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딩때 까지 잘하다가 고딩때 떨어지는 아이는?

... 조회수 : 3,127
작성일 : 2012-11-21 15:00:21

어떤 경우 인가요?

너무 학원에 의지하는  경우일까요?

주변에 중딩때 전교 1~2등 하고 학원 플래카드에 이름 나고 했는데..

중 2.3 때 조금 떨어지고 그러다 고딩 때 많이 떨어져서 낙심을 하는 걸 봤어요.

그 아이는 학원 다니는건 지긋지긋해 하면서도 안다니면 불안하고...

자기주도 학습이 완벽한 아이는 고딩때도 탄탄할까요?

IP : 115.90.xxx.15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1.21 3:02 PM (211.237.xxx.204)

    영수 기초가 탄탄하지 않고 책읽기등이 덜 된 경우는 그렇더군요..
    언어는 정말 살인적인 지문량이던데 평소에 책을 많이 접해보지 않은 학생들은
    지문에서 나가떨어지고... 영수는 교과서에서만 출제되다가 고딩 되니 교과서 이외의 지문이 많이 나오고
    수학도 마찬가지 변별력을 위해 심화 문제가 많다보니 어설프게 벼락치기 하던 애들은 떨어집니다.

  • 2. ..
    '12.11.21 3:06 PM (121.157.xxx.2)

    중학교내신 물내신이라고들 많이 하잖아요?
    전과목이 내신에 들어 가는 중학교때와는 달리 고등은 영수 잘하면 두각 나타내죠.

  • 3. 컥...
    '12.11.21 3:06 PM (112.187.xxx.29)

    원글님 맨 마지막줄 수정이요......ㅠ.ㅠ....ㅎㅎㅎ....
    저는 왜 이런 단어만 눈에 쏙쏙 들어올까요???
    썩었어.....ㅡ..ㅡ

  • 4. ㅋㅋ
    '12.11.21 3:07 PM (220.85.xxx.38)

    컥님 덕분에 웃고 갑니다.ㅇ.
    저런 오타는 좋아요~~

  • 5. 저요!
    '12.11.21 3:12 PM (124.54.xxx.45)

    제가 그랬는데요!!!
    결론은 엉덩이 무거운 사람이 이기는 겁니다.-_-;;;
    중학교때 공부 좀 했다고 고딩때도 그 성적 나오겠지 하고 자만했다가 확 미끄러졌습니다.
    비평준화 지역이라 내신 잘 받으려고 낮춰 갔기에 자만 좀 마이 떨었죠.
    나보다 못하는 친구들이란 자만..
    그 자만 덕에 확 미끄러지고 더 하기 싫고 그냥 그런 3년을 보냈어요.
    대학 가서 정신 확 차려 좋은 직장에 다녔고 그리 살았네요.
    저는 진짜 공부는 고등학교라고 생각합니다

  • 6. 냐~
    '12.11.21 3:15 PM (116.37.xxx.17)

    저도 첫번째 댓글님에 동의해요. 제가 고등위주로 수학 과외하는데 가만히 보면 중학교 내신은 학원에서 풀리는 문제만 대충 기계적으로 풀어도 시험 볼만해서 성적이 나오는데 고등학교부터는 생각을 해야해요. 원리를 이해하고 문제를 파악하고 생각을 하는 능력이 필요해져요. 시험범위도 중학교보다 훨씬 많아지고, 외워야할 것도 이해해야할 것도 많아지는 거죠. 사실 공부방법만 봐도 같이 해서 성적 올려주기가 쉽겠다 ~ 혹은 시간이 좀 걸리겠다가 보이더라구요. 중학교 내신을 학원으로 만든 학생의 경우 문제양으로 승부하려하는데 사실 모르는 거 꼼꼼히 보면서 넘어가는 질이 중요하거든요. 중학교때 지나친 선행보다는 꼼꼼한 자기 학년공부와 심화 문제풀기 그리고 수준에 맞는 독서가 고등학교 내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요즘 학생들은 생각하거나 모르는 부분을 혼자 찾아보려는 의지가 떨어지더라구요. 부모님들은 자꾸 진도만 많이 문제만 많이 풀게해주길 원하시는 분들이 많구요 ㅜㅜ

  • 7. 저요님
    '12.11.21 3:24 PM (210.123.xxx.109) - 삭제된댓글

    제가 어제부터 완전 멘탈붕괴가 이런 맛이구나....느끼고 있는중에 반가운 글이네요.
    아이 성적표를 받고 얼마나 울었는지..

    저요님.
    제아이가 고2 남자이예요
    중학때 최상이었고,
    고등도 1학년때는 완전 범생이.
    2학년 초만 해도 담임샘도 담임된 이래 처음으로 실장 될만한 아이가 되었다고 생각했답니다.
    1학기 중간고사 이후로 미끄럼... 2학기 중간 고사 상상이외의 점수..
    왜냐고 물었더니 하기 싫답니다.
    선생님 말씀으로 그리 꼴뵈기 싫은 행동만 한답니다.
    사춘기 아이들 다 그럴까요?
    왜 자꾸 망가지려고 하는지.... 눈물만 나고 겁나요.


    저는 걱정됩니다
    돌아올지....

  • 8. 고등은
    '12.11.21 3:42 PM (121.162.xxx.6)

    뒷심?이 있어야 해요
    초,중등부터 미리 사교육 무리하게 시켜서
    진을 다 빼버린 아이들- 자기 주도적이지도 못하고
    독서력도 부족하면 고등에서 완전 밀리죠
    거기에 꿈과 비전이 없으면..
    절대 성적 올리지 못합니다

    올 초 신문기사에서 통계조사를 한 자료 보고 놀란게..
    고1 첫 모의고사 성적이 고3까지 동일한 경우가 무려 95프로라네요
    나머지는 더 떨어지고,,성적 올린 3프로의 학생들의 공통점은
    꿈과 목표가 명확했다고 하더라구요

  • 9. 머리
    '12.11.21 4:14 PM (223.63.xxx.201)

    중학교까지는 돈으로 밀어도되고
    엉덩이 힘으로도 상위권이 가능한데
    고등학교가면 지능이 죄우합니다

    공부량이 많아서 이해하지 않고 외워서 하는
    공부는 벽에 부딪히고 아이도 힘듭니다

    머리 좋은 애들이중학교때까지 놀며 하며 영수 기본이나 다진애들이 맘먹고 달려들면 최상위권에 올라가기 쉬운 이유기도 하구요

  • 10. xy
    '12.11.21 7:26 PM (180.182.xxx.140)

    일단 이것도 좀 분석이 필요해요
    문제자체가 평이한 학교를 다닌경우..적당히 수업시간 잘듣고 적당히 공부하고.적당히 이해하고.
    이해안되는건 외우고..뭐이렇게 해도 성적이 나와요.적당히 머리 받쳐주면 좋구요.
    또 재수없어서 빡센학교.애들이 전체적으로 잘하는 학교에 다닌경우는 등수자체는 좀 낮더라도.그안에서 평가기때문에 섯불리 판단을 못하겠더라구요.
    그러니 이런경우 고딩가서 어떻게 될지를 모르는거죠.
    고딩은 문제수준으로 따질수ㅗ 없고. 또 모의고사라는게 전국적으로 똑같이 있으니깐요.

    근데 원글님처럼 자기주도가 되냐 안되냐 의 문제로 결론내리긴 힘들어요.
    자기주도가 되어도 그 아이가 받아들이는 한계라는게 또 얼마냐 하는것도 있으니깐요.
    가령 예를 들면 이런거죠.
    예전에도 적었지만 초등때 반에 90점 이상이 20명이다.그럼 그 20명이 다 같은 수준이 아닌거잖아요.
    그,러나 점수자체로는그래요.
    최대치가 90점인 아이도 있고..최소치가 90점인 아이도 있으니깐요.
    중딩도 마찬가지..최고치와 최저치가 90점이라며 이야기가 달라지는거죠.
    고딩은 그런게 없으니깐요.
    걍 지 머리능력대로 나오니깐여.
    고딩은 최저치라고 말할수 있는게 없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4302 최선입니까? 18 // 2012/11/24 2,320
184301 희망은 어디로.... 8 티켓 환불 2012/11/24 1,391
184300 민들레차 1 위염 2012/11/24 2,465
184299 정신 차립시다, 왜 자멸하는 줄 알면서 늪으로 들어가세요...... 22 가슴이 아픕.. 2012/11/24 2,823
184298 안철수씨를 이제 문재인 선거 안돕는다고 욕하기 시작하겠죠? 18 한마디 2012/11/24 2,758
184297 이제 맹빠, 닭빠들이 바쁘겠군요 3 참맛 2012/11/24 1,523
184296 성숙한 유권자의 자세 2 유권자 2012/11/24 1,314
184295 문지지자들이 제일 웃긴점 18 허허 2012/11/24 2,059
184294 어제 슈스케 우승자 로이킴 됬어요. ^^ 8 규민마암 2012/11/24 2,886
184293 그래도 사랑하라 4 퍼왔어요. 2012/11/24 1,356
184292 안철수, 참 고단수다 18 \\ 2012/11/24 3,410
184291 누가 되느냐보다 누가 되면 안되느냐에 촛점을 맞추니 보이네요 10 달려라 2012/11/24 1,631
184290 비우지 못했기에 얻을수도 없었다. 굿바이 문재인 23 ㅇㄷㅇ 2012/11/24 2,133
184289 비열한 협박 사기꾼의 표본 문재인 8 마지막제안 2012/11/24 1,510
184288 난생 처음 선거하기 싫어진다!! 6 .... 2012/11/24 1,378
184287 단일화방식을 안후보측이 결정하도록 맡기겠다 8 문죄인 2012/11/24 1,884
184286 헬스장에서 타월인데 찍찍이가 있어서 머리에둘렀어요 타월 2012/11/24 1,576
184285 우린 안철수를 얻었네요..... 11 미래로~ 2012/11/24 1,982
184284 안철수, 문후보 선대위장 맡을 듯 13 참맛 2012/11/24 3,084
184283 안철수는 끝까지 불쏘시개 4 드런세상 2012/11/24 1,449
184282 10분만 더 하는 이유... 잔잔한4월에.. 2012/11/24 1,208
184281 서영석 김용민 정치토크 올라왔네요. 4 정치평론 2012/11/24 2,617
184280 어젯밤 잠을 이루지 못한 사람은 저뿐인가요? 7 ........ 2012/11/24 1,193
184279 안철수후보사퇴 충격으로 뜬눈으로 밤을 새네요... 14 슬픈현실 2012/11/24 2,837
184278 이번 대선결과(정체성에 대하여..) 국제사회에 대한민국 이미지가.. 3 정색의 몸가.. 2012/11/24 1,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