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딩때 까지 잘하다가 고딩때 떨어지는 아이는?

... 조회수 : 3,129
작성일 : 2012-11-21 15:00:21

어떤 경우 인가요?

너무 학원에 의지하는  경우일까요?

주변에 중딩때 전교 1~2등 하고 학원 플래카드에 이름 나고 했는데..

중 2.3 때 조금 떨어지고 그러다 고딩 때 많이 떨어져서 낙심을 하는 걸 봤어요.

그 아이는 학원 다니는건 지긋지긋해 하면서도 안다니면 불안하고...

자기주도 학습이 완벽한 아이는 고딩때도 탄탄할까요?

IP : 115.90.xxx.15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11.21 3:02 PM (211.237.xxx.204)

    영수 기초가 탄탄하지 않고 책읽기등이 덜 된 경우는 그렇더군요..
    언어는 정말 살인적인 지문량이던데 평소에 책을 많이 접해보지 않은 학생들은
    지문에서 나가떨어지고... 영수는 교과서에서만 출제되다가 고딩 되니 교과서 이외의 지문이 많이 나오고
    수학도 마찬가지 변별력을 위해 심화 문제가 많다보니 어설프게 벼락치기 하던 애들은 떨어집니다.

  • 2. ..
    '12.11.21 3:06 PM (121.157.xxx.2)

    중학교내신 물내신이라고들 많이 하잖아요?
    전과목이 내신에 들어 가는 중학교때와는 달리 고등은 영수 잘하면 두각 나타내죠.

  • 3. 컥...
    '12.11.21 3:06 PM (112.187.xxx.29)

    원글님 맨 마지막줄 수정이요......ㅠ.ㅠ....ㅎㅎㅎ....
    저는 왜 이런 단어만 눈에 쏙쏙 들어올까요???
    썩었어.....ㅡ..ㅡ

  • 4. ㅋㅋ
    '12.11.21 3:07 PM (220.85.xxx.38)

    컥님 덕분에 웃고 갑니다.ㅇ.
    저런 오타는 좋아요~~

  • 5. 저요!
    '12.11.21 3:12 PM (124.54.xxx.45)

    제가 그랬는데요!!!
    결론은 엉덩이 무거운 사람이 이기는 겁니다.-_-;;;
    중학교때 공부 좀 했다고 고딩때도 그 성적 나오겠지 하고 자만했다가 확 미끄러졌습니다.
    비평준화 지역이라 내신 잘 받으려고 낮춰 갔기에 자만 좀 마이 떨었죠.
    나보다 못하는 친구들이란 자만..
    그 자만 덕에 확 미끄러지고 더 하기 싫고 그냥 그런 3년을 보냈어요.
    대학 가서 정신 확 차려 좋은 직장에 다녔고 그리 살았네요.
    저는 진짜 공부는 고등학교라고 생각합니다

  • 6. 냐~
    '12.11.21 3:15 PM (116.37.xxx.17)

    저도 첫번째 댓글님에 동의해요. 제가 고등위주로 수학 과외하는데 가만히 보면 중학교 내신은 학원에서 풀리는 문제만 대충 기계적으로 풀어도 시험 볼만해서 성적이 나오는데 고등학교부터는 생각을 해야해요. 원리를 이해하고 문제를 파악하고 생각을 하는 능력이 필요해져요. 시험범위도 중학교보다 훨씬 많아지고, 외워야할 것도 이해해야할 것도 많아지는 거죠. 사실 공부방법만 봐도 같이 해서 성적 올려주기가 쉽겠다 ~ 혹은 시간이 좀 걸리겠다가 보이더라구요. 중학교 내신을 학원으로 만든 학생의 경우 문제양으로 승부하려하는데 사실 모르는 거 꼼꼼히 보면서 넘어가는 질이 중요하거든요. 중학교때 지나친 선행보다는 꼼꼼한 자기 학년공부와 심화 문제풀기 그리고 수준에 맞는 독서가 고등학교 내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요즘 학생들은 생각하거나 모르는 부분을 혼자 찾아보려는 의지가 떨어지더라구요. 부모님들은 자꾸 진도만 많이 문제만 많이 풀게해주길 원하시는 분들이 많구요 ㅜㅜ

  • 7. 저요님
    '12.11.21 3:24 PM (210.123.xxx.109) - 삭제된댓글

    제가 어제부터 완전 멘탈붕괴가 이런 맛이구나....느끼고 있는중에 반가운 글이네요.
    아이 성적표를 받고 얼마나 울었는지..

    저요님.
    제아이가 고2 남자이예요
    중학때 최상이었고,
    고등도 1학년때는 완전 범생이.
    2학년 초만 해도 담임샘도 담임된 이래 처음으로 실장 될만한 아이가 되었다고 생각했답니다.
    1학기 중간고사 이후로 미끄럼... 2학기 중간 고사 상상이외의 점수..
    왜냐고 물었더니 하기 싫답니다.
    선생님 말씀으로 그리 꼴뵈기 싫은 행동만 한답니다.
    사춘기 아이들 다 그럴까요?
    왜 자꾸 망가지려고 하는지.... 눈물만 나고 겁나요.


    저는 걱정됩니다
    돌아올지....

  • 8. 고등은
    '12.11.21 3:42 PM (121.162.xxx.6)

    뒷심?이 있어야 해요
    초,중등부터 미리 사교육 무리하게 시켜서
    진을 다 빼버린 아이들- 자기 주도적이지도 못하고
    독서력도 부족하면 고등에서 완전 밀리죠
    거기에 꿈과 비전이 없으면..
    절대 성적 올리지 못합니다

    올 초 신문기사에서 통계조사를 한 자료 보고 놀란게..
    고1 첫 모의고사 성적이 고3까지 동일한 경우가 무려 95프로라네요
    나머지는 더 떨어지고,,성적 올린 3프로의 학생들의 공통점은
    꿈과 목표가 명확했다고 하더라구요

  • 9. 머리
    '12.11.21 4:14 PM (223.63.xxx.201)

    중학교까지는 돈으로 밀어도되고
    엉덩이 힘으로도 상위권이 가능한데
    고등학교가면 지능이 죄우합니다

    공부량이 많아서 이해하지 않고 외워서 하는
    공부는 벽에 부딪히고 아이도 힘듭니다

    머리 좋은 애들이중학교때까지 놀며 하며 영수 기본이나 다진애들이 맘먹고 달려들면 최상위권에 올라가기 쉬운 이유기도 하구요

  • 10. xy
    '12.11.21 7:26 PM (180.182.xxx.140)

    일단 이것도 좀 분석이 필요해요
    문제자체가 평이한 학교를 다닌경우..적당히 수업시간 잘듣고 적당히 공부하고.적당히 이해하고.
    이해안되는건 외우고..뭐이렇게 해도 성적이 나와요.적당히 머리 받쳐주면 좋구요.
    또 재수없어서 빡센학교.애들이 전체적으로 잘하는 학교에 다닌경우는 등수자체는 좀 낮더라도.그안에서 평가기때문에 섯불리 판단을 못하겠더라구요.
    그러니 이런경우 고딩가서 어떻게 될지를 모르는거죠.
    고딩은 문제수준으로 따질수ㅗ 없고. 또 모의고사라는게 전국적으로 똑같이 있으니깐요.

    근데 원글님처럼 자기주도가 되냐 안되냐 의 문제로 결론내리긴 힘들어요.
    자기주도가 되어도 그 아이가 받아들이는 한계라는게 또 얼마냐 하는것도 있으니깐요.
    가령 예를 들면 이런거죠.
    예전에도 적었지만 초등때 반에 90점 이상이 20명이다.그럼 그 20명이 다 같은 수준이 아닌거잖아요.
    그,러나 점수자체로는그래요.
    최대치가 90점인 아이도 있고..최소치가 90점인 아이도 있으니깐요.
    중딩도 마찬가지..최고치와 최저치가 90점이라며 이야기가 달라지는거죠.
    고딩은 그런게 없으니깐요.
    걍 지 머리능력대로 나오니깐여.
    고딩은 최저치라고 말할수 있는게 없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5739 국정원 엘리트들이 댓글 알바 하느라 ... 8 이런 기사도.. 2012/12/18 1,602
195738 표창원<전>교수님?? 5 무식이탄로났.. 2012/12/18 1,634
195737 표창원 교수님 샤우팅 보고 반성합니다. 5 대단하신분 2012/12/18 2,177
195736 [기도글](12.17)금식16일째, 대적하는 기도.. 5 믿음 2012/12/18 1,596
195735 내가 문재인후보에 투표해야 하는 이유. 고민해결 2012/12/18 811
195734 어제 깜짝 놀란 두가지! 1 죽전유세 2012/12/18 1,028
195733 표창원교수 토론 언제 또다시 하시나요? 2 지현맘 2012/12/18 1,373
195732 보지도 않았던 신문과 지로 영수증이 오늘 아침 집앞에 놓여있어요.. 1 신문사절 2012/12/18 1,274
195731 남편이 거짓말을 했어요. 12 불량맘 2012/12/18 4,247
195730 12월 18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12/18 1,017
195729 윤여준 찬조연설을 링크 걸어서 메일로 보내는법? 1 1219 2012/12/18 813
195728 달(Moon)이 차오른다, 가자!!! 6 대통령전문가.. 2012/12/18 1,482
195727 밤새, 나꼼수+김정남 검색해주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16 두분이 그리.. 2012/12/18 2,686
195726 지난 총선때 우리동네 보니 투표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1 ... 2012/12/18 796
195725 [투표시간]오전6시부터 오후6시까지! 모르시는분들 많다합니다!.. 2 꾸지뽕나무 2012/12/18 623
195724 이번 선거엔 당원들(?)길거리유세 없나요??? 5 요즘은 2012/12/18 981
195723 베이킹 또 여쭤 봅니다. 5 베이킹 2012/12/18 815
195722 오늘도 나갑니다. 16 분당 아줌마.. 2012/12/18 2,094
195721 하나로마트 양재 절임배추 20킬로 지금 얼마인가요? 6 미즈박 2012/12/18 3,238
195720 우와....진짜 무섭네요....ㅠ 14 ㅠㅠ 2012/12/18 5,528
195719 새벽에 이런 문자를 받았어요 3 이런 2012/12/18 2,257
195718 새마음 운동에서 새마음 포럼까지 베타 2012/12/18 1,381
195717 일베충 58.236. xxx.150 집은 부산? 2 세스코 2012/12/18 1,017
195716 납치강간후 돌로 사람 죽여도 무죄라는 문재인 6 유능한변호사.. 2012/12/18 4,331
195715 국민과 똑닮은 대통령 진정한 보수.. 2012/12/18 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