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랑 저희 남편이랑 둘다 100% 매식해요.

저도 조회수 : 3,425
작성일 : 2012-11-22 13:20:01

아기가 있는데 두돌 안됐거든요.

입주 아줌마도 있는데 애기 어릴때 있던 분한테는 저녁밥 해달라고 해서 먹고 다녔는데

이번엔 그냥 저희 밥 하지말고 애 반찬해서 주고 채소랑 고기 생선 넣어놓을테니 이모 알아서 챙겨드시라고 했어요.

그렇게 해도 그 이모는 애 반찬 매일 세가지씩 하고 빨래 청소도 하고 애도 놀아주고 하니 그렇게 여유가 있는거 같진 않더라고요.

 

저녁밥 얻어먹고 다닐때는 이모가 저녁차리고 하는 시간도 꽤 잡아먹고 남편이랑 저랑 밥먹고 치우고 하는 시간도 꽤 길고 하다보니

제가 귀가해서 한시간 정도는 남편 기다리면서 저녁준비에 이모 투입 (국 끓이고 생선이나 고기 굽고 반찬 한가지 정도), 저는 아기 전담.

남편 귀가해서 삼십분 정도는 저랑 남편 식사, 이모 아기 전담.

저랑 남편 다 먹고 아기 맡고 있으면 이모 식사하고 설거지하고 음쓰 버리고 하는 시간도 사오십분.

이러다보면 너무 시간이 많이 들더라고요.

 

지금은 그냥 퇴근하면서 각자 알아서 먹고 오거나 특별한 날은 둘이 만나서 먹고

배 안고픈 날은 저녁은 사과 하나 정도만 먹어요.

그러니까 남편이랑 저랑 아침은 안 먹고 점심은 회사에서 사람들이랑 먹고 저녁은 각자 해결하거나 안 먹거나 하는건데

어떨때는 하루에 한끼 먹는 날도 있는데 중간중간 과일 먹고 하니 또 특별히 배고프단 생각은 안 들어요. 

근데 몸에는 안 좋겠죠...

 

주말에는 그냥 고기집 가거나 테이크아웃해서 집에서 먹거나 해요.

제가 식사준비 하다보면 또 남편이 혼자 애기 봐야 되는데 이 아이가 남편은 별로 안 따르고...

남편이 먹을걸 만들면 대부분 괴식이 되거나 가스렌지랑 프라이팬이 폭탄을 맞거나...

시어머니는 넘 안타까워 하시면서 시댁 와서 밥 먹으라고 하시는데 가면 제가 또 가만히 있을수가 없어서 그것도 사양하고 있어요ㅠ

 

그래서 저희 계획은 아기가 36개월 넘어서 같이 식사할 수 있게 되면 그때나 집에서 밥먹지 않을까 해요.

지금은 정상적인 생활 올스탑 중 ㅎㅎ휴ㅠㅠㅠㅠ

건강검진이 두려워요 ㅠ
IP : 171.161.xxx.5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2.11.22 1:37 PM (203.125.xxx.162)

    충분히 그럴수 있을꺼 같은데요.
    아기가 어리고 부부가 맞벌이면 도대체 무슨 정신이 있나요.
    윗분 질문은 정말 고루하네요. 아이가 엄마가 해주는 음식을 안먹어본것만 궁금하고
    아빠가 해주는 음식을 안먹어본건 안궁금하겠지요??
    엄마가 직장 다니면서 돈벌고 회사 갔다오면 아기 보고 있는데.. 거기에다가 더해서
    어느세월에 음식까지 하고 있나요..
    아이보는 이모가 아이음식하고 있고.. 성인은 집밖에서 만든 음식으로 해결하는데 그게 뭐 그리 큰일 날 일이라고요. 아이가 어느정도 자라면.. 그 이모가 아이보는 시간이 줄어들고.. 그 시간동안 집에서 밥을 하면
    그러면 어느정도 생활 리듬이 찾아가겠지요.

    전 지금 싱가폴 살고 있는데요. 여기에선 그런 경우 아주 흔해요.
    사실 한국처럼 집에서 먹는밥에 목숨거는 문화가 여자를 옭아매는데에는 더할나위 없이 훌륭한 장치가 되죠.
    여기 여자들 사는거 보다가 한국에 있는 내친구들 - 특히 맞벌이하면서 육아하는 내 친구들 보면
    정말 우리나라 맞벌이여자들이 세상에서 제일로 비참한 삶을 살고 있다는거..

  • 2. ??
    '12.11.22 1:41 PM (59.10.xxx.139)

    반찬 세가지 하시면 밥만 한그릇 더 놓고 먹으면 안되나요?
    저희는 아기반찬 같이 먹어요
    나물이나 두부 그런거요

  • 3. ..
    '12.11.22 1:42 PM (61.43.xxx.59) - 삭제된댓글

    잘하고 계신거라 생각합니다..밥까지 해먹느라고 아둥바둥 대는것보다 매식하고 생긴 여유로 아이한번 더 볼수 있고..아이 크면 자연스럽게 또 집밥으로 바꿀 수 있을 거에요..

  • 4. ...
    '12.11.22 1:45 PM (119.194.xxx.64)

    직장일 하는 제 친구들...대부분 자기가 밥 안해요. 아주머니가 해주시거나 친정어머니 시어머니 다 동원해서 음식 국 부쳐주시면 데워먹는 수준이더라구요. 시대가 그렇게 바뀌었네요.

  • 5. 저도
    '12.11.22 1:51 PM (171.161.xxx.54)

    저희 애는 엄마가 해준 밥은 제가 직장을 다니는 한 먹기 힘들겠죠...
    특별한 날 (생일 미역국, 소풍 김밥, 수능날 도시락 ㅎㅎㅎ) 이 아니라면요.
    엄마가 직장 다니면 어쩔수 없다고 생각해요.
    대신 재료 사고 식단 짜두고 뭘 얼마나 먹는지 늘 체크하고 있어요.
    이건 아마 아이가 성인이 되기 전까지는 제가 계속 체크할 부분이 아닐까 생각하고요.

    저는 몇년 매식할 수밖에 없는 여건이지만 그냥 제 건강도 좀 걱정이 돼서 올린 글인데...
    저도 고혈압 걸리고 위 버리고 하면 안되잖아요. ^^;

  • 6. 글쎄요..
    '12.11.22 1:56 PM (121.147.xxx.224)

    두돌이면 지금도 같이 밥 먹을 월령은 돼요.
    위에 어느 분 말씀처럼 아이 세돌 넘으면 아마 아이와 같이 매식하실거 같네요.
    걱정하시는 부분도 맞는게.. 원글님과 남편분이 매식하시면서 건강에 좋은거 영양소 따져서 고르진 않으시죠.
    그게 아이랑 먹는다고 달라지지 않아요. 맵지 않은걸로 선택하시겠지만 나트륨 부분은 간과하시게 될거에요.
    친구가 카스에 올리는 사진이 매일, 정말 하루도 빼지 않고 매일 어디 레스토랑에서 애랑 외식하는 사진인데
    처음엔 이야 편하고 좋겠다 부러웠다가 이제는 다섯살난 친구네 애 건강걱정이 될 정도에요.

    아이가 얼만큼 크면 그때 딱 어쩌겠다.. 계획하지 마시고 지금부터 일주일에 한번이라도 집에서 같이 드세요.
    아이도 엄마아빠와 같이 밥 먹는 재미를 알아야지 않겠나요..
    원글님이 직접 요리하시라는게 아니고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도우미분도 계시니
    저녁시간이라도 가능한 날은 함께 보내시라구요.

  • 7. 저희도..
    '12.11.22 1:57 PM (222.121.xxx.183)

    저희도 그래요..
    사실 그래서 걱정이 많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3449 단일화도 좋고 다 좋은데 빨쿡 게시판은 진정좀 해야되는거 아닌가.. 5 ㅇㅇㅇㅇ 2012/11/22 1,175
183448 안깐 더덕...보관 어떻게 해야해요?? 1 택이처 2012/11/22 1,096
183447 안철수 - 선무당이 사람잡는 꼴이네요 미치긋다 2012/11/22 842
183446 문재인이 문제에요 현실을 못보고 있어요 26 금호마을 2012/11/22 2,060
183445 이와중에.. 키엘크림 왜이리 아픈가요? 11 2012/11/22 2,232
183444 금방 속보 라면서 펀드 취소글 사라졌네요? 8 holala.. 2012/11/22 1,814
183443 누가 진구죠? 3 보고싶데이 2012/11/22 976
183442 말로만 정몽준이 대인이라고 할게 아니라 5 음. 2012/11/22 860
183441 손학규가 후보였다면..... 7 자업자득 2012/11/22 1,125
183440 3자로 갔을때 문재인이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 8 신조협려 2012/11/22 1,442
183439 종합부동산세나왔네요 6 종부 2012/11/22 1,694
183438 유치원 영어 파견 강사.. 재미가 먼저에요? 학습이 먼저에요??.. 11 ^^ 2012/11/22 2,754
183437 솔직히 이나라는 그냥 답이 없어요.. 5 쓰리고에피박.. 2012/11/22 965
183436 소나타혹은 싼타페 3 차고민 2012/11/22 1,082
183435 현싯점 가장 중요한거..................! 3 우리는 2012/11/22 713
183434 갑상선암 수술 이주가 지났어요. 14 씩씩하게 2012/11/22 2,999
183433 안철수란 찌질한 인간때문에 박원순 17 ... 2012/11/22 2,034
183432 슈...대체 안철수는 무슨 생각인가요? 12 ㅇㅇㅇㅇㅇ 2012/11/22 1,680
183431 문국현=안촬수 8 신조협려 2012/11/22 992
183430 촛불 숫자가 늘어 나는군요.. 1 .. 2012/11/22 1,086
183429 단일화는 무조건 됩니다... 2 ㅇㅇㅇ 2012/11/22 1,288
183428 동대문에서 하계동까지 12시이후에 버스있나요? 1 ... 2012/11/22 610
183427 영화 '26년' 개봉일 예매하려고 했더니 왜 이렇게 개봉관이 적.. 4 ... 2012/11/22 1,299
183426 초등 방과후 (과학로봇) 어떤가요? 5 고민중 2012/11/22 1,436
183425 펄 가득한 아이섀도우 추천 좀 해주세요^^ 7 파파야 2012/11/22 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