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제 고1되는 학생공부

수학 조회수 : 1,487
작성일 : 2012-11-12 23:19:29

겨울 방학이 젤 중요하죠

수학은 정석 이제 시키려고 합니다.

중3겨울방학에 떼면 좋은  국영수 교재 추천좀 바랍니다.

강남구청 인강으로 시킬껍니다. ^ ^

추천 미리 감사드립니다.

IP : 175.127.xxx.11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shikar
    '12.11.13 1:12 AM (122.36.xxx.142)

    국어에 관해서만 말씀 드립니다.

    두 가지로 말씀 드릴 수 있는데요,
    하나는 [내신]이고요,
    다른 하나는 역시 [수능]입니다.


    1. 내신

    먼저, 내신, 자녀분의 고등학교에서 선택하는 교과서를 내는 출판사 교재면 충분합니다.
    혹시, 그것만으로는 [좀 불안]하지 않을까요, 하실 수도 있겠으나
    진심, 그것만으로 충분합니다.
    그 출판사의 자습서, 문제집이면 됩니다.
    굳이 하나 추가한다면,
    그 학교의 중간고사, 기말고사 문제집요.
    이건 책자로 출판돼 나올 수도 있고(대체로 그렇습니다.),
    인터넷으로 (유/무료) 받을 수도 있습니다.

    2. 수능

    다음, 수능.
    내년부터 수능시험이 바뀌지요?
    국영수(언외수)가 각각 난이도와 범위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출제되고,
    학생(수험생)은 자신이 진학하려는 학교나 전공의 요구에 맞춰
    과목별로 쉬운 유형이나 어려운 유형을 선택하게 됩니다.
    그런데요, 이 방식이 참 거시기한 게요,
    쉬운 유형, 어려운 유형의 구분이,
    정작 입학 준비 당사자인 학생에게는 별로 차이가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좀 복잡하니까 일단
    학생과 부모는 [어떤 교재]를 [어느 수준]에 맞춰,
    [어느 정도]로 준비해야 하는가에 관해서만 말씀 드립니다.

    1) 결론적으로는,

    자녀분이 이제 중3, 고등학교 진학을 예비하는 때이니까요,
    대입 목표는 [최상]으로 두시는 게 [당연]하고 또한 좋다고 봐야겠지요.
    그렇다면, 자녀분의 향후 진로가 문과 계열이 되든 이과 계열이 되든
    국어(지금의 언어영역)는 3년 후 수능 [최고 등급]을 목표로 공부해야 할 겁니다.
    (실은 어느 과목이든 마찬가지죠.)
    문과든 이과든 최고 등급이 되려면,
    [가장 먼저], 문제 풀이의 [기본 능력], [핵심 관건]이 선결돼야 하고요,
    [기존 문제 유형]을 반복 학습해서 [체득]하는 학습 과정이 필요합니다.


    2) 기출 문제가 중요

    [기존 문제 유형]을 말씀 드리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우선, 이미 출제되었던 문제들이 시중의 어떤 교재들의 내용보다도 훌륭하고 정확하기 때문이고요,
    따라서, 반복 학습하기 가장 좋기 때문이고요,
    그 동안 출제된 [양]도 워낙 많아서 시중의 어느 교재보다 내용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수능 유형이 바뀐다니까 [수능 기출 문제]는 학습 효과가 떨어지지 않을까 의심스러우신가요?
    장담하건대, [절대], [저~~얼대] 그렇지 않습니다.
    물론, (국어) 수능 출제의 두 가지 유형(쉬운 유형과 어려운 유형)과 난이도,
    (국어) 수능 문제의 세부 영역별 [구성의 변화](가령, 듣기 문제 없애고 쓰기/어법 늘리기 등),
    각 유형별로 문제 구성의 다변화 (세부 영역별 문제 수량의 차이나 난이도)
    등의 변화는 있습니다.
    그.러.나. [수능]이라는 기본 전제, 기본 틀, 기본 문제 형식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습니다].
    때문에, 십수년 간에 걸쳐 양적으로 매우 풍부하고 질적으로 매우 완성적인
    (국어) [수능 기출 문제]의 학습하는 방법이야말로 가장 효율적인 수능 대비책입니다.


    3) 기출 문제 학습 방향

    이제 중3인 학생이라면요,
    (우선은 기말고사 준비를 잘 해야겠습니다.
    학교 분위기로 보나 각 학생 심리로 보나 [막장] 분위기가 지배적입니다만,
    공부는 하나의 [습관]이고, [자기 관리]의 하나일 수 있다(학생마다 다르므로)는 점에서
    학교 분위기가 어떻고 다른 친구들이 어떻게 하든
    일단은 기말고사에 충실히 임하는 게 좋을 듯하네요.)
    [수능 기출 문제]를, 비문학/문학 영역을 먼저 하나하나 공부하면 좋겠습니다.
    국어에서는 이 두 영역이 최대, 최다 영역이자 결국 관건이기 때문이고요,
    쓰기/어법/어휘 영역은 대체로 부담스럽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어법] 영역은 최근 좀더 강조되는 추세이니까
    미리 [개념]과 [윤곽]을 정리해 두면 매우, 아주, 정말 편리하므로
    시중의 어느 출판사 교재든 [중학 문법]이라는 교재를 구해서 공부해 놓으면 좋겠습니다.
    이 교재 하나면, 어법에 관한 한 [대입 준비]로는 충분합니다.

    (국어/언어 영역) 수능 기출 [문제집]은 여러 출판사에서 내고 있습니다.
    어느 출판사에서는 단순하게 [연도별]로 편집해서 발간하고요,
    또 어느 출판사는 문제들을 [인문/사회/과학/...] 등으로 세분해서 정리해 놨고요,
    인문 분야는 [철학/종교/역사...], 사회 분야는 [정치, 경제, 미디어...] 등으로 세분한 문제집도 있습니다.
    분류가 상세할수록 좋다고 할 수는 없고요,
    학생의 필요나 [스따일]에 따라 선택해서 쓰면 되겠습니다.


    4) 반복 학습이 핵심

    (국어) 학습의 요령이자 유일한 첩경은 학습의 [기본 요소]를 지켜서 [반복]하는 것입니다.
    참 하나마나한 말이지요?
    말씀 드리자면요,
    비문학의 경우, 기출 문제의 제시문을 [요약하기]가 최고 공부 방법이자, 관건이고요,
    문학의 경우, (소설이든 시든 희곡이든 고전문학이든)
    인물(또는 대상), 정서(또는 심리), 상황(또는 배경), 표현 방식 등에 [표시하기]가 필수입니다.
    이런 항목들을 [손으로], [일일이], [공책에] [써야만] 합니다.
    이 과정이 곧 (제시문을) [이해]하는 과정이 되고, [분석]하는 과정이 되고요,
    개별 문항 각각의 질문에 [답하는 근거]가 됩니다.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각각의 제시문을 이런 과정으로 [반복 학습]하면,
    문학이라면, 대상과 대상에 대한 감상과 표현 방식이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를,
    비문학이라면, 문제(/제재)와 주장(/핵심)과 근거(/원리나 과정)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를 알게 됩니다.
    [한 가지(같은) 글]이라도 반복해서 보면(정리하면),
    볼 때마다 [다른 내용]을 찾아내서 정리하게 되는데요,
    그렇게 새로 발견하는 과정이 곧 [기초 실력]을 쌓는 과정이고요,
    그렇게 같은 글(제시문)을 반복 학습해서 결론을 얻어내는 능력이 곧 [실력]으로 축적됩니다.


    3. 학습 계획

    현재 중3 학생은 오늘 겨울 방학 때부터 고등과정 학습을 시작하니까요,
    수능을 기준으로 하면 약 2년 정도의 학습 시간이 있습니다.
    먼저 고등학교 입학 전 3개월 간은,
    [중학 문법] 교재로, [어법]을 확실하게 정리하거나(반드시 필요한 분야고요, 미리 해두면 정말 좋습니다),
    비문학 또는 문학 기출문제 교재로,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를 알아두면 좋겠습니다.
    3개월이라면 욕심을 많이 내기는 어려운 기간이므로,
    게다가 이제 겨우 중3 졸업이므로, 가볍게 편안하게 접근하는 게 필요할 겁니다.

    고1이 되어서는요,
    당연히, 일단은, 학교 내신에 무조건 충실하고요,
    다른 한편으로는, 비문학 기출문제를, 나름의 여건과 실력에 따라, 일정 양을 정해서 공부하고요,
    문학 쪽은, 기출문제는 그것대로 (마찬가지로 일정 양을 정해서) 학습하되,
    무조건, 뭐가 됐든, 중간에 잡생각 하지 말고, 맹목적으로, [소설](식민기~80년대)을 읽습니다.

    고2 때는요,
    고1 때의 학습 과정, 일정을 죽 이어 나갑니다.
    모자라는 건 다시하고(반복!!!)요, 충분하면 새로 나아가고요.


    4. 한마디로,

    말씀 드리다 보니, 다소 길어져서 좀 그렇습니다.
    그래서요, 네 줄 요약. 합니다.

    - 내신은 교과서 출판사 교재 학습
    - 수능은 기출 문제(집) 반복 학습
    - 학습은 반드시 손으로, 공책에
    - 문법과 소설은 기초 자산

  • 2. 윗분
    '12.11.13 9:08 AM (211.36.xxx.76)

    넘 대단하세욧!
    어찌이런 성실한 답변을 주시는지요?
    감동입니다 ^^

  • 3. mom
    '12.11.13 1:16 PM (61.77.xxx.170)

    감사합니다

  • 4. 원글
    '12.11.13 5:45 PM (175.127.xxx.115)

    너무 감사드립니다.
    수고스럽게 시간내셔서
    많은 엄마들과 학생들에게 좋은 정보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 ^

  • 5. 독특
    '13.3.4 3:45 PM (121.160.xxx.139)

    저장합니다

  • 6. 좋은정보
    '13.3.28 1:31 PM (121.144.xxx.167)

    지금 고1인 저희 딸에게 보여줘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 7. 고등국어
    '14.4.7 10:34 PM (121.190.xxx.243)

    늦었지만 보고 감동받았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2192 문재인 가장 많은 지지 선언 받은 "지지선언 왕&quo.. 45 참맛 2012/11/20 3,567
182191 엠팍은 단일화 성사시 피자파티 기획중. 8 .. 2012/11/20 1,976
182190 꽁치무우(묵은무우)김치찌게 맛있게하는법 알려주세요! 하늘이 2012/11/20 2,634
182189 군고구마 굽기에 좋은 오븐은?? 2 bobby 2012/11/20 1,731
182188 중학수학 심화에 대해 질문드려요 9 수학 2012/11/20 3,040
182187 핸드폰 없애면 생활하는데 어려움이 있을까요? 6 ... 2012/11/20 1,726
182186 인혁당 사건이란 무었인가...... 2 ........ 2012/11/20 1,987
182185 택일 잘하는 곳 아시나요. 3 혹시나 2012/11/20 1,972
182184 임의로 정한 특정 조건의 사람들에게 더 많은 결정권을 주는 것에.. 만민평등 2012/11/20 1,081
182183 아이허브에서 물건 사실때 하나만 같이 사주실분 8 혹시 2012/11/20 2,307
182182 무대분장으로 화장독이 올랐을 때 어떡해야 하나요? 1 ... 2012/11/20 1,750
182181 상위 10% 어렵지 않아요~~ ... 2012/11/20 1,631
182180 날고구마 말려 보신 분 계신지요? 알배기는 배추랑 다른가요?;;.. 4 야매주부 2012/11/20 1,985
182179 대통령선거 부재자 투표자 21~25일 부재자 신고해야 1 세우실 2012/11/20 1,160
182178 아주 두꺼운 수입모사 어디서 구할까요?? 1 털실수배 2012/11/20 1,028
182177 전에 임신한 유기견 기사 기억하세요? 5 마음이아파요.. 2012/11/20 1,854
182176 제 피부 도움좀 주세요 12 뽕개굴♥ 2012/11/20 2,608
182175 단일화 만세! (분란을 일으켜서 죄송했어요.) 55 ㅎㅎㅎ 2012/11/20 7,255
182174 박근혜는 TV 단독 토론... 이게 뭐하는 짓이죠? --; 8 ㅇㅇㅇㅇㅇ 2012/11/20 1,444
182173 삐용이(고양이)가 달라졌어요. 11 삐용엄마 2012/11/20 1,582
182172 송호창 “‘'박근혜 이기는 후보' 문항 우선적으로 넣어야” 12 .. 2012/11/20 1,923
182171 뉴스킨 디스트리뷰터로 가입하면 사업자가 되는건가요? 7 궁금이 2012/11/20 6,712
182170 엥겔지수가 최악이랍니다 13 엥겔 2012/11/20 3,760
182169 겨울 내복 두꺼운 바지 파는 곳 아세요? 애들내복바지.. 2012/11/20 885
182168 간경화 90프로 진행이면.. 2 건강 2012/11/20 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