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절약하려면 카드안쓰고 현금만 쓰는게

나을까요 조회수 : 6,127
작성일 : 2012-11-19 11:18:38
오늘 문득 그런생각이 들어서요
아예 월급날 저축할것 딱 정해 해버리고
무조건 남은 현금으로
다음달 월급까지 산다

그럼 카드로 팍팍 살때보다는
지출을 신경 써 질까요?

그래야하나 카드 포인트.할인혜택받는게
낫나 모르겠어요
둘 다 해보신분들 ~듣고 싶어요
IP : 122.40.xxx.4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19 11:23 AM (180.224.xxx.55)

    옛날에 어릴때 그렇게 했는데 정말갑자기 돈필요할때 힘들어요 갑자기 은행찾기도힘들고 시간대 안맞으면 수수료 나가고.. 현금 다가지고 다니자니 부담되고

  • 2. ..
    '12.11.19 11:23 AM (58.237.xxx.15)

    포인트 포기하고 현금 지출로 소비 패턴을 바꿨는데요.
    훨씬 나아요.
    카드로 결재할려고 할때는 쇼핑 카트에 별 부담없이 담게되는데 현금을 정해서 가지고 가면
    거기에 맞게 구매할려고 하니까 절약도 되고요. 뭣보다 월급날을 카드사가 다 가지고 가는게 아니라서
    기분 좋고요.
    저는 새똥님이 추천한 다음 -금융- 커뮤니티- 에듀머니 칼럼을 읽고 배운게 많았습니다.

  • 3. ...
    '12.11.19 11:24 AM (1.244.xxx.166)

    현금만 쓴다는건..
    그냥 지금 사는 것을 많이 안산다는데 장점이 있는거 아닌가 싶어요.
    카드포인트 모아봤자
    그냥 한달에 10만원 안쓰는게 나을때가 많잖아요.
    특히나 소비액이 적으면 적을수록 포인트 얼마 안되고요.

    이것저것 따지는것보다 실생활에서
    마트안가고 슈퍼가고(조금밖에 안사게 되죠..살게 많지 않으니)
    커피숖안가고 사무실,집에서 믹스커피 마시면
    많이 절약되는것 같아요.

  • 4. ...
    '12.11.19 11:25 AM (112.121.xxx.214)

    저도 많이 고민해 본 결과.
    카드든 현금이든 지출액이 확실하게 정해져 있다면...카드 쓰고 포인트 혜택 받으세요.
    그런데 지출액이 유동적이다, 예산 안에서 써야 하는데 예산을 벗어난다.
    그 벗어나는게 정말 필수적인것 (병원비등)이 아니라.. 대부분 선택의 여지가 있죠...
    그때 통장에 현금이 아예 없으면 쓰지를 못하지만..카드가 있으면 요것만 쓰고 다음부터 아끼자...하게 되요..
    계속 요것만~ 요것만~

  • 5. ...
    '12.11.19 11:26 AM (110.14.xxx.164)

    한번 해보세요 긴급용으로 카드 하나는 가지고 다니되 안보이게 지갑 깊숙히 넣어두시고요

  • 6.
    '12.11.19 11:27 AM (58.240.xxx.250)

    충동구매 안 하고, 경제관념 있으시다면 신용카드 사용도 나쁘진 않아요.
    대부분 그렇지 못하니 문제인 거지요.

    전 마트같은 곳 가면, 거의 일정한 금액 나와요.
    한달 사용액도 거의 비슷하고요.

    그래서, 신용카드 사용이 소비생활에 부담된다고 한 번도 느낀 적 없습니다.

  • 7. --
    '12.11.19 11:27 AM (222.235.xxx.80)

    한 두달 정도 현금하고 체크카드로만 생활해봣는데 전 확실히 씀씀이가 작아졌어요.(미혼)
    그냥 신용카드는 막 지르는데 체크카드는 통장 잔고 생각하면서 주저하는 경우가 꽤 많아서요.

  • 8. 자유적금
    '12.11.19 11:48 AM (119.64.xxx.91)

    만드세요.
    급여날 일정액수정해서 자동이체로 넣을수있고
    그리고 여유돈생기면 바로 적금통장에 넣고.

    자유적금,, 언제든 넣을수있지만 찾는날은 적금만기일에...


    카드는 체크카드쓰시고.. 지출액과 통장잔액표시되는 문자서비스있어요.

  • 9. 연말정산때
    '12.11.19 11:57 AM (121.166.xxx.70)

    세금 많이 내시게 될텐데...

    그냥 섞어쓰는게 좋고..그대신 가계부를 적으셔야죠..;;

    카드무분별하게 쓰는거 본인이 조절 못한다면 모를까..

  • 10.
    '12.11.19 1:31 PM (183.100.xxx.24)

    저도 이 문제로 고민 중인데
    다음 애듀머니칼럼도 꼭 읽어봐야겠네요

  • 11. 연말정산시 세금혜택도
    '12.11.19 1:47 PM (123.228.xxx.11)

    신용카드보다 현금영수증이 더 많아요. 이제 신용카드는 결제의 편의성빼고는 현금보다 이점이 별로없습니다.

  • 12. 통장
    '12.11.19 2:20 PM (110.70.xxx.239)

    전 주로 카드 사용하긴하는데요 확실히 독하게 마음 먹어야 카드사용을 덜하게 되더라구요.그리고 자유적금 통장 하나 만들어서 카드혜택으로 할인받은 금액은 적금으로 넣어요.한달에 5만원은 그렇게 넣어지더라구요.그리고 무엇보다 가계부 쓰는거 중요해요.저도 항상 쓰다가 말았는데 폰에 다운받아 그때그때 사용한 금액을 입력하니 자동으로 잔액이 표시되니까 자연스레 자제하게 되더라구요.가계부 사용으로 한달 15만원정도 더 적금도 넣게 됐어요.그렇게 자잘한 돈 모으는 재미도 쏠쏠해서 더 아끼게 돼요^^

  • 13. ......
    '12.11.19 3:20 PM (118.219.xxx.48)

    현금이 돈을 덜 쓰게 하는건 맞지만 제경우 현금출납기정도 가계부는 아니고 그걸 쓰니까 줄여지던데요 아무래도 몇개월쓰다보니 패턴이 보여서요

  • 14. 저는
    '12.11.19 6:23 PM (112.161.xxx.208)

    가계부 어플 보면서 통계보고 조절하니까 딱히 카드써서 과소비는 모르겠어요.
    오히려 공산품, 생필품살때 카드 추가할인받고 통신비 할인받고하는게 생각보다 쏠쏠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4093 박그네 단독토론 4 닭 쳐라 2012/11/23 1,034
184092 안철수 신당 만들겁니다 넘 실망마세요 18 수필가 2012/11/23 2,730
184091 저 안후보 열열히 지지하던 지지잔데요 21 2012/11/23 2,622
184090 다같이 뭉쳐서 정권교체합시다!!!! 3 정권교체 2012/11/23 639
184089 지금 안철수 못마땅한 문지지자들은 14 .... 2012/11/23 1,365
184088 모두를 위해서라도 이젠 좀 말을 아낍시다 1 .... 2012/11/23 747
184087 문재인, 안철수 둘다 살리는건 정권교체입니다. 투표포기는 양쪽 .. 4 시민만세 2012/11/23 1,115
184086 여태까지 민주당좋아서 민주당뽑은거 아닙니다 1 하.... 2012/11/23 932
184085 지금 우리한테 필요한 건 무엇? 2 .. 2012/11/23 681
184084 우쨌든 술 한잔 해야지요 1 ㅇㅇ 2012/11/23 807
184083 철수지지층이 근혜로 흡수 5 안철수 2012/11/23 1,210
184082 반년만에 나타난 박경철 트위터.. 41 성주참외 2012/11/23 12,766
184081 문 후보 측 멘트는 상황을 인식하고 있는 것 같네요. 3 안 & 문 2012/11/23 1,590
184080 모든 비난의 화살이 자신을 겨냥할때가 적기라고... 1 에효 2012/11/23 966
184079 사퇴인가 단일화인가 7 날카롭게 2012/11/23 1,345
184078 ,,, 3 ,,,, 2012/11/23 779
184077 안철수가 문재인의 당선을 진심으로 바랄까요... 17 ... 2012/11/23 2,119
184076 이제 앞만 봐요 대선으로.... 2 ㅇㅇ 2012/11/23 791
184075 안철수 너무 아까워요... 5 .... 2012/11/23 1,262
184074 박상병씨가 문후보 고전할거라 하는데.. 9 ,, 2012/11/23 2,244
184073 그럼 이해찬님은 9 이시점에서 .. 2012/11/23 1,651
184072 안철수때문에 그나마 이번 대선에 희망이 있었습니다. 5 복송아 2012/11/23 1,220
184071 박근혜 후보님 이제 토론에 나오시지요~ 7 시작! 2012/11/23 1,116
184070 안후보님은 그런 분은 아니었던듯.. 5 qq 2012/11/23 1,209
184069 아쉬운점 샘물 2012/11/23 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