기 또해요 6 카드 11:26:43 352
1773371 복지혜택 정작 받아야 할 사람은 못받네요 불공정 11:26:09 159
1773370 수능 가채점 안하는 아이 3 어렵네 11:23:07 372
1773369 어젯밤에 질출혈이 조금 비쳤는데요 2 65년생 11:15:53 260
1773368 현대 즉당 11:13:27 137
1773367 제일 힘든 알바가 편의점이라네요 17 ... 11:07:20 1,860
1773366 노량진 수산시장 다녀갑니다 1 즐겁게 11:05:13 315
1773365 건대 논술 시간동안 기다릴만한 곳, 알려주세요 5 사강 11:02:37 299
1773364 알탕 씻어야 하나요? 2 peacef.. 11:02:27 226
1773363 아이는 노력했는데 속상해요 7 수능 10:58:46 861
1773362 요즘 20~40대 소비의 트렌드가 변했어요 13 써봐요 10:55:13 1,690
1773361 진상과 꼰대를 지칭하는 영어 단어 ㅋㅋ 9 ooo 10:50:55 861
1773360 피부과를 얼마나 다녀야 예뻐지나요? 3 ..... 10:48:59 681
1773359 AI 수능문제 풀어보니 GPT 1등급 진입했지만…"4년.. 3 10:42:41 871
1773358 대출막으니 월세가 뛸수밖에요 13 ... 10:38:29 763
1773357 나홀로 오늘 어디를 갈까요 8 여행자 10:35:56 795
1773356 최근 드라마 가운데 가장 흥미진진한 인물 등장!!! 10 ... 10:32:47 1,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