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감정, 공감이 힘든 아이.. 걱정이예요.

어떻게할까요 조회수 : 1,821
작성일 : 2012-11-19 23:47:01

아이가 공감능력이 떨어져요.
아이와 함께 있으면서 당황스럽거나 화가 날때, 아이의 친구관계가 삐걱댈 때
아이의 감정선이 자연스럽지 않다는 것을 알게되었어요.
항상 바른생활 인간에게 요구되는 정답만 얘기하고, 상대방의 감정을 헤아리지 못하거나 관심이 없어요.
3~4년전에 처음 그런 생각을 하고 많이 노력해왔어요.
아빠는 물론이거니와 엄마도 이공계 바닥에서 20여년간 생활하면서,
목적지향적이고, 감정을 사치 또는 유치한 행동이라고 생각했었어요.
아이를 보고 느끼면서 제가 많이 노력했어요.
아동발달이나 육아관련 책도 많이 읽었고, 여기저기 교육도 많이 들으러 다녔고,
고민도 정말 많이 했어요.
제가 할수 있는 온갖 노력을 다해서 열심히 아이 키웠어요. 24시간을 아이를 위해 썼어요.
아이와 함께 여행하고, 영화보고 책읽고 TV보면서 대화 나누려고 많이 노력했어요.
아이에게 행복한 추억을 만들어주려 애썼어요.
결국엔 엄마가 정말 즐겁고 행복해야 된다는 생각에 저도 마음가짐을 많이 바꿨어요.

얼마전 두가지 사건이 있었어요.
아이 친구엄마가 제 아이가 교감이 안된다고 얘기하더라구요..
제가 알고있는 아이의 부족한 점, 그동안 그렇게도 노력해온 부분을 딱 집어서 얘기하시니,
더 슬프고 아팠어요. 옛날보다 많이 나아졌다고 자위하지만, 아직도 그런편 맞거든요. 네.. 인정해요.

그리고, 오늘 한 사이트에서 아이의 성향검사를 했는데,
창의성, 문화지능, 자기주도성, 시민의식, 대인관계지능 등 모두 95 포인트 이상 높게 나오고,
감성(Emotional) 지능이 바닥에 가까운 10포인트로 나왔어요. 자신과 상대방의 감정을 잘 모르고 표현을 못한다는거죠.
그냥 타고난 성향이려니하고 받아들여야 하는걸까요.
여자아이라서 더 걱정이예요.
아이가 독서를 좋아하는데, 작년까지는 주로 자연과학 책과 추리소설을 많이 읽었고, 올해는 세계명작을 즐겨읽어요.
이런 활동들도 별 도움이 안되나봐요?
엄마가 어떻게 해줘야할까요.. 어떻게 할까요..

IP : 39.119.xxx.24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파란토마토
    '12.11.19 11:51 PM (222.110.xxx.51)

    지금도 너무 잘하고 계신 걸요. 우리 아이도 비슷해서 더욱 마음이 쓰이네요.
    제 생각에는 지금처럼 꾸준히 노력하시면 사랑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아이의 몫도 분명 있다고 봐요. 따님이 성장해 나가면서 보고 듣고 느끼며 깨우쳐주길 기다려줘야 할 것 같습니다.
    저도 우리 아이 많이 응원하고 솔선해야겠습니다

  • 2. ㅇㅇ
    '12.11.19 11:53 PM (1.245.xxx.177)

    남녀 10%정도가 반대성향이랍니다.
    남자는 공간능력 대신 공감능력을.
    여자는 공감능력 대신 공간능력을.

    저 아는 여자아이가 원글님아이와 비슷한데 어쩔 수 없어요.
    그걸 이해해주는 친구를 만나야지 다른 방법이 없더군요.
    이해해주는 친구도 가끔 울면서 서운하다고 전화온대요.ㅠㅠ

  • 3. ...
    '12.11.20 12:22 AM (175.112.xxx.27)

    제가 그런 남자랑 삽니다. 너무 힘들어요.
    여자아이니까 적당히는 이끌어주세요.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도 하나일거 같네요. 연극같은것요
    공연 많이 보여주시고 창작 많이 보여주세요. 사회과학이 도움이 될 것 같지만 고등이 되면 아이의 능력 열쇠고리가 인문학이에요. 이게 창작이 바탕이 됩니다.

  • 4. 저희 아들...
    '12.11.20 12:34 AM (175.115.xxx.106)

    좀 비슷한거 같아요. 아기때 옆에서 무슨 말을 해줘도 저를 신경 안쓰고 혼자 생각에 빠져서 놀때도 많았고,
    옆 사람이 무슨 얘기를 하든, 감정이 어떻든 별로 이해를 못할때가 많았어요.
    이런 경우에도 공감능력이 떨어진다고 해야하는거겠죠?
    눈치가 없고, 상대방이 무슨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건 불가능해보이더군요.
    저도 그런 아이를 키우면서 도서관에 많이 데리고 가고, 책도 참 많이도 읽어주었어요.
    지금은 책을 좋아하는 아이가 되었는데, 지금 6학년이거든요. 생각의 폭이 좀 넓어졌어요.
    예전에 자기가 왜 그걸 이해못했지? 하는 얘길 많이 합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참 아둔하긴 하지만요.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고, 지금도 배워가야할게 남들보다 많지만, 그래도 점점 나아지는거 같더라구요.

  • 5. 제 아들도요..
    '12.11.20 1:03 AM (87.165.xxx.127)

    저는 외국에 살아요.
    이 아이때문에 상담도 많이 다녔었어요.
    어느날 이 아이 담당하시는 분이 그러시더군요..

    엄마의 의무는 아이를 많이 사랑해주고 의식주 잘 해결해주는 것이고
    그 나머지는 본인같은 전문가들의 몫이라구요..

    그 말씀을 듣고 저한테는 많은 위로가 되었던 기억이 있어요.
    현재는 사회성 치료받고 있어요..

  • 6. ㅇㅇ
    '12.11.20 10:29 AM (125.128.xxx.77)

    아스퍼거 성향이 보이네요.

    발달센터에 가보시면 좋겠어요.

    사회성 그룹 프로그램등 많으니 도움받으면 감정으로가 아니라 어느정도

    연습으로 커버가 가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5616 현관문 새로 다는데 비용이 얼마나 들까요? 어디다 문의를 해야하.. 1 문짝이떨어져.. 2012/12/03 1,372
185615 커피 끊어보세요 52 먹고 싶다 .. 2012/12/03 27,024
185614 코오롱 스파소 옷이 아직 나오나요? 3 춥네요~ 2012/12/03 1,958
185613 사람들이 들고 다니는 도너츠는 어떻게 사는건가요? 13 도너츠 2012/12/03 4,274
185612 최후의 제국 3부 볼 수 있을까요? 1 보고싶다 2012/12/03 870
185611 박근혜일가 재산이 4조라는데 박근혜는 불쌍하고 당신 자식들은 안.. 13 어르신들.... 2012/12/03 2,132
185610 아랫집 할아버지의 대선 걱정... 6 ..... 2012/12/03 1,683
185609 오늘 저녁 국은 어떤걸 준비하시나요? 19 초보요리사 2012/12/03 3,853
185608 카레할때 소고기랑 돼지고기랑 넣는것에 따라 맛이 틀리나요? 12 ... 2012/12/03 2,160
185607 여기 좋군요... 2 루돌프 2012/12/03 986
185606 154cm 45kg인 30대 이패딩은 어떤가요? 5 작은키가더작.. 2012/12/03 2,268
185605 영국 요리가 맛 없는 이유가 뭘까요? 37 궁금 2012/12/03 9,456
185604 대선후보 첫 TV토론..“반론 재반론 가능“ 6 세우실 2012/12/03 1,645
185603 요즘 저가 화장품 거의 반값 세일 하잖아요... 16 요즘 2012/12/03 4,826
185602 82에서 쇼핑몰 2012/12/03 618
185601 아메리카노 매일 마시는데 그만 마시고 싶어요.. 3 커피 그만 2012/12/03 2,437
185600 82쿡 다음으로 눈요기할 사이트 알아냈어요~ 13 재미있는 2012/12/03 6,792
185599 고구마 말랭이는 어떻게 먹죠? 2 고구마 2012/12/03 1,542
185598 디카페인 커피 맛있는거 추천좀 해주세요 4 .. 2012/12/03 2,044
185597 백화점 장난감가게에 갔는데요. 1 마고 2012/12/03 1,133
185596 사퇴할때랑 같은 반복에 감동하는 척하는 스토커들. 18 선거지고나면.. 2012/12/03 2,881
185595 이거 어디서 파나요,(이름을 몰라요)? 3 ... 2012/12/03 1,250
185594 무우조림.레시피 좀 알려주세요. 4 2012/12/03 1,655
185593 김장 배추 절일때 물의 양과 소금량요~ 6 이해를 못했.. 2012/12/03 11,177
185592 안철수 "그는 이미 다 말하였다" 6 화법 2012/12/03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