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 달에 전기세 가스세 얼마나 나오는지요?

얼마나 조회수 : 3,186
작성일 : 2012-11-21 03:09:57

제가 어느 정도 쓰는지 그리고 자극 받고 절약할 수 있다면 절약하려구요.

저는 둘이 사는데 전기세 3만원 조금 더 나왔고 가스비 13000원 나왔어요.

가스는 아직 한 번도 난방 안 했고 더운 물만 쓰고

가전 제품 중 김치냉장고 없고 식기 세척기도 없고 쓰는 건 컴 두 대랑 전기장판 잘 때 하나 그리고

한 달에 4번 세탁기 돌리는 정도에요.

쓰는 거에 비해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 건지 어떤건지 모르겠어요. 

평수는 작아요. 15평 정도?

IP : 182.172.xxx.137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추억만이
    '12.11.21 3:27 AM (222.112.xxx.137)

    중요한건 여기서 평수....

  • 2. ㅡㅡ
    '12.11.21 4:45 AM (125.133.xxx.197)

    전기세가 많이 나오네요.
    컴퓨터를 하루종일 켜 두시나요?
    4가족 컴퓨터 2대 전기장판 3장(각 침대마다) 냉장고, 김치냉장고,
    다리미질 매일하고, 청소기는 좀 뜸하게 돌리고 세탁기 거의 3일에 한번씩 돌리는데
    4만원 좀 안나와요.

  • 3. 저희..
    '12.11.21 6:13 AM (175.211.xxx.172)

    사십평 이층짜리 전원주택...전기세 2만오천원나옵니다... 다른것보다 청소기 헤어드라이어 전기포트 전기밥솥으로 밥하기 이거 네가지 가전만 없애도 전기세 확 줄어요. 전 전업이라 시간이 많아서 일일이 빗자루질하고 머리는 선풍기 바람으로 말리고 밥은 압력솥으로 커피는 주전자 물끓여서 해요. 가스는 누진세가 아니니까요~남들이 하도 궁상맞다고들 해서 이제 남들한테 말안하지만...ㅠㅠ 참고하세요. 저희 부부는 이렇게 푼돈모아 태산되더라구요^^

  • 4. 저희..
    '12.11.21 6:17 AM (175.211.xxx.172)

    저희 여기로 이사와서 예전 20평 아파트살때 전기세 2만원나오던게 5만8천원나와서 더 독하게 아낀거구요. 집에 있는 가전제품 소비전력 싹 메모해서 정리해보면 어떤 제품사용을 줄여야 더 효율적인지 감이 옵니다. 심지어 불켜고 밖에 그 뭐라고하죠...전력체크기? 에 판돌아가는 속도까지 체크했었어요. 저희부부는 이쪽으로 죽이 잘맞아서 둘다 불편하지 않으니 넘 궁상이라고 욕은 말아주세요^^;;;;

  • 5.
    '12.11.21 6:22 AM (175.114.xxx.118)

    저희는 34평 두 명에 가스 15천, 전기는 5만 정도 나왔어요.
    8월에는 전기가 30이던가...-.-;;;;; 무시무시했죠 ㅜㅜ

  • 6.
    '12.11.21 7:09 AM (58.226.xxx.48)

    많이 나오는것도 아니지 않나요?

    전 주중에 저혼자 있구요 주말에만 남편이 오거든요..
    전기세는 17400원선 전자렌지 없고 티비도 없어요.밥솥은 이틀에 한번정도 돌려요. 가전제품이 거의 없는데도 이렇게 나오네요. 발열제품은 거의 사용 안하고요 . 전기요는 밤 9-10시부터 켜거든요.
    헤어드라어기도 매일 사용 안하고요. 청소기는 집이 작아서 정말 금방해요.5분-8분 사이면 끝
    하루종일 돌아가는건 오로지 냉장고 밖에 없어요( 김치 냉장고 없습니다.)
    평소에 안쓰는 코드는 무조건 뽑아 놓고요. 외출할때는 냉장고 제외하고 전기코드에 꼽혀 있는 가전은
    단한개도 없어요. 컴퓨터도 사용 끝나면 바로 다 뽑네요 전기코드

    가스비는 17000원선 가스비도 생각보다 많이 나오더라구요.
    저 주중에 취사 별로 안하고요. 난방은 전혀 안해요 .
    오전에 샤워할때 10분-15분 정도 사용하지만 ( 거의 10분 미만으로 사용합니다.)
    저녁에는 그냥 찬물로 대충 세수 양치질 발만 닦고요. 켜도 3-5분정도 켰다가 끄거든요.
    그래도 저렇게 나오더라구요.
    저처럼 쓰는 분들 만원대 초반이던데..

    저는 개인주택 거주 하고 있어요. 여기서 더 아끼기도 힘든데 그래요.ㅠ

  • 7. 더많이
    '12.11.21 8:31 AM (1.254.xxx.229)

    전기세67000원 가스비10만원
    애들이 드라이기 고데기 매일 사용합니다. 나머진 절전콘센트로 해결하는데 전기세는 잡을수 없네요.
    엄마랑 같이 있어 난방도 계속해서 그런지 가스비10만원
    근데 전 주택에 살다와서 기름값에 비하면 넘 저렴해서 거기에 위안삼아 지냅니다.

  • 8. 22
    '12.11.21 8:41 AM (180.68.xxx.90)

    전 혼자 18평형 아파트 --전기 28000, 가스비 4만원....

  • 9. 메아쿨파
    '12.11.21 8:49 AM (218.54.xxx.232)

    20평..아이와 남편..가스 65000원..전기 2만원대..ㅜㅠ

  • 10.
    '12.11.21 8:52 AM (118.46.xxx.27) - 삭제된댓글

    알뜰한 분들 많네요

  • 11. ..
    '12.11.21 9:12 AM (211.202.xxx.134)

    저도 전기료 아껴볼려구 콘센트 쓸때만 꼽았더니 만원안쪽으로 줄었어요.전 세탁기도 매일 돌리고 김치냉장고도 쓰고 식기세척기 매일 돌리고 청소기도 이틀에 한번꼴로 쓰고 드라이기도 쓰고 노트북은 쓸때만 켜는데 3만원 안쪽으로 나와요.50평이고요.대기전력을 줄여보세요그리고 전기밥솥,컴퓨터 계속 켜놓기,텔레비젼이 전기 많이 먹는다니까 줄여보세요.근데 많이 쓰시는 것 같진 않아요.가스비는 아껴쓰시네요.

  • 12. 전기는 ...
    '12.11.21 10:48 AM (218.234.xxx.92)

    누진세가 무서워요. 12년 된 냉장고 바꾸니까 전력 사용량이 40킬로와트쯤 줄었어요(한달 기준)
    이게 제가 평소에 312~350 쓰다가 280대로 떨어진 건데, 전기요금이 5~6만원이다가 3만원대로 줄어서 깜놀..
    (저희집 52평)

    저희집도 전기는 거의 안쓰거든요. 세탁기-(삶는 기능 안쓰고) 한달에 4번,
    노트북 1대(제가 재택근무하기 때문에 늘 켜둠), TV 1대(TV는 엄마가 늘 켜놓고 계심),
    전기장판 2개.. - 전기밥솥이 좀 문제에요. 밥을 잘 안먹어서 한번 해두면(2인분)
    2일 동안 보온 상태인데 이게 전기 많이 나가는 거 알면서도 버릇이 잘..

    TV가 오래 되어서 저거 바꾸면 또 한 20킬로와트는 없어질 듯해요.

  • 13. 전기절약
    '12.11.21 1:32 PM (118.39.xxx.139)

    32평아파트 전기요금 14600원 가스비는 지난달 18000원 나왔어요
    전기요금 전기밥솥 청소기 사용안해요

  • 14. 신선
    '12.11.21 1:57 PM (125.133.xxx.160)

    데스크탑 컴퓨터가 전기 소비량이 큽니다. 400w 이상으로 알고 있어요.

  • 15. 52평 정남향
    '12.11.21 3:07 PM (125.152.xxx.57)

    개별 보일러 가스비 설정온도 27도- 이번달 28000원 ( 근데 남향이라 그런지 돌아가는 시간은 밤에 몇시간 정도?)
    전기효율 등급 1등급으로 가전 모두-초대형 양문냉장고, 김냉, 밥솥, 컴퓨터 거의 24시간 켜져 있음( 일때문에) 청소기는 거의 안쓰고 부직포 걸레씀.

    낮에도 절전형 형과등 6-7개 켜진 상태-북향방은 어두워서 그쪽에 서재가 있기 때문에 켜야함
    전기세 이번달 3만원( 지역평균보다 낮다고 나옴)

    수도세 두달에 12000원 정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8037 쌍겉풀 매몰로 하면 결국은 풀릴까요? 8 고민맘 2012/12/08 2,614
188036 이시국에 중3이 읽을 책에 대해 좀 여쭐께요.. 4 중1맘 2012/12/08 720
188035 광화문 알박기 jPG 10 저녁숲 2012/12/08 12,018
188034 서울여대, 상명대,덕성여대 중 어디로... 13 수시 선택 2012/12/08 10,539
188033 광화문에 먼저 알박기 한 천박본색 5 참맛 2012/12/08 1,224
188032 안철수 합류, 그 이후-투표율 70%면 무조건 이긴다! 5 베리떼 2012/12/08 1,291
188031 (부산유세)오늘문재인에게놀란점 16 하루정도만 2012/12/08 4,542
188030 이 시국에 된장국에서 쓴 맛이 나요 6 된장 2012/12/08 1,818
188029 컴퓨터 바탕화면 어떤거 사용하세요?? 1 아지아지 2012/12/08 437
188028 오늘 문재인 광화문 유세 아이들 데려가도 괜찮을까요? 7 aprils.. 2012/12/08 1,659
188027 선풍기 난로를 하루종일 안고... 8 소란 2012/12/08 2,735
188026 후보 방송연설도 시청률 나오네요. 7 2배이상차이.. 2012/12/08 1,168
188025 위탄. 한동근 너무 우려 먹네요. 8 위탄3 2012/12/08 2,435
188024 조혜련 말이예요,... 28 꽈배기 2012/12/08 9,484
188023 우리 강아지가 옆에서 울어요.. 12 행복한용 2012/12/08 3,014
188022 우리 큰아들 서울대 합격했어요~ 56 haru58.. 2012/12/08 15,368
188021 융통성없는것도 @증상이죠? 2 @맘 2012/12/08 1,176
188020 친정식구랑 시누이 사이에서 저혼자만 답답하네요 45 답답 2012/12/08 9,597
188019 친정이 가난하면 시부모님 안계신 시댁에서도 사람을 무시하나요. 22 원래 2012/12/08 6,834
188018 문정동 아울렛 가격 은 어떻나요? 3 ... 2012/12/08 2,146
188017 김장 양념 어제 밤에 생새우넣고 만들었는데요.. 5 ㅇㅇ 2012/12/08 1,720
188016 야합 6 새정치 2012/12/08 427
188015 뉴스타파 37회 - 후보도 전쟁, 언론도 전쟁 2 유채꽃 2012/12/08 754
188014 저도 어제 투표하고 왔어요...베이징 6 재외국민 2012/12/08 715
188013 롯데홈쇼핑 최유라... 10 밉상 2012/12/08 8,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