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금치 무침 할때..

꼬마 조회수 : 2,156
작성일 : 2012-11-13 23:11:32

시금치를 데친 후 찬물에 헹구고나서 자연적으로 물기가 빠질때 까지 기다려야 할지,

아니면 손으로 꾸욱 짜야할지 잘 모르겠어요.

생전 처음 시금치 나물을 무쳐보았는데 제대로 한건지 모르겠네요.

(다행히 맛은 괜찮았어요..)

IP : 211.247.xxx.24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구성원
    '12.11.13 11:13 PM (101.235.xxx.206)

    ㅋㅋㅋ 물기 살짝 짜주세요..너무 꽉 짜면 맛 없더라구용..

  • 2. 꼬옥
    '12.11.13 11:14 PM (223.33.xxx.5) - 삭제된댓글

    짜주세요
    다신 넘 힘주심 뭉개집니다

  • 3. 아직도더워
    '12.11.13 11:15 PM (223.33.xxx.5) - 삭제된댓글

    글고보니 드뎌 포항초 섬초 나올 시기네요
    흐미 좋아라^^

  • 4. ...
    '12.11.13 11:23 PM (211.199.xxx.168)

    물기 짜줘야 해요.

  • 5. 적당히 물기 빠지도록 채에
    '12.11.13 11:27 PM (219.251.xxx.147)

    받쳐두다 나물 무치기 직전에 무리하지 말고 꾹 짜는 느낌으로 짜고 무치세요,
    참기름, 소금, 깨 간거요.
    마늘이나 파 다진거 안넣어도 되는데 넣을거면 소량만

  • 6. ...
    '12.11.13 11:47 PM (1.177.xxx.233) - 삭제된댓글

    시금치는 군내가 나는 나물이 아니니 물에 담궈 울기면 안되는 건 아실겁니다.
    그러고 물기가 있는 상태로 두면 질척이게 되니까
    그냥 바로 물기를 짜주셔야 해요.

    짜선 뭉그러지면 안되니까 잘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삶기를 너무 많이 하셔도 안되지요. 적당히.

    한쪽손에 시금치 일정량을 잡으시고 양손을 크로스되게 잡으셔선 손등이 볼록해진 상태가 되는 모양으로
    되게 만드셔선 제법 꼬옥 짜주시면 됩니다. 뭉그러지게 눌르시면 안되구요.

    물기 잘 없애신 다음 취향에 따라 다르지만.
    전 아주 맛있는 집에서 담근 국간장이 있어서 그거 넣고 참기름 깨소금 넣어 무칩니다.
    그러나 국간장 없으시면 그냥 소금 넣고 하셔도 담백하니 좋답니다.

    가끔 마늘 넣으시고 하시는 분들도 계셔요.
    전 근데 마늘 넣을때는 또 고추가루까지 넣어서 좀 진하게 해버리거든요.

    슴슴한 옛날식 시금치엔 마늘 안넣는 게 나은 거 같습니다.

    (손은 굳이 말씀드리자면 양손이 서로 수직관계가 되게 잡으시면 됩니다.)

  • 7. 꼬마
    '12.11.14 12:07 AM (211.247.xxx.249)

    ...님//
    제가 바로 님이 말씀하신 양손이 서로 수직관계가 되게 잡고 짰어요.
    양념 넣은것도 똑같구요. (제게도 엄청 맛있고 귀한 국간장이 있습니다.ㅋㅋ)
    정답을 맞춘거 같아 뿌듯하네요.

    근데 시금치를 짰더니 뽀글뽀글 거품물이 나와서 조금 당황 --'

  • 8. ...
    '12.11.14 12:47 AM (1.177.xxx.233) - 삭제된댓글

    꼬마님 이미 주무시러 들어가셨을라나 싶지만 글 남깁니다^^

    원래 잘 알고 계시군요~~아주 잘하신 거 맞습니다. 짝짝짝.ㅎ

    그러고 시금치 짤 때 뽀글거리는 약간의 거품물 당연합니다. 원래 그러니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요리 잘 하시는 꼬마님이셨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9396 지루성피부염(비듬) 해결의 최고는 뭘까요? ㅠ.ㅠ 2 고민 2012/11/14 2,810
179395 엄마없이 초5,초2아이 아빠랑 미국생활하기 21 천개의바람 2012/11/14 3,110
179394 2억5천에 전세 괜찮은곳있나요? 3 궁금이 2012/11/14 1,535
179393 디지털 피아노 건반 88키 vs 76키 많이 차이 날까요? 5 피아노 2012/11/14 12,206
179392 사골육스로 카레 만들면 어떤맛이 날까요 3 ss 2012/11/14 875
179391 부츠, 어떤 브랜드나 쇼핑몰 제품으로 갖고계세요? 8 .... 2012/11/14 2,092
179390 거창 살기어떤지요? 3 ... 2012/11/14 1,682
179389 오프라인에서 김치담그는거 배우고 싶은데요 1 오프라인 2012/11/14 701
179388 뉴욕으로 주재원 가게되었어요. 집을 어디에 얻어야할까요? 8 뉴욕이민 2012/11/14 7,972
179387 생대구에서 약냄새가 3 2012/11/14 984
179386 자신의직업에 만족하시는분들 어떤직업을 가지셨나요?? 6 .. 2012/11/14 2,266
179385 절임배추 자체가 고소하고 맛있는곳 추천해주세요 4 괴산도 괴산.. 2012/11/14 1,530
179384 시몬스침대 뷰티레스트가 뭘말하나요? 4 ... 2012/11/14 5,717
179383 아파트 사시는분들께 여쭙니다 5 관리사무소 2012/11/14 1,926
179382 아싸가오리유래?공인인증서,mp3 6 질문세가지^.. 2012/11/14 873
179381 저도 교육감은 문용린찍을라구요 1 gggg 2012/11/14 1,156
179380 우엉차 하루에 얼마나 마셔야 하나요? 1 우엉우엉 2012/11/14 5,873
179379 외신기자가 본 문재인과 박근혜의 차이 5 우리는 2012/11/14 2,021
179378 출발 드림팀 따위는 애들 장난 선진 2012/11/14 1,221
179377 10월달 곡식 보관 중에..? 1 ... 2012/11/14 791
179376 닭백숙을 닭고기 스프로 변신시킬 수 있을까요? 4 ^^ 2012/11/14 1,138
179375 남자들은 진짜 못됐네요 25 ...이기적.. 2012/11/14 12,233
179374 가만있으면30대중반인데 웃으면40대중반이에요~ 현실 2012/11/14 1,073
179373 초등1 여아가 좋아할만한 예쁜책 아시는 분~~ 영어단행본 2012/11/14 804
179372 일년학비만 4천만원이 넘는 최고급 외국인학교가 7 ... 2012/11/14 3,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