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안철수 후보에 대해 근본적으로 실망한 이유

.. 조회수 : 727
작성일 : 2012-11-16 21:17:40
우리나라 정치가 좋은 모습으로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은 단순히 구태 정치 문화 그 자체에 있는 게 아니라, 그런 구태 정치 문화가 형성될 수 밖에 없는, 지역구도에 기반한 양대 정당의 기득권에 있습니다. 이 정당 기득권이 깨지지 않는 한, 누가 정치를 해도 근본적인 개혁은 될 수 없어요. 安이 정치의 기득권 내려놓기를 주장하고 싶다면 특정 지역을 텃밭으로 여기는 지역구도를 타파하고 양대 정당의 기득권을 박탈할 수 있는 방안을 주장했어야 합니다.

그런데 安은 전혀 엉뚱한 처방을 했어요. 정치를 축소하고 비용을 줄인다고 해서 정당 기득권, 그 자체가 줄어드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의원 1인의 권능과 특권이 커지고 정치는 부를 가진 소수가 독점하게 되는 거에요. 기득권을 오히려 강화시키는 거지요. 정당의 의사결정구조가 폐쇄적이고 하향전달식인 것은 선거구제, 공천권과 관련한 문제입니다. 또한 기존 정치인은 그 누구도 지적할 수 없는 유권자 의식 문제도 한번쯤 공개적으로 지적될 필요가 있는 거고요. 하지만 安은 정치 개혁을 말하면서도 이런 문제는 제대로 언급하지 못하고 있거든요. 오히려 캠프 내부에서도 반대했던 개혁안을 들고 나왔기에 전방위적으로 비판을 받았던 겁니다. 이런 문제는 기존 정치권과 거리가 먼 새로운 인물 몇이 정치권에 들어간다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 선거구제를 뜯어고치고 지역구도를 깨야만 근본적인 변화가 가능한 겁니다. 특정 지역이 특정 정당만의 텃밭이 되는 것을 막아야 인물 간의 경쟁력을 살릴 수 있고 이 경쟁력이 정치권 전반에 참신한 활기를 불어넣어줄 수 있는 거에요. (동의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분명 있겠지만 문재인이 민통당 후보로 결정된 것이 민통당의 쇄신이다, 라고 한 이해찬의 말에 숨은 의미를 좀 새겨들었으면 좋겠네요.)

강제당론 같은 경우, 이것을 폐지해서 의원 개개인의 자유로운 의사결정권을 허락한다면 마음은 새머리당, 몸은 민통당인 의원들의 경우 통제가 안됩니다. 새머리당 소속 의원들이 양심껏 표결을 할 거라는 순진한 기대를 하는 것이 아니라면, 강제당론을 폐지하자는 건 사실상 새머리당의 의석을 늘려주자는 것과 같은 주장이 되는 겁니다. 개혁이니 쇄신이니 하는 것도 좋지만, 일단 새머리당이라는 존재를 계산에 넣지 않으면 아무리 그럴 듯한 쇄신안이라 해도 결국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할 뿐이에요. 새머리당의 기본 지분 40%를 깨뜨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면 아무리 민통당이 대선 며칠 앞두고 혁신적인 셀프 쇄신을 한다 해도 다 소용 없습니다. 이해찬, 박지원이 물러난다고 그게 새머리당의 기본 지분 40%와 대체 무슨 상관이 있다는 겁니까?

安에 대해 답답하고 근본적으로 실망을 했던 게 바로 이런 부분입니다. 대선에서 좀처럼 차지하기 힘든 절묘한 포지션닝을 하고 있으면서 왜 그걸 제대로 된 방향으로 살리지 못했냐는 거에요. 安은 관중이 될 수도 있고, 선수가 될 수도 있고, 심판이 될 수도 있는 포지션에 있었습니다. 기존의 정치인들이 기득권 때문에 할 수 없었던 말들을 그 누구보다도 통렬하게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고작 국회의석 축소, 대통령 인사권 축소, 정당보고금 촉소, 강제당론 폐지, 반값 선거운동 등등 근본적인 개혁과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나이브한 주장들을 연발함으로써 스스로가 가진 개혁의 동력을 약화시키고 만 겁니다. 이런 주장은 대중의 정치 혐오에 편승한 인기 영합성 발언일 뿐, 이런 시스템이 도입된다고 해도 정치가 축소되기만 할 뿐, 정당 기득권은 오히려 강화되기만 한다는 거지요.

또 하나 답답한 건, 새정치공동선언이 밀실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겁니다. 왜 이 과정을 공개토론을 통해 오픈하지 않고 밀실에서 독립운동하듯이 실무팀들끼리 진행하는 겁니까. 공개적으로 의제를 던지고 양 캠프에서, 아니 박 캠프까지 불러내서 토론을 하고 학자들이나 시민 논객들도 참여하고, 이런 식으로 공개적으로 정치 혁신안을 논의하면 선거판의 화두가 되어 이슈를 집중시킴으로써 개혁의 큰 동력이 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런 동력을 바탕으로 공동선언을 이끌어내면 제 아무리 새머리당이라 해도 찬성 표결을 안 할 수가 없게 되는데, 이런 모습은 보이지 않고 불투명한 밀실 속에서 모든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왜 安은 자신이 가진 동력을 이런 부분에 쓰지 못하냐는 거에요. 민통당 쇄신이 아니라, 국회의원 전원을 상대로 개혁안 찬성에 대한 약속을 이끌어내는 것, 이런 힘을 가질 수 있었던 사람이 安이었고, 또한 제가 바라고 있던 安의 모습이었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安은 오로지 민통당과 문재인 후보에게만 집착하면서 그가 가진 개혁의 동력을 스스로 약화시킨 겁니다.

막말로 安이 정치에 대해 누군가의 말대로 "깡통"이어도 좋습니다. 정치는 安 혼자서 하는 게 아니니까요. 하지만 정치 개혁을 주장하고 싶었다면 방향 설정은 제대로 했어야 합니다. 安은 이 방향 설정 자체가 틀렸기 때문에 더 이상 정치 개혁의 동력이 될 수 없는 것이고, 그 동력을 상실한 安은 그저 기존 정당에서 자기 지분 확보나 바라는, 흔하디 흔한 "구태 정치인" 가운데 하나로 전락할 수 밖에 없었던 겁니다. 덧붙여 호남 일부 지지자들 외에는 아무도 관심이 없는 "친노" 프레임을 사용하므로써 야권 분열까지 제대로 해주었으니 더 이상 뭐라 할 말이 없네요.

IP : 125.141.xxx.237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일부
    '12.11.16 9:47 PM (1.225.xxx.3)

    이해가는 부분이 없는 건 아닌데,
    본인 입으로 더 이상 뭐라 할 말이 없다시니 그 다짐 꼭 지켜서 안철수든 문재인이든 선거 전날까지 아무도 비난 마시길 제발 바람..

  • 2. ..
    '12.11.16 10:11 PM (125.141.xxx.237)

    일부

    // 확대 해석 하지 마세요. 이 글에서는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는 겁니다. 할 말 생기면 또 합니다.
    그리고 이 글을 비난이라고 생각하는 건가요? 安에 대해 근거 없는 비방이라도 했습니까? 만약 그런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세요. 비난할 의도는 없었지만 그렇게 보인다면 수정하겠습니다.
    비난과 비판을 구분하지 못하고 무조건 비난이라고만 생각하니 安에 대한 비판조차 받아들이지 못하는 거 아닙니까?

  • 3. 잘 읽었어요
    '12.11.16 10:26 PM (110.70.xxx.68)

    정치의 축소가 정치의 쇄신이 아니라 오히려 기득권의 강화라는 말에 동의해요.
    소수정당을 지지하는 국민들의 의견도 대변할 수 있으려면 중대선거구제로의 개편이 필수적입니다.

    비판할 부분이 있으면 비판하는 것도 필요하죠. 건강하고 논리적인 비판은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흑색의 네거티브가 나쁜것일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2272 문 재인 과 안철수의 착한사람들이 이깁니다. 15 그린 2012/11/25 1,301
182271 어장관리는 사랑이 아닌가요?? 6 tui 2012/11/25 2,657
182270 결혼이 가능할까요? 19 이커플 2012/11/25 11,649
182269 지퍼없는 26센치 길이 부츠 vs 단추가 있는 19센치 부츠.. 3 부츠 2012/11/25 1,042
182268 남색패딩 안감이 어두운빨강 사진 좀 봐주세요 4 두아이맘 2012/11/25 1,298
182267 오래된 꿀, 프로폴리스로 바디스크럽해도 될까요? 1 바디스크럽 2012/11/25 1,920
182266 연애고민? 자아고민?? 2 고민남 2012/11/25 965
182265 이 영어뜻좀 알려주세요 1 73 2012/11/25 1,015
182264 집주인이 전세만료일에 전세금을 안돌려주면 어떻하죠? ㅠ.ㅠ 16 도와주세요 2012/11/25 4,118
182263 교차로 지날때 차선 없잖아요. 옆차들이 달려드는 것 같은데 초보.. 5 무차선 2012/11/25 1,214
182262 혼자 마시는 술.... 5 흐음 2012/11/25 1,378
182261 성형외과에서 공짜로 시술?을 해준다고 하는데 뭘 할까요? 6 zzzz 2012/11/25 1,716
182260 크리스마스 모임... 여러 조언 좀 ^^ 1 캐나다 2012/11/25 981
182259 도와주세요 경매 2012/11/25 390
182258 영어좀 하시는분들 부탁드려요(컴대기) 4 ㅠㅠ 2012/11/25 749
182257 무심한 엄마로 인한 마음의 상처, 어떻게 치료하셨나요? 18 ... 2012/11/25 6,189
182256 진짜궁금해서글올립니다.........많은답변부탁드립니다....... 6 보라카이 2012/11/25 1,203
182255 문, 안 고성이 오가다 12 비교 2012/11/25 2,911
182254 부모님 설득은 박근혜 멍청으로 하면 어떨까요? 9 솜사탕226.. 2012/11/25 2,932
182253 거실 온도가 점점 올라가요 3 더워요 2012/11/25 2,226
182252 이와중에 이런글 올려서 죄송해요 남편과제가 심각한 고도비만입니다.. 13 절실해요 2012/11/25 3,080
182251 하나로 과일은 늘 중박은 되는듯해요~ 6 ㅋ_ㅋ 2012/11/25 1,617
182250 박근혜 투표장가서 문재인 뽑을것같네요 ㅋㅋ 5 iooioo.. 2012/11/25 1,743
182249 6월에 무슨 일 있었죠???? (배슬기트윗궁금) 6 ㅡᆞㅡ 2012/11/25 1,865
182248 읽을만 한 정치글 있는 블로그 추천해주세요 1 블로그 2012/11/25 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