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스크랩] <속보>이명박 최후의 민영화, 박근혜와 함께 추진 중!(시사인)

물민영화! 조회수 : 4,105
작성일 : 2012-12-03 14:42:00

MB정권초기 가카의 형 이상득중심의 상수도사업 민영화를 한다는 소식에

국민 대다수가 엄청나게 반대했던 기억이 나는데 이 민영화작업이

아직도 ing이었군요.  이런 쥐길넘덜. 

국민이 피고름을 흘려도 눈물 한방울 흘릴 종자들이 아님을 알고 있었지만

그들의 지나친 집요함이 섬뜩합니다.

방금전 이 글을 보고서 여기 퍼서 올립니다.

막읍시다!!!  이 정권의 집권연장을 반드시 막아서 고통의 5년을 더 이상 보내지 맙시다!!!

-------------------------------------------------------------------------------

 

‘물 민영화’ 사업 이미 시작됐다

설마 했던 물 민영화가 현실화되고 있다. 상하수도의 설계·시공·운영에 민간이 참여하고, 2020년 이후 대형 물기업이 탄생하는 수순이다. 물 민영화 계획을 두고 정부와 박근혜 후보는 민간위탁이라고 딴청을 부린다.  천관율 기자  |  yul@sisain.co.kr


물이 민영화된다. 상·하수도의 설계·시공·운영에 민간 참여가 차근차근 확대되고, 2020년 이후로는 인수합병을 통해 대형 물 전문기업이 탄생한다. 물은 절대 대체 불가능한 생필품인데다, 상·하수도는 네트워크 산업이어서 독점이 쉽다. 민영화의 폐해가 나타나기 가장 좋은 영역으로 손꼽힌다.

정부는 2010년 ‘물산업 육성 전략’이라는 보고서를 기반으로 물 민영화를 재추진하고 있다. 상·하수도에 대한 민간 기업의 설계·시공·운영 참여를 적극 장려하여, 2020년이 되면 해외 진출이 가능한 세계적 물기업 8개를 만들어 낸다는 계획이다. 지금도 준 민영화 단계인 하수도는 물론, 민간기업의 참여가 사실상 제한된 상수도도 민간 자본의 놀이터가 된다. 이 계획에 근거하여 하나금융 산하 하나산업정보는 지난해 7월 <물 비즈니스 관련 산업 현황 및 사업 기회 점검>이라는 보고서를 썼다. 이 보고서는 2020년 이후 상·하수도에서 최대 7천억원대의 민간시장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계획의 단초 격인 지방상수도 통합 사업 컨소시엄의 민간 참여가 착착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취재 결과 확인됐다. 강원남부권 통합 사업을 보면, 태백·영월·정선·평창에서 통합 사업에 참여한 기업은 태영건설, 두산건설, 한화건설, 포스코건설, 동서, 효성 등이다.

특히 태영은 하수도 분야의 메이저 업체로 상수도 시장 진입에 적극적이다. 태영이 대주주로 있는 SBS는 물 관련 프로그램 편성에 유난히 공을 들인다. 또다른 대표 물기업인 코오롱은 대통령의 형 이상득 전 의원이 사장까지 지내 이명박 정부 물산업 정책의 대표 수혜기업으로 오랫동안 꼽혀왔다.

올해 5월에는 이 물산업 육성 전략의 이행점검 결과 및 향후대책을 담은 보고서가 나왔다. 이 후속 보고서는 물기업 육성 분야의 대표 성과로 상·하수도 분야 민간기업 공동운영과 위탁이 확대되었다고 밝힌다. 올해 3월에는 지자체·민간기업 업무협약도 체결됐다.
이는 민영화 논란 이전에 정권의 도덕성 문제로도 비화될 수 있는 사안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촛불집회가 한창이던 2008년 5월22일 “수도는 민영화 대상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물 민영화 정책은 1년만인 2009년 부활해 2010년 구체화되어 지금까지 꾸준히 추진 중이다.

물산업 육성 전략을 신산업 차원에서 소개한 보도는 적지 않지만, 이를 물 민영화 전략으로 조명한 보도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물산업 육성전략이 제시하는 민간참여는 민영화와 전혀 다른 개념이라고 정부가 주장하기 때문이다. 시설 소유권과 요금 결정권이 지자체에 있으므로 민간이 경영하는 민영화로 볼 수 없다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이는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민영화에 대한 정의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민자 유치 도로를 둘러싼 논란에서도 익숙하게 들었던 논리다. 가격 결정권이 중앙정부나 지자체에 있는 경우라 해도, 일단 운영권을 확보한 민간기업은 제품의 품질을 담보로 강한 협상력을 가지게 된다.  “그 가격에 맞추려면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논리로 경험이 풍부한 대형 로펌을 내세워 지자체를 압박해 올 때, 지자체는 예산으로 요구를 맞춰 주거나 요금을 올리는 것 외에 별다른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시사IN>은 이 물산업 육성전략에 대한 두 대선주자의 의견을 물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측은 “민영화로 보지 않는다”라며 집권 후 계속 추진을 시사했다. 민주당 문재인 후보 측은 “민영화로 볼 수 있으며, 집권 후 신중하게 재검토하겠다”라는 답을 보내 왔다.

물 민영화 정책의 내막과 두 대선주자의 구체적인 의견, 민영화를 민간 참여로 포장하는 정부 논리의 취약점, 그리고 세계의 물 민영화 사례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오늘 발간된 <시사IN> 제 273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IP : 218.146.xxx.8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
    '12.12.3 2:44 PM (175.115.xxx.106)

    이거 민영화하면 이상득이 가지고 있는 회사에게 간다던 그거 아닌가요?
    서울시장때부터 지하철이니, 우면산터널이나 도로같은것부터해서 해먹더니...아주 나라를 다 해먹을려나보네요.

  • 2. 한미 fta 하면
    '12.12.3 2:48 PM (211.233.xxx.57)

    맹장수술 천만원 한다고 떠든 것이 먹혔었나요 ?

    궁금해서...

  • 3. 한미FTA하면
    '12.12.3 2:52 PM (203.142.xxx.88)

    의료 민영화나 물값 민영화가 연달아 오겠죠.
    아직 의료민영화는 시작 준비단계이니 맹장수술 천만원이 안온다고 볼 수도 없죠.

  • 4. 의료민영화
    '12.12.3 2:53 PM (218.146.xxx.80)

    되면 천만원가량의 맹장수술비 내야 할 겁니다.
    윗님은 돈많은 사람이라서, 1%라서 걱정없는가 보군요?

  • 5. 징글징글
    '12.12.3 8:50 PM (116.39.xxx.34)

    나라와 국민을 호구로 보는 이 징글징글한 정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8078 쥐가 줄줄이 나오는 꿈은 뭘까요? 4 2012/12/03 10,105
188077 17개월 아기.애착형성이 안된걸까요? 7 애착 2012/12/03 6,550
188076 실제 문재인후보의 유세현장 사진. 6 광팔아 2012/12/03 3,617
188075 온라인으로 화장품 어디서 사면 좋나요? 3 ggg 2012/12/03 1,342
188074 지저분한 이야기예요 ㅠㅠ치질수술해보신분 계신가요? 24 치질 2012/12/03 6,034
188073 여당후보가 현직 대통령까는게 먹히다니.ㅋㅋㅋㅋㅋㅋ 10 쓰리고에피박.. 2012/12/03 2,134
188072 일주일째 두통에 시달리는데..진통제가 말을 안들어요.. 10 두통 2012/12/03 4,166
188071 다 좋은데 일하는 환경이 안좋을 때.. 1 이럴땐 2012/12/03 1,173
188070 맥심 디카페인 커피.. 모카골드에 비해 맛이 확 떨어지나요 3 .. 2012/12/03 1,870
188069 부모님중에 파킨슨병 있으신분 계시나요??? 10 2012/12/03 4,576
188068 '비트'때 정우성은 진짜 너무 매력적이네요.. 1 콩콩잠순이 2012/12/03 1,640
188067 축열식 찜질기는 전자파 괜찮을까요? dd 2012/12/03 2,277
188066 펄~펄~눈이옵니다~~ 8 2012/12/03 2,914
188065 [아이엠피터] 박근혜가 숨기고 싶은 '불편한 진실' 2 세우실 2012/12/03 1,597
188064 갓덴스시 자유이용권 ㅋㅋㅋ 2 릴리리 2012/12/03 1,580
188063 지금 렌지다이를 결재 직전이예요.. 조언 부탁드릴께요~ 2 축복가득 2012/12/03 1,410
188062 어린이 스트레칭 추천해주세요 바람 2012/12/03 1,164
188061 제가 너무 예민한걸까요? 4 2012/12/03 1,495
188060 [박영선 의원] 너무나도 국민들에게 상처를 준 검찰의 난을 보면.. 6 우리는 2012/12/03 1,535
188059 임대아파트 질문드려요 5 몰라너 2012/12/03 2,742
188058 왼쪽 가슴이 쥐어짜듯이 간간히 짜여지는것 같습니다. 혈압(140.. 14 심근경색? 2012/12/03 3,111
188057 남편이 수염을 기르겠데요ㅠㅠ 7 루미 2012/12/03 1,969
188056 거리가 조금 먼 병설유치원보낼까요? 1 아띠 2012/12/03 1,406
188055 직장으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어디가 좋나요? 27 남편이직고민.. 2012/12/03 14,746
188054 초등 2-3학년 여자아이 옷 추천해주세요 4 속상해요 2012/12/03 1,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