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안철수 후보에 대해 근본적으로 실망한 이유

.. 조회수 : 728
작성일 : 2012-11-16 21:17:40
우리나라 정치가 좋은 모습으로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은 단순히 구태 정치 문화 그 자체에 있는 게 아니라, 그런 구태 정치 문화가 형성될 수 밖에 없는, 지역구도에 기반한 양대 정당의 기득권에 있습니다. 이 정당 기득권이 깨지지 않는 한, 누가 정치를 해도 근본적인 개혁은 될 수 없어요. 安이 정치의 기득권 내려놓기를 주장하고 싶다면 특정 지역을 텃밭으로 여기는 지역구도를 타파하고 양대 정당의 기득권을 박탈할 수 있는 방안을 주장했어야 합니다.

그런데 安은 전혀 엉뚱한 처방을 했어요. 정치를 축소하고 비용을 줄인다고 해서 정당 기득권, 그 자체가 줄어드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의원 1인의 권능과 특권이 커지고 정치는 부를 가진 소수가 독점하게 되는 거에요. 기득권을 오히려 강화시키는 거지요. 정당의 의사결정구조가 폐쇄적이고 하향전달식인 것은 선거구제, 공천권과 관련한 문제입니다. 또한 기존 정치인은 그 누구도 지적할 수 없는 유권자 의식 문제도 한번쯤 공개적으로 지적될 필요가 있는 거고요. 하지만 安은 정치 개혁을 말하면서도 이런 문제는 제대로 언급하지 못하고 있거든요. 오히려 캠프 내부에서도 반대했던 개혁안을 들고 나왔기에 전방위적으로 비판을 받았던 겁니다. 이런 문제는 기존 정치권과 거리가 먼 새로운 인물 몇이 정치권에 들어간다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 선거구제를 뜯어고치고 지역구도를 깨야만 근본적인 변화가 가능한 겁니다. 특정 지역이 특정 정당만의 텃밭이 되는 것을 막아야 인물 간의 경쟁력을 살릴 수 있고 이 경쟁력이 정치권 전반에 참신한 활기를 불어넣어줄 수 있는 거에요. (동의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분명 있겠지만 문재인이 민통당 후보로 결정된 것이 민통당의 쇄신이다, 라고 한 이해찬의 말에 숨은 의미를 좀 새겨들었으면 좋겠네요.)

강제당론 같은 경우, 이것을 폐지해서 의원 개개인의 자유로운 의사결정권을 허락한다면 마음은 새머리당, 몸은 민통당인 의원들의 경우 통제가 안됩니다. 새머리당 소속 의원들이 양심껏 표결을 할 거라는 순진한 기대를 하는 것이 아니라면, 강제당론을 폐지하자는 건 사실상 새머리당의 의석을 늘려주자는 것과 같은 주장이 되는 겁니다. 개혁이니 쇄신이니 하는 것도 좋지만, 일단 새머리당이라는 존재를 계산에 넣지 않으면 아무리 그럴 듯한 쇄신안이라 해도 결국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할 뿐이에요. 새머리당의 기본 지분 40%를 깨뜨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면 아무리 민통당이 대선 며칠 앞두고 혁신적인 셀프 쇄신을 한다 해도 다 소용 없습니다. 이해찬, 박지원이 물러난다고 그게 새머리당의 기본 지분 40%와 대체 무슨 상관이 있다는 겁니까?

安에 대해 답답하고 근본적으로 실망을 했던 게 바로 이런 부분입니다. 대선에서 좀처럼 차지하기 힘든 절묘한 포지션닝을 하고 있으면서 왜 그걸 제대로 된 방향으로 살리지 못했냐는 거에요. 安은 관중이 될 수도 있고, 선수가 될 수도 있고, 심판이 될 수도 있는 포지션에 있었습니다. 기존의 정치인들이 기득권 때문에 할 수 없었던 말들을 그 누구보다도 통렬하게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고작 국회의석 축소, 대통령 인사권 축소, 정당보고금 촉소, 강제당론 폐지, 반값 선거운동 등등 근본적인 개혁과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나이브한 주장들을 연발함으로써 스스로가 가진 개혁의 동력을 약화시키고 만 겁니다. 이런 주장은 대중의 정치 혐오에 편승한 인기 영합성 발언일 뿐, 이런 시스템이 도입된다고 해도 정치가 축소되기만 할 뿐, 정당 기득권은 오히려 강화되기만 한다는 거지요.

또 하나 답답한 건, 새정치공동선언이 밀실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겁니다. 왜 이 과정을 공개토론을 통해 오픈하지 않고 밀실에서 독립운동하듯이 실무팀들끼리 진행하는 겁니까. 공개적으로 의제를 던지고 양 캠프에서, 아니 박 캠프까지 불러내서 토론을 하고 학자들이나 시민 논객들도 참여하고, 이런 식으로 공개적으로 정치 혁신안을 논의하면 선거판의 화두가 되어 이슈를 집중시킴으로써 개혁의 큰 동력이 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런 동력을 바탕으로 공동선언을 이끌어내면 제 아무리 새머리당이라 해도 찬성 표결을 안 할 수가 없게 되는데, 이런 모습은 보이지 않고 불투명한 밀실 속에서 모든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왜 安은 자신이 가진 동력을 이런 부분에 쓰지 못하냐는 거에요. 민통당 쇄신이 아니라, 국회의원 전원을 상대로 개혁안 찬성에 대한 약속을 이끌어내는 것, 이런 힘을 가질 수 있었던 사람이 安이었고, 또한 제가 바라고 있던 安의 모습이었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安은 오로지 민통당과 문재인 후보에게만 집착하면서 그가 가진 개혁의 동력을 스스로 약화시킨 겁니다.

막말로 安이 정치에 대해 누군가의 말대로 "깡통"이어도 좋습니다. 정치는 安 혼자서 하는 게 아니니까요. 하지만 정치 개혁을 주장하고 싶었다면 방향 설정은 제대로 했어야 합니다. 安은 이 방향 설정 자체가 틀렸기 때문에 더 이상 정치 개혁의 동력이 될 수 없는 것이고, 그 동력을 상실한 安은 그저 기존 정당에서 자기 지분 확보나 바라는, 흔하디 흔한 "구태 정치인" 가운데 하나로 전락할 수 밖에 없었던 겁니다. 덧붙여 호남 일부 지지자들 외에는 아무도 관심이 없는 "친노" 프레임을 사용하므로써 야권 분열까지 제대로 해주었으니 더 이상 뭐라 할 말이 없네요.

IP : 125.141.xxx.23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일부
    '12.11.16 9:47 PM (1.225.xxx.3)

    이해가는 부분이 없는 건 아닌데,
    본인 입으로 더 이상 뭐라 할 말이 없다시니 그 다짐 꼭 지켜서 안철수든 문재인이든 선거 전날까지 아무도 비난 마시길 제발 바람..

  • 2. ..
    '12.11.16 10:11 PM (125.141.xxx.237)

    일부

    // 확대 해석 하지 마세요. 이 글에서는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는 겁니다. 할 말 생기면 또 합니다.
    그리고 이 글을 비난이라고 생각하는 건가요? 安에 대해 근거 없는 비방이라도 했습니까? 만약 그런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세요. 비난할 의도는 없었지만 그렇게 보인다면 수정하겠습니다.
    비난과 비판을 구분하지 못하고 무조건 비난이라고만 생각하니 安에 대한 비판조차 받아들이지 못하는 거 아닙니까?

  • 3. 잘 읽었어요
    '12.11.16 10:26 PM (110.70.xxx.68)

    정치의 축소가 정치의 쇄신이 아니라 오히려 기득권의 강화라는 말에 동의해요.
    소수정당을 지지하는 국민들의 의견도 대변할 수 있으려면 중대선거구제로의 개편이 필수적입니다.

    비판할 부분이 있으면 비판하는 것도 필요하죠. 건강하고 논리적인 비판은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흑색의 네거티브가 나쁜것일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4942 남편,일하러 출장차 일본갔고..너무 심심하네용.. 5 양서씨부인 2012/12/01 1,302
184941 거스름돈 잘못 줬다고 전화가 왔는데 11 꽁기 2012/12/01 4,056
184940 일베가 어떤곳인지 알려드릴께요 2 모시 2012/12/01 1,553
184939 시부모님 모시고 갈만한 서울근처 나들이코스 2 ... 2012/12/01 1,775
184938 엄마닮아가나봐요-애가 남긴 국을 퍼 먹으며 2 아이구 2012/12/01 1,245
184937 카톡메세지,컬러링,벨소리등 뭘로 바꿔야 확실한 선거운동이 될까요.. 1 카톡 2012/12/01 1,278
184936 먹고 나왔어야 했나요? 4 샤브샤브 2012/12/01 1,806
184935 문재인은 이런사람... 3 .. 2012/12/01 1,592
184934 보고싶다 드라마 질문 좀 할게요~ 4 .. 2012/12/01 2,231
184933 프라이머 4 유감 2012/12/01 2,644
184932 이쯤에서 다시 보는 박그네 10대 불가론 1 .. 2012/12/01 1,520
184931 [올레..............] 다음주부터 본격 문+안 동시출.. 13 .. 2012/12/01 2,688
184930 느낌이 경기도지사 선거때와 비슷하네요.. 18 .. 2012/12/01 3,077
184929 사각턱 고민 5 점순이 2012/12/01 1,591
184928 고등1 남자아이 용돈. 8 m 2012/12/01 1,824
184927 문재인 대박터졌다, 박근혜 기절할준비하라 13 기린 2012/12/01 7,903
184926 [급해요]다발무? 달랑무?로 김장양념에 넣을 무채 만들 수 있나.. 8 김장독립 2012/12/01 1,910
184925 현직판사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사퇴 요구 1 참맛 2012/12/01 1,033
184924 avira 백신 쓰는 분 없나요? 해킹 바이러스 어떻게 처리할지.. 1 다시 2012/12/01 863
184923 호주산 시니케어 태반크림,에센스 사용해보신분 무지개 2012/12/01 2,048
184922 외국 패딩 사이즈 좀 봐주세요 4 딩동 2012/12/01 1,250
184921 절임배추 김장철만 나오나요 4 .. 2012/12/01 1,705
184920 대봉감이 떫어요 6 떫어 2012/12/01 2,229
184919 돼지 뒷다리살이 맛없는 부위죠? 이거 어떻게 해먹을까요??ㅜ.ㅜ.. 15 .. 2012/12/01 5,043
184918 깎두기와 채장아찌가 다 물렀어요 1 땅꼬마 2012/12/01 1,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