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헐 수능 거의 만점 받아야 sky 가나요? (몰라서요)

ㄹㄹ 조회수 : 4,458
작성일 : 2012-11-11 19:41:41
거의 만점 가까이 맞아야 스카이 가나요? 신이 아닌이상 실수도 할텐데 정말 명문대 가려면은 운명에 맡겨야하겠네요???
작년엔 외국어 한두개 틀리면 이등급이고 올해는 언어 한두개 틀리면 이등급인가요?
정말 컨디션 조절 실패해서 한두문제 더 틀리면 목표한 명문대를 못가는 건가요?

저는 90년대 초반학번인데, 그냥저냥 서울에 있는 대학 갔지만, 340 만점에 260 정도 맞은 것 같네요.
그래도 만점에서 80점이나 모자란데 -_-
그때 아무리 연고대도 그렇게 만점가까이 맞지는 못했던 것 같은데 말이지요.

이거 원 한두문제에 살떨려서 살겠나요?
요새 애들이 정말 대단하긴 하네요.

IP : 125.177.xxx.135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루나틱
    '12.11.11 7:42 PM (49.145.xxx.135)

    대단하긴 한데 수능인원수가 줄어서 그렇습니다.. 다들 수시로 빠지고... 수능형 아이들의 단두대 매치죠

  • 2. ,,,
    '12.11.11 7:43 PM (119.71.xxx.179)

    난이도에 따라 다르죠. 수능 초기세대때는 난이도가 높아서 그정도는 아니었어요.

  • 3. yy
    '12.11.11 7:45 PM (175.223.xxx.185)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점수인플레는 변별력이 낮은시험 같아요.
    정말 한두문제에 살떨릴듯해요.
    거의만점맞는 애들은 당연히 실력이 좋겠지만,실수로 한두개 더 틀린애들이 못한다고 보기도 어려울 것 같고.

    평소에 80점맞던 애와 90점 맞던애가 다같이 99점 맞는시험은 좋은 제도같진 않아요

  • 4. .....
    '12.11.11 7:47 PM (211.243.xxx.236)

    정원의 절반이상이 수시로 들어가서 정원자체가 작아요.
    그리고 수능난이도가 초기보다 많이 낮아서 그래요.
    해마다 느끼는 건데 ....아이들이 정말로 공부를 깊이있게 안합니다.
    옛날이랑 비교자체가 불가능하죠.. 그와중에 사교육은 많이해서 잘하는 애들은 잘하고. 못하는 애들은 너무 많은데 .... 못하는 애들은 그렇게 사교육에 돈을 갖다붇는데도 수준이 너무 낮아요.

  • 5. 자격시험
    '12.11.11 7:49 PM (27.117.xxx.205)

    점점 자격시험 같이 되는거죠

  • 6. ...
    '12.11.11 7:56 PM (123.100.xxx.61)

    저는 01학번인데요.

    지금 수능이 훨씬 어려운거 같아요.


    우리 때는 언어, 영어 같은 경우 지문이 비교적 간단하고, 간결했던 반면.

    지금 수능 문제 보시면 알겠지만, 만만하지 않더라구요.

    수학도 1번에서 8번까지는 쉬운 문제들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지금은 ㅠㅠ

    과연 아이들이 얼마나 공부를 더 많이 하고, 잘해야 할까요...ㅠㅠ

  • 7. 실화
    '12.11.11 7:57 PM (121.151.xxx.218)

    작년에 수능 한문데 틀리고 서울대농대 정시로 들어간사람압니다

    엄마가 넘 억울해서 재수하랬더니 애가 안한다고 ㅠㅠ

    재수해서 만점맞지않으면 재수하는 의미가 없다고 ㅠㅠ

    입시쪽 일하시는 울아주버님왈

    이제 수능잘봐서 (정시로)스카이 가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합니다

    수시로 결판을 봐야지 정시는 과마다 한자리수 뽑는데도 많다고 해요

  • 8. ....
    '12.11.11 8:01 PM (14.46.xxx.104)

    최상위 아이들에게 수능은 너무 변별력이 없는것 같으네요..--;;;

  • 9. ,,,
    '12.11.11 8:01 PM (119.71.xxx.179)

    97년? 8년까지인가 수능은 어려웠어요. 2000년 이후에 사교육없이 EBS만으로도 대학 가게한다고 쉽게낸거죠.

  • 10. ㅇㅇ
    '12.11.11 8:07 PM (112.169.xxx.238)

    연고대도 최초커트라인이 높을 수밖에 없는게 가군에 연고대쓰고 나군에 서울대 쓰는 사람이 많아서요

    근데 중복합격하면 연고대 안가니까 대기번호 뚫려서 일단 슝슝! (어떻게 아는지 등록여부 물어보는 사람도 등록안할거냐, 서울대 붙었냐 하고 물어봅니다.)

    문닫고 들어가는 점수는 매년 조금씩 또 달라요.

  • 11. ...
    '12.11.11 8:18 PM (110.70.xxx.120)

    수능 한 개 틀리는 아이와 다섯 개 틀리는 아이의 학업성취도에 과연 차이가 있을까요?
    그냥 문제푸는 스킬 차이죠
    갈수록 수능이 변별력을 잃는듯해요

  • 12. ---
    '12.11.11 8:23 PM (94.218.xxx.117)

    재수해서 96학번인데 우리 때 수능 만점 받아야 서울대가고 그렇지 않았어요.

  • 13. ㅇㅋ
    '12.11.11 8:35 PM (180.182.xxx.140)

    90년대 학번하고 요즘 학번하고는 좀 많이 다르구요.
    요즘 서울대 갈려면 진짜 만점에 가깝게 받아야 되요.
    물론 저 위의 분 말대로 가끔 구멍이 나서 갈수는 있지만 입시전략짤때 그런거 까지 다 감안하진 않잖아요.
    요즘 애들이 잘하는 애 수가 많기도 하구요.
    진짜 이건 사교육의힘이라고 봐요..ㅎㅎ
    타고난 애와 노력형의 조합이 많죠.
    타고난애는 엄마가 아무것도 안햇는데 지혼자 갈고 닦아 가는거고요.
    그런건 저 밑의 글의 누군가처럼요.
    근데 실상 암것도 안해줬는데 지알아 책보고 만점받더라 퍼센티지가 얼마 안되요.
    어쩄든 서울대는 타고난애가 갈확률이 높지만 어쩄든 진짜 잘해야 가는거죠.
    모든 문제를 안틀린다고 봐야하죠.
    이건 잘하는 애 군에서도 특히 시험에 강한애들이 있더라구요.
    솔직히 저는 머리좋고 타고난애보다 시험에 강한애들이 제일 부러워요.
    이런걸 타고나고 싶음.

  • 14. 가을바람
    '12.11.12 1:55 AM (182.221.xxx.6)

    국어 하나 수학2개 영어3개 틀렸는데 서울에 갈곳이 없네요

  • 15. 카페오레
    '12.11.12 4:52 PM (110.8.xxx.151)

    댓글 달려고 로그인했습니다
    수능 몇 개 틀렸는지가 문제가 아니라
    정확히 말하자면 전체 수험생 중에 몇 등 했는지가 중요한 거지요
    학력고사 시절에는 교육청에서 누적 분포도를 공개했기 때문에 내 점수의 상대적 위치를 정확히 알았고
    덕분에 대학들이 서열화되는 부작용이 있었죠
    하지만 반대로 어느 정도 결과를 예측하면서 대학지원하는 일이 가능했다고 생각해요
    이쯤 하면 소신지원인지, 적정지원인지, 심한 도박인지 본인이 알 수 있었으니까요

    그런데 지금은 내 점수가 전체 몇 등인지 알려주지 않습니다
    각 분야별로 소수점을 없앤 백분위로 대충 알려줄 뿐이지요
    그러나 거의 도움이 안되는게 현실입니다
    (내 성적이 5000 등에서 20000 등 사이라면 도대체 어떻게 하라는 건지???)

    수능 문제 난이도도 들쭉날쭉해서
    언수외 만점이 10 명 안팎인 해가 있는가하면
    500 명에 육박하는 해도 있답니다
    (서울대 사과대와 경영대 정원이 420 명입니다)

    원글님도 대입 치렀으니 아시겠지만
    점수가 내려갈 수록 동점자의 수도 어마어마해지지요
    올해도 어김없이 수많은 수험생들이 제 위치를 제대로 알 수 없는 지표를 들고 우왕좌왕할 것을 생각하면
    마음이 무섭습니다
    대학 서열화를 없애는 것과 수험생의 자기파악을 도와주는 걸 양립시킬 수는 없는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2625 크리스마스 이브 솔로대첩 소식 4 규민마암 2012/11/26 1,109
182624 온수매트 어떤게 좋은가요...^^ 2 강지은 2012/11/26 3,828
182623 요실금 병원 추천해 주세요. 3 솔이 어멈 2012/11/26 1,154
182622 연말에 호텔 묵으려고 하는데 난방은 어떤가요? 4 눈속의 보석.. 2012/11/26 1,633
182621 골프 하시는 분들요..손목 힘 어떻게 빼셨어요? 4 운동 2012/11/26 2,261
182620 거실 커튼 봐주세요 10 커튼 2012/11/26 2,185
182619 이런 것은 널리 알려야겠기에. 2 여성대통령?.. 2012/11/26 744
182618 장기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요, 배우자 것도 되나요? 1 ㅇㅎ 2012/11/26 748
182617 시댁 집들이 메뉴 봐주세요^^ 6 2012/11/26 1,813
182616 스마트폰저축추천부탁드려요 아구스트 2012/11/26 330
182615 장례식 복장 질문이요... 9 어쩌나 2012/11/26 6,424
182614 박근혜 토크쇼 설레어요 20 rolrol.. 2012/11/26 3,010
182613 스타킹 색 질문드려요. 2 감각발바닥 2012/11/26 1,021
182612 초등교사입니다. 학부모님들 계시면 부탁 좀 드릴게요~ 17 dd 2012/11/26 4,854
182611 스마트폰 말고 일반핸드폰을 12개월 약정으로 1 핸드폰 2012/11/26 510
182610 안철수에 친절해진 새누리 4 세우실 2012/11/26 887
182609 이 소파 괜찮나요? 한번 봐주세요~~ 4 으음.. 2012/11/26 1,206
182608 남편 공부 어찌할까요? 4 바람 2012/11/26 1,512
182607 녹두는 몇시간 물에서 불려야 하나요? 3 칼바람추웠어.. 2012/11/26 2,063
182606 싼 여행지.. 2 ........ 2012/11/26 1,077
182605 박근혜, ‘긴급조치 보상법’ 발의에… 8 샬랄라 2012/11/26 1,122
182604 현미쌀이 그렇게 좋다고들 하는데 현미밥은 맛이 없고.. 13 .w 2012/11/26 3,958
182603 인터넷에서 원치 않는 새 창이 자꾸 열려요 7 컴초보 2012/11/26 2,295
182602 6학년아이 어학연수가는데요 3 3개월 2012/11/26 1,093
182601 문재인후보 공식포스터 보셨어요?? 51 희망으로 2012/11/26 11,734